Monitoring of Pathogens and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y in the Taewha River

태화강의 어류군집에 대한 병원체 모니터링

  • 김진도 (국립수산과학원 내수면양식연구센터) ;
  • 양현 (생물다양성연구소) ;
  • 조용철 (국립수산과학원 내수면양식연구센터) ;
  • 김이청 (국립수산과학원 자원조성단) ;
  • 조미영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생물방역과)
  • Received : 2010.06.03
  • Accepted : 2010.07.26
  • Published : 2010.09.01

Abstract

The pathogens and community structure of the fishes in Taehwa river were investigated from March 2007 to January 2009. During the study period, 3,504 individuals belonging to 35 species, 17 families and 9 orders were collected. The numerically dominant and subdominat species were Opsarichthys uncirostris (relative abundance 39.7%) and Hemibarbus labeo (relative abundance 30.9%). There were five Korean endemic species (20.8%) including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Zacco koreanus, Cobitis hankugensis, Coreoperca herzi, Odontobutis platycephala. The large fishes like Hemibarbus labeo or Opsarichthys uncirostris were gathered around the Samho bridge, sampling site 2 according to a season. The reaction to which two kinds of fish pathogenic virus is all negative and no fish pathogenic bacteria was isolated from 220 individuals. The fish pathogenic parasite not present variously with 7 species. Especially, Trichodina sp. was detected monthly and the infective density was high. But it is cosidered that temporary overcrowding of fish is not influenced mass mortality causing diseases in the specific site of river.

