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resentation of Drinking in Cultural Contents: Analysis of Television Drama Texts

지상파 TV 콘텐츠에 나타난 음주 : 황금시간대 고시청률 드라마 분석과 수용자 인식조사

  • 양정혜 (계명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광고홍보학과)
  • Received : 2010.06.15
  • Accepted : 2010.06.26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1) analyze television drama text to examines how Korean television dramas represent alcohol drinking; 2) interview the actual drama audience to examine how they perceive drinking and whether or not their perception is influenced by the drama text. The author analyzed 60 drama episodes from 12 prime time shows that reached over 20% rating from 2008 to 2010. The result shows that drinking in dramas are portrayed as a solution to various kinds of personal and business problems, medium of romance, a tool for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at facilitates understanding and positive relationship. Female drinkers are prominent but their drinking is taking place under the patronage of male characters, which lead to the maintenance of patriarchal social relations. Interview findings show that the audience have strong motivation to imitate the glamourous lifestyles of leading characters in dramas. The findings strongly suggest observational learning was taking place, especially in the area where the viewers have no direct experience.

본 연구는 기존의 매체 경계를 허물면서 IP TV, PMP, 온라인 등을 통해 그 도달 범위가 날로 확산되는 티비 드라마가 은주를 어떤 방식으로 재현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자는 기존 연구들이 상대적으로 적은 관심을 할애했던 음주의 맥락과 그 사회적 함의에 중점을 두면서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첫째, 최신 인기 드라마 텍스트를 분석해 음주가 재현되는 방식을 살펴보고; 둘째, 수용자 인터뷰를 통해 드라마를 적극적으로 시청하는 수용자들이 음주 현실에 대해 어떤 인식을 형성해 있는지 알아보았다. 2008년부터 2010년 현재까지 지상파 3사에서 방영된 시청률 20% 이상 현대물 드라마 12개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텍스트 분석한 결과 술 마시기는 일상의 정서적,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로서, 남녀 간 이상적인 로맨스 매개물로서 제시되는 양상이 지배적이며 인간관계에서 갈등, 어색함을 풀고 화해와 이해를 끌어내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음주자 성별 면에서는 여성 음주자의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나지만 드라마 속 여성 음주는 대부분 남성의 보호 하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대중문화 산물이 구성하는 음주 현실은 가부장적 가치관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음을 드러내 보이고 있다. 수용자 인터뷰 결과 응답자들이 직접적으로 경험해보지 못한 유형의 음주에 대해서는 드라마 속 음주가 관찰학습의 대상이 되고 모방욕구를 창출한다는 것이 드러났다.

