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적깊이와 수심이 하천통과 배관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dimentation Depth and Water Depth on the Integrity of River Crossing Pipeline

  • 백종현 (한국가스공사 연구개발원) ;
  • 김영표 (한국가스공사 연구개발원) ;
  • 김우식 (한국가스공사 연구개발원)
  • 투고 : 2010.06.11
  • 심사 : 2010.12.06
  • 발행 : 2010.12.31

초록

하천통과 배관은 부력과 외부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1.2~4m의 매설 깊이로 설치되어 운영된다. 하천통과 배관은 수압과 토하중에 의한 외압으로부터 소성붕괴에 대한 저항성을 가져야한다. 하천통과 배관에 수압과 토하중으로 발생하는 원주응력을 유한요소해석으로 파악하여 배관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콘크리트 보호공이 없는 경우 동일 수심에서는 매설 깊이 증가에 따라 원주응력은 증가하나, 동일 매설 깊이에서는 수심이 증가함에 따라 배관에서 발생하는 원주응력은 감소하고 있었다.

River crossing pipelines have been being operated with buried depth of 1.2~4m underneath river bottom to prevent buoyance and external impact. River crossing pipelines have to show resistance to soil load and hydrostatic pressure. In this study, structural integrity of the river crossing pipeline subjected to soil load and hydrostatic pressure was evaluated by using FE analyses. Hoop str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buried depth under identical water height in case of without concrete encasement, however, hoop stress decreased with increasing water height under identical buried depth.

키워드

참고문헌

  1. ASME B31.8 "Gas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Piping System", (2010)
  2. BS 8010 "Code of Practice for Pipelines", British Standard, (2004)
  3. CSA Z662 "Oil and Gas Pipeline Systems", Canadian Standard Association, (2003)
  4. AS 2885 "Pipelines-Gas and Liquid Petreum", Australia Standard, (1987)
  5. 한국가스공사 연구개발원, "도로, 철도 및 하천 통과배관의 건전성 평가 방안 확립-05-PA-PD-계획-006-21", (2006)
  6. ABAQUS version 6.9, ABAQUS Inc., Rhode Island, USA; (2009)
  7. Ben C. Gerwick, Construction of marine and offshore structures, CRC Press LLC,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