2007년 3월부터 2009년 1월까지 울산 태화강에 서식 하는 어류의 군집 구조 및 병원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태화강의 3개 조사지점으로부터 채집된 어류는 모두 총 9목 17과 35종이었으며 개체수로서의 우점종은 끄리로서 39%였으며 다음으로 누치가 30.9%였다. 한국고유종은 전체의 20.8%로서 참몰개, 참갈겨니, 기름종개, 꺽지, 동사리의 5종이었다. 누치와 끄리와 같은 대형 어류가 조사지점 2인 삼호교 인근 수역에 계절에 따라 모여들었다. 220개체의 어류에 대한 2종의 어류 병원성 바이러스에 대한 반응은 모두 음성으로 나타났으며, 어류에 병원성이 있다고 알려진 세균은 분리되지 않았다. 어류 병원성 기생충은 총 7종으로 다양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특히 트리코디나충은 매월 검출이 되었으며 그 감염 밀도도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하천의 일정지점에서의 일시적인 어류 과밀현상은 질병에 의한 대량폐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수산과학원. 2005.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생물질병진단지침서. 229pp.
  2. 김위식, 이무근, 박경희, 정성주, 오명주. 2003. 자연산 숭어 (Mugil cephalus)의 Myxobolus sp. 감염증. 한국어병학회지. 16:31-38.
  3. 김익수. 1995. 한국 위기 담수어류의 서식현황과 보존. '95 한국생태학회, 한국어류학회 공동 심포지움 강연록. pp.31-43.
  4.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37권 동물편 (담수어류). 교육부. 629pp.
  5. 김익수, 박종영. 2002.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465pp.
  6. 김익수, 최 윤, 이충렬, 이용주, 김병직, 김지현. 2005. 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서울, 613pp.
  7. 김정호, 박성우, 박찬일, 오명주, 정성주, 허민도. 2004. 어패류의 감염증과 기생충. 428pp.
  8. 류석환. 1993. 태화강의 수질오염 특성에 관한 연구-황학적 산소요구량과 염소이온 농도-. 한국환경과학회지. 2:291-297.
  9. 박명애, 김호열, 최희정, 지보영, 조미영, 이덕찬. 2009. 남해지역 자연산 해산어의 Trichodina 감염현황. 한국어병학회지. 22:163-166.
  10. 서진원, 임인수, 김호준, 이혜근. 2008. 울산 하천 및 강에서의 어류서식 현황 및 8개 대표종의 이화학적 수질 내성 범위. 한국육수학회지. 41:283-293.
  11. 서진원, 임인수, 이흥수. 2006. 이화학적 수질 항목과 관련된 어류 분포. 한국상하수도학회, 2006공동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 pp.71-75.
  12. 손영목, 변화근. 2005. 미호천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동태. 한국어류학회지. 17:271-278.
  13. 안광국, 염동혁, 이성규. 2001. 생물보전지수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의 신속한 생물평가 기법을 이용한 갑천 수계의 평가. 한국육수학회지. 19:261-269.
  14. 양홍준. 1980. 태화강의 어류상에 관하여. 경북대학교 논문집. 29:419-424.
  15. 이덕찬, 조미영, 차승주, 박신후, 박명애, 김진우. 2006. 2006년 6월에 트롤어법으로 어획된 남해안 자연산 어류에 대한 질병 모니터링. pp. 215-226.
  16. 장민호, 최기룡, 주기재. 2001. 울산지역 (가지산) 상류하천의 어류군집. 한국육수학회지. 34:239-250.
  17. 전상린. 1980. 한국산 담수어의 분포에 관하여. 중앙대학교 학위청구논문. pp.1-90.
  18. 전세규. 2006. 어류 기생충학. 한국수산신문사. 335pp
  19. 한국수자원공사. 2007. 낙동강 하구 일원의 어류 서식현황 및 이동특성 조사. 123pp.
  20. Aguilar A, MF Alvarez, JM Leiro and ML SanMartin. 2005. Parasite populations of the European eel (Anguilla anguilla L) in the Rivers Ulla and Tea (Galicia, northwest Spain). Aquaculture 249:85-94. https://doi.org/10.1016/j.aquaculture.2005.04.052
  21. Bucke D. 1980. Experimental and naturally occurring furunculosis in various fish species: a cpomperative study. pp. 82-88. In Proceedings of 3rd COPRAQ Fish Diseases meeting Munich. 1979 (Ahne W ed.). Life Sciences 1980. mSpringer. Berlin.
  22. Bucke D. 1993. The significance of diseases and anormalies in wild salmonids. Fisheries Res. 17:209-217. https://doi.org/10.1016/0165-7836(93)90020-8
  23. Gilad O, S Yun, KB Andree, MA Adkison, A Zlotkin, H Bercovier, A Elder, RP Hedrick. 2002. Initial characteristics of koi herpesvirus and development of a polymerase chain reaction assay to detect the virus in koi, Cyprinus carpio koi, Dis. Aquat. Org. 48:101-108. https://doi.org/10.3354/dao048101
  24. Glozlan RE, S St-Hilaire, SW Feist, P Martin, ML Kent. 2005. Biodiversity-disease threat to European fish, Nature 435: 1046. https://doi.org/10.1038/4351046a
  25. Gozlan RE, EJ Peerer, M Longshaw, S St-Hilarie and SW Feist. 2006. Effects of microbial pathogens on the diversity of aquatic populations, notably in Europe. Microbes and Infection. 8:1358-1364. https://doi.org/10.1016/j.micinf.2005.12.010
  26. Gray WL, L Mullis, SE LaOatra, JM Groff and A Goodwin. 2002. Detection of Koi herpesvirus DNA in tissues of infected fish. J. Fish Dis. 25:171-178. https://doi.org/10.1046/j.1365-2761.2002.00355.x
  27. Maceda-Vega A, H Salvado, D Vinyoles and A De Sostoa. 2009. Outbreak of Ichthyophthirius multifiliis in Redtail Barbs Barbus haasi in a Mediterranean Stream during Drought. J. Aquatic Animal Health 21:189-194. https://doi.org/10.1577/H08-054.1
  28. Magalhaes MF, P Beja, IJ Schlosser and MJ Collares Preira. 2007. Effects of multi-year droughts on fish assemblages of seasonally drying Mediterranean streams. Freshwater Biology 52:1494-1510. https://doi.org/10.1111/j.1365-2427.2007.01781.x
  29. OIE. 2006. Manual of Diagnostic tests for aquatic animals. pp. 67-268.
  30. Snieszko S. 1974.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stress on outbreaks of infectious diseases of fishes. J. Fish Biol. 6:197-208. https://doi.org/10.1111/j.1095-8649.1974.tb04537.x
  31. Wurtsbaugh WA and RA Tapia. 1988. Mass mortality of fishes in Lake Titicaca (Peru-Bolivia) associated with the protozoan parasite, Ich. Transaction of the American Fisheries Society. 117:213-217. https://doi.org/10.1577/1548-8659(1988)117<0213:MMOFIL>2.3.C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