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Practical Reasoning Process Presented in Home Economics Textbooks of 2007 Revised Curriculum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한 7학년 가정 교과서에 반영된 실천적 추론 과정의 분석

  • Lee, Min-Ju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Yoo, Tae-Myung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0.11.08
  • Accepted : 2010.12.05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how practical reasoning process is reflected in the 2007 revised home economics textbook of the 7th grade that is being used in schools since 2010. For a textbook analysis of the components of practical reasoning process, 12 published textbooks were all analyzed, and analysis areas were decided by reconstructing the textbook system into introduction, body contents, learning activities, evaluation. Analysis criteria were extracted from the previous literatures. Practical reasoning process was classified into Valued Ends, Context and Background, Alternatives and Means, on sequence, and Action and Reflec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categories and problems that practical reasoning process is reflected in the textbook, firstly, here was a category, which Valued Ends was absent in the practical reasoning process. In the relevant category, general problem solving progress and practical reasoning process could not be differentiated, and activity was developed with 'strategies for solution' as objective. Second, there was a category that the practical reasoning process was reflected in body contents. In this category, knowledge, concept, principle, and theory were insufficiently dealt with. Third, there was a category that reflected components of practical reasoning process but was covered with general problem solving process. Fourth, there was a category that described theme of sub-unit and body contents from the different curriculum perspectives. A curriculum perspective works as the foundation of preparing class contents or consistency of methods when developing lessons. Therefore, confusion might occur when a teacher plans a class with this kind of textbook. Fifth, a category that suggested partial components of practical reasoning process was shown the most and this category is difficult to maximize effects of practical reasoning process.

이 연구는 2010년부터 학교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한 7학년 가정 교과서에서 실천적 추론 과정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실천적 추론 과정의 요소에 따른 교과서 분석에서는 발간된 교과서 12권을 모두 분석하였으며, 도입-본문내용-활동-정리 및 평가영역으로 교과서 체계를 재구성하여 분석 대상영역을 정하였다. 분석 준거는 기존 여러 문헌으로부터 '실천적 추론 과정의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가치를 둔 목표-문제의 배경과 맥락-대안적 행동과 방법-행동의 파급효과-행동 및 평가'의 요소로 분류하여 각각의 요소에서 다루는 내용 및 질문을 추출하였다. 각 교과서별로 실천적 추론 과정의 요소가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살펴본 결과 첫째, 실천적 추론 과정의 요소가 반영된 가정 교과서는 10권으로 도입영역에서 다루고 있는 교과서는 총 6권이었으며, 주로 행동의 파급효과 과정이 반영되어 있었다. 둘째, J교과서는 실천적 문제 중심으로 서술된 교과서로써 거의 모든 소단원의 주제를 실천적 문제로 제시하고, 실천적 추론 과정의 요소로 본문내용을 구성하였다. 셋째, 활동영역은 실천적 추론 과정의 요소를 가장 많이 반영하고 있는 영역으로, 모든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정리 및 평가 영역은 4권의 교과서에서 실천적 추론 과정의 일부 요소가 반영되어 있었다. 교과서에 실천적 추론 과정이 반영된 유형과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첫째, 가치를 둔 목표가 부재된 유형이 있었다. 둘째, 본문내용에 실천적 추론 과정이 반영된 유형이 있었다. 셋째, 실천적 추론과정의 요소를 반영하였지만 일반적 문제 해결 과정으로 다루어진 유형이 있었다. 넷째, 서로 다른 교육과정 관점에서 소단원의 주제 및 본문내용이 서술된 유형이 있었다. 다섯째, 실천적 추론 과정의 일부 요소를 제시한 유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부터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한 7학년 가정 교과서에 반영된 실천적 추론 과정의 요소는 활동영역에 치중되어 있었으며, 대부분 실천적 추론의 일부 요소가 누락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가정 교과서 개발 시 실천적 추론 과정의 요소들이 각각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실천적 추론 과정의 올바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