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Differing Images of Wearers according to Differences of Chroma Contrast Coloration and Stripe Patterns

채도 콘트라스트 배색과 스트라이프 무의 변화에 따른 의복착용자의 이미지 연구

  • Moon, Ju-Young (Dept. Of Design Development, Division of R&D, Korea Silk Research Institute)
  • 문주영 (한국실크연구원 연구사업본부 디자인개발팀)
  • Published : 2010.01.31

Abstract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6nd out how the casual and formal style clothes of stripe pattern giving variety by pattern direction, pattern width, and contrast coloration have an effect on image of wearers. For this, 192 stimuli were made and 1200 testee evaluated them using semantic differential scale. As a result, five image dimensions were drawn as a factor of attractiveness, gracefulness, activeness, visibility, and tenderness. Unlike the value contrast previously researched, it showed that chroma contrast coloration which was interacted with a color tone contrast coloration had an effect on all the 5 image dimensions. This result was recognized as significant clothes dues in evaluating the image of stripe wearers. Besides, clothing style, stripe pattern, and contrast coloration were made clear as an efficient parameter in image presentation of clothing wearers.

Keywords

References

  1. 이영진, 정혜진, 박희주, 이주현, 조길수 (2002) 블록 스트라이프 패턴의 디자인 요소가 감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감성과학회지, 5(3). pp. 21-28.
  2. 이경희, 윤정혜, 박정순 (1990). 원피스 드레스의 줄무늬 시각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4(4). pp.314-323.
  3. Davis. M. L. (1987). Visual Design in Dress. New Jersey: Prentice-Hall, Inc., pp. 209, 218.
  4. 壁谷久代 加藤雪枚. 槍山藤子 (1980). 衣服に 對する 色彩と 固形の 知覺に ついて. 機維製高消費科學誌, 21(8). pp. 35-42.
  5. 문주영, 강경자 (2006) 상의 스트라이프의 방향, 폭, 색상대비가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8(3), pp. 1-15.
  6. Season's fashion trend (2005-2009). InterFashon Planning Online. retrieved 2009, October 5. from http://www.ifp.co.kr
  7. 08 S/S Trend Seminar (2007, 11. 30). Malcom Bridge Online. retrieved 2009, October 7, from http://www.malcom.co.kr
  8. Delong M. R. (1987). The way we look. Lowa State University Press. pp. 92-93.
  9. 김혜수 (2003). 스트라이프에 내재된 리듬특성과 복식 디자인을 위한 자원화 방법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13.
  10. 설화정, 박희숙, 홍경희 (2003). 수직 스트라이프 패턴의 디자인 요소와 감성과의 관계 연구. 충남생활과학연구지. 16(1). pp. 1-15.
  11. 이영진, 정혜진, 박희주, 이주현, 조길수. (2002) 블록 스트라이프 패턴의 디자인 요소가 감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감성과학회지. 5(3). pp. 21-28.
  12. 김주은 (2001). 의상 디자인 줄무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7-39.
  13. 이은영 (1992). 복식의장학. 서울: 교문사, pp. 121, 176.
  14. Mark. H .. Keith S. (2006). Stripes. RotoVision, pp. 38-67, 74-75.
  15. 조규화 (1995). 복식사전. 서울: 경춘사. p. 305.
  16. 김혜수 (2003). 스트라이프에 내재된 리듬특성과 복식 디자인을 위한 자원화 방법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
  17. Davis, M. L. (1987). Visual Design in Dress. New Jersey: Prentice-Hall, Inc., pp. 44-46.
  18. 유금화 (2001). 여성 정장의 2색 배색에 의한 이미지 지각.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4.
  19. 임지영 (2006). 셔츠와 넥타이의 배색방법에 따른 조화감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88.
  20. 本明寬 (1979). 造形心理學入門. 김수석 역(1993). 조형심리학입문. 서울: 지구문화사, pp. 133-135.
  21. 조민정 (2004). 패션 디자인에 있어서 색채조합에 따른 색채조화 유형과 체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51.
  22. 양지영 (2005). 패션 디자인에 있어서 보색배색의 색채 균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84.
  23. 강혜원 (2002). 의상사회심리학. 서울: 교문사, p. 43.
  24. 팽숙경, 강경자 (2005) 착용자의 체형과 의복유형, 무채색 톤조합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9(9/10), pp. 1207-1218.
  25. 정해선, 강경자 (2004) 헤어스타일.길이와 모자유형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8(3/4), pp. 460-471.
  26. 김혜수. 김영인 (2004). 자연물에 나타난 스트라이프 (stripe)의 선과 색채에 의한 리듬 특성. 한국색채학회지, 18(1), pp. 45-56.
  27. 김수석 (1993). 조형심리학입문. 서울: 지구문화사, p. 129.
  28. 한국표준연구소 (1991). 한국표준색표집. KBS 문화사업단. pp. 3, 7, 11, 23, 27, 31
  29. 문주영, 강경자 (2003) 상 . 하의 배색과 하의형태가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7(1). pp. 111-122.
  30. 문주영, 강경자 (2008). 명도 콘트라스트 배색에 따른 스트라이프 의복 착용자의 이미지 연구. 복식문화연구, 16(6), pp. 992-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