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preference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using Q method

Q방법론을 활용한 보완대체요법 선호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10.01.31

Abstract

Today modern people have been searching on managing themselves in easy ways without side-effects to lead a healthy and quality life, accordingly concerns about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have been increasing. The scientific term'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has been originally used in the US and has become the general term for natural treatment of medical methods, which can be suggested as an alternative solution to modern medical problems. There should be a study based on users' subjectivity to reinvigorat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more than it does n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basic materials when assessing practical applications o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using the Q method which is subjective pattern analysis, help understand feature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according to patterns, and find out preferences for pattern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As a result pattern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Firstly, type I prefers to biological/herbal treatment. Secondly, type II prefers to mixed treatments. Thirdly, type III prefers to manual healing.

오늘날 현대인들은 건강한 삶, 질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부작용 없이 손쉽게 자신을 관리하는 방법들을 모색하게 되었고 최근에는 각종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관심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보완대체 의학이란 미국에서 사용되는 학술용어로서, 그동안 문제가 되어온 현대 의학적 난제들을 해결하는 대안으로 제시할 수 있는 자연치료의 의학적 방법들을 총칭하고 있다. 이러한 보완대체의학이 지금보다 더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이용자의 주관성에 기초한 연구가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주관적 유형분석 방법인 Q방법론을 활용하여, 보완대체요법 선호에 관한 유형과 유형에 따른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선호요인을 찾아내어 보완대체의학을 실제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사정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 3가지 유형-'생물/약용식물요법 선호형' (제1유형), '혼합 선호형' (제2유형), '수기요법 선호형' (제3유형)-으로 구조화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준희, 김봉인, 김진경 (2003). 아로마 선호에 관한 연구. <주관성연구>, 8, 157-176.
  2. 김창규 (2002). <왜 대체의학인가?>, 연이, 서울.
  3. 김태호, 공원태, 박소연 (2009). 경부통증 대상자에 대한 코펜하겐 경부기능장애척도의 래쉬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 845-855.
  4. 김흥규 (2008). ,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
  5. 박지현, 김종대, 강석봉 (2000). 향기요법에 사용되는 정유의 본초학적 접근. <동서의학>, 26, 25-40.
  6. 박희창 (2008). 연관도 비교를 위한 상대적 흥미척도의 개발.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19, 1269-1279.
  7. 오홍근, 최진명, 전겸구 (2000). 3종의 아로마 시너지 브랜딩 향의 항스트레스와 각성효과 및 3종향 사이의 효과비교연구. <한국아로마테라피협회지>, 2, 1-23.
  8. 오홍근 (2008). < 보완대체의학>, 아카데미아, 서울.
  9. 유수경, 윤정혜, 황해익 (2007). 유치원 교사의 장학에 대한 이미지 연구: Q방법론적 접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 503-537.
  10. 이영진 (2002). 대체의학이란 무엇인가?. <공학교육>, 9, 63-69.
  11. 이제영, 고진영 (2009). 유전자 알고리즘에 의한 우수 유전자형 선별.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 639-647.
  12. 정양수 (1997). <일반인의 대체의료 이용형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
  13. 최오호 (2005). <우리나라 대체의학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14.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8). <외국 및 우리나라의 유사의료 운영실태조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서울.
  15. Fisher, P.and Ward, A. (1994). Complementary medicine in Europe. British Medicine Journal, 309, 107-111. https://doi.org/10.1136/bmj.309.6947.107
  16. Honda, K., Jacobson, J. S. (2005).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among United States adult: The influences of personality, coping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Preventive Medicine, 40, 46-53. https://doi.org/10.1016/j.ypmed.2004.05.001
  17. McKeown, B. and Thomas, D. (1988). Q Methodology,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Lon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