Keywords

References

  1. Bandura, A. Social Cognitive Theory of Mass Communication. Media Pshchology, 3(3), pp. 269-299, 2001
  2. Russell, C.A. and Russell, D.W. "Alcohol Messages in Prime Time Television," Journal of Consumer Affairs vol. 43(1), pp. 108-128, 2009. https://doi.org/10.1111/j.1745-6606.2008.01129.x
  3. Huesmann, L.R. and Taylor, L.D. "The Role of Media violence in violent Behavior,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27(1), pp. 393-415, https://doi.org/10.1146/annurev.publhealth.26.021304.144640
  4. Nelson, C., Mitchell,, R. and Fife, E,. "Watching, Scheming, and Drinking: The Relationships Among Television Exposure, Vengefulness, and Alcohol Use, JCSTAND pp. 57-71, 2009
  5. Krcmar, M. and Vieira, E.T "Imitating Life, Imitating Television: the Effect of Family and Televisionmodels on Children's Moral Reasoning, Communication Research 32(3), pp. 267-294. 2005 https://doi.org/10.1177/0093650205275381
  6. Anderson, C. A. and Huesmann, L. R. "Human Aggression: A Social-Cognitive View," in M.A. Hogg & J. Cooper (eds.)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pp. 296-323. London, Sage 2003
  7. 탁진영, "텔레비전 드라마의 음주와 흡연장면이 시청자의 사회적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계명대학교 사회과학 논총 14집. pp. 337-359
  8. Gerbner, G., Gross, L. Morgan, M., Singnorielli, N. "Living with Television: The Dynamics of the Television Cultivation Process" in Zillmann, D (eds.) Perspectives on Media Effect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1986.
  9. Thompson, J. Ideology ande Modern Culture, CA: Standford University Press, 1990
  10. Furnham, A., Ingle, H. ad Gunter, B. "A Content Analysis of Alcohol Portrayal and Drinking in British Television Soap Operas. Health Education Research, 12. pp 519-529, 1997 https://doi.org/10.1093/her/12.4.519
  11. 천성수. 김주리, "방송오락매체가 음주에 미치는 영향," 한국알코올과학회지, vol. 9(2). pp 1-12
  12. De Foe, J., Breed,W., Breed, L. "Drinkingon TV: A Five Year Study," Journal of Drug Education 13(1), pp. 25-38. 1983. https://doi.org/10.2190/BQHX-TD27-776Y-RK8C
  13. 김용복. "넘쳐나는 TV 속 음주장면들: 2008년도 상반기 연예.오락.교양프로그램 모니터링" 건강생활, vol.61 22-23, 2008
  14. Atkin, C. K and Block, M. "Effectiveness of Celebrity Endorser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 23, pp. 57-61. 1981
  15. Wallack, L., Grube, J. Madden, P. Breed, W. "Portrayals of Alcohol on Prime-time Television,"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51(5). pp. 428-437, 1990 https://doi.org/10.15288/jsa.1990.51.428
  16. Mathios, A., Avery R. Bisogni, C. et. al "Alcohol Portrayed on Prime Time Television: Manifest and Latent Message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vol. 59, pp. 305- 310, 1997
  17. 방형애, 매스미디어에 나타난 음주, 청소년 음주 예방 제도개선을 위한 2차전문가 포럼, 국가청소년위원회, 2006.
  18. 장승옥, "청소년 음주에 미치는 매스컴의 영향." 청소년 음주예방 제도개선을 위한 2차 전문가포럼. 국가청소년위원회, 2006.
  19. 장승옥, "청소년 음주에 미치는 매스컴의 영향." 청소년 음주예방 제도개선을 위한 2차 전문가포럼. 국가청소년위원회, 2006.
  20. 천성수, 김주리, "방송 오락매체가 음주에 미치는 영향" 한국알코올과학지, 제 9권 99. 1-12, 2008
  21. 김영규, "매스미디어와 음주: 술독에 빠진 TV 드라마" 건강생활, vol. 2006(53), pp. 12-14., 2006.
  22. Mathios, A., Avery R. Bisogni, C. et. al "Alcohol Portrayed on Prime Time Television: Manifest and Latent Message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vol. 59, pp. 305- 310, 1997
  23. Futch, E. Lisman, A.. Geller, M. "An anlysis of Alcohol Portrayal on Prime Time Televi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Addictions, vol. 19(4) 403-414, 1984] https://doi.org/10.3109/10826088409057190
  24. 방형애, 매스미디어에 나타난 음주, 청소년 음주예방 제도개선을 위한 2차전문가 포럼, 국가청소년위원회, 2006.
  25. 이상욱, 이지선, 유혜선, 김정인, 정혜영, 이동현, 우은경, 문혜진. TV 에서의 흡연.음주 장면 등 건강관련 행위가 국민건강에 미치는 영향분석. 건강증진기금사업지원단 보고서, 2003.
  26. 김영규, "매스미디어와 음주: 술독에 빠진 TV 드라마" 건강생활, vol. 2006(53), pp. 12-14., 2006.
  27. Snyder, L.B., Milici, F., Slater, M. Sun, H. Strizhakova, Y. "Effects of Alcohol Advertising Exposure on Drinking Among Youth," Archives of Pediatrics and Adolescent Medicine ," vol. 160, pp. 18-24, 2006. https://doi.org/10.1001/archpedi.160.1.18
  28. Grube, J. and Wallack, "Television Beer Advertising and Drinking Knowledge, Beliefs, and Intentions Among School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 84. pp. 254-259, 1994 https://doi.org/10.2105/AJPH.84.2.254
  29. Sobell, L.C., Sobell M.B., Toneatto, T. and Leo, G. Severely "Dependent Alcohol Abusers May Vulnerable to Cues in Television Program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54(1), pp. 85-91, 1993. https://doi.org/10.15288/jsa.1993.54.85
  30. 한태선, 음주의 사회문화적 의미. 대한보건사회문화 연구원, 1998.
  31. 천성수. 김주리, "방송오락매체가 음주에 미치는 영향," 한국알코올과학회지, vol. 9(2). pp 1-12
  32. 방형애 "급격히 증가하는 연화 속 음주장면" 건강생활 vol. 53. pp 9-11, 2006
  33. Kotch, J.B., Coulter, M. L., Lipsitz, A. "Does Television Drinking Influence Children's Attitude Toward Alcohol?" Addictive Behavior, vol. 11, pp. 7-70, 1986.
  34. Russell, C.A. and Russell, D.W. "Alcohol Messages in Prime Time Television," Journal of Consumer Affairs vol. 43(1), pp. 108-128, 2009. https://doi.org/10.1111/j.1745-6606.2008.01129.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