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Obesity Judgment Criteria in the Frequently used Obesity Indices

주요 비만 판정 지수의 비만 기준 비교

  • Yi, Kyong-Hwa (Dept. of Clothing & Textil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R$\ddot{o}$hrer index, Vervaeck index and Body Mass Index(BMI) are frequently used in order to judge obese subjects in clothing & textiles field. However, there are no certain criteria of judging the degree of obesity. Each researcher utilized these obesity indices according to their own criteria so far.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a reliable obesity index and new criteria for judging the degree of obes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Utilizing frequency analysis, main percentiles, minimums, maximums and ranges were presented by 5 age groups from twenties to sixties. Obesity rates dramatically increased, the subject got older. Especially, obesity rate of the subjects in their fifties and sixties were much higher than other age groups. 1.6 & higher can be used in the R$\ddot{o}$hrer index, 98 & higher can be used in the Vervaeck index, and 25 & higher can be used in the BMI as the Optimal criteria of the obesity. Total of 24 body measurements and 3 obesity indices were used for analyzing the correlation analysis. All heights measurement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3 obesity indices. It is determined heights measurements have high correlation with R$\ddot{o}$hrer index compare to other indices. Crotch height, interscye back, neck shoulder point to breast point, bust circumference, waist circumference, upper arm circumference and armscye circumference have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obesity indices. According to the ANOVAs by each percentile group of the R$\ddot{o}$hrer and Vervaeck indices, there are big significances in all measurements and obesity indices except arm length. In general, heights decreased significantly by getting bigger, while circumferences and lengths, widths and indices increased rapidly by getting bigge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each percentile group in the BMI, it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ll measurements except cervical height and arm length. There were similar tendency of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obesity in BMI percentile groups. It was confirmed that the BMI is the most reliable index for judging the obesity owing to the high correlation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other measurements.

Keywords

References

  1. 고병교 (1999). "한국인 비만지수 설정에 대한 연구." 육군사관학교 체육학과 논문.
  2. 고진호 (2003). "성인 여성의 비만 평가."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기술표준원 (2004). 제 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사업 보고서.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4. 김진아 (2008). "비만도와 실루엣 분류에 따른 20대 여성의 체형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9권 3호.
  5. 김진호, 박수찬, 장명현, 김철중 (1989). "한국인 체격과 성장발육에 관한 연구." 대한체질인류학회지 2권 1호.
  6. 김한수 (2003). "대학생들의 비만 인식도 및 실태에 관한 연구." Korea Sport Research 16권 4호.
  7. 대한비만학회 (2005). 한국인에서 비만 및 복부비만 기준을 위한 체질량 지수 및 허리둘레 분별점 설정 사업 보고서. 대한비만학회.
  8. 박용수 (1997). "우리나라 성인의 비만도 및 체지방분포." 한양의대학술지 17권 1호.
  9. 박우미 (1993). "우리나라 女性의 身體에 대한 意識構造: 光州地域을 中心으로." 대한가정학회지 92권.
  10. 서추연 (2000). "남녀 고등학생들의 성장에 따른 체격조사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생활과학연구논문집 12권.
  11. 석혜정 (2003). "성인 여성의 연령 비만도에 따른 기성복 맞음새 선호 경향 조사." 대한가정학회지 41권 9호.
  12. 설경희, 서미아 (2002). "비만체형을 위한 신축성 직물 스커트의 여유분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0권 4호.
  13. 손부현, 홍경희, 박세진 (2005). "중년기 비만 여성을 위한 기존 재킷의 패턴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14권 3호.
  14. 손희순 (1989). "우리나라 중년기 여성의 체형과 의복치수 규격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심부자 (1996). 피복인간공학. 서울: 교문사.
  16. 윤지원 (2007). "20대 비만 남성을 위한 의복 치수체계에 관한 연구: 캐주얼 의류를 중심으로."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영란 (1982). "사회적 지지와 건강상태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일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영주 (1999). "비만체형의 슬랙스 원형 설계를 위한 평면재단과 입체재단의 비교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8권 2호.
  19. 이영희 (1987). "비만 체형을 위한 기본 Slacks 원형연구: 중년기 부인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70권.
  20. 이정원, 이미숙, 김정희, 손숙미, 이보숙 (2007). 개정판 영양판정. 서울: 교문사.
  21. 이종헌. 전은정 (1998). "사춘기 여학생의 초조와 체격 요인간의 상관에 관한 연구."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응용과학연구논집 6권 2호.
  22. 장유경, 정영진, 문현경, 윤진숙, 박혜련 (2006). 개정판 영양판정. 서울: 신광출판사.
  23. 전정혜, 성수광 (2004). "20-30대 성인 여성의 신체 계측치와 체지방의 상관성."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권 5호.
  24. 질병관리본부 (2008). 2007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 영양조사 제4기 1차년도[2007].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25. 최영순 (2000). "Plus-size 소비자의 의복행동에 따른 one-to-one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최혜선, 이진희 (1995). "의복설계를 위한 비만 여성체형의 연령층별 특징." 한국의류학회지 19권 5호.
  27. 하희정 (2008). "플러스사이즈 여성 온라인 의류 쇼핑몰의 정장 바지 사이즈 현황 및 맞음새 분석."복식 58권 1호.
  28. 한애미, 박정순, 이정순 (1987). "비만 체형을 위한 기본 Bodice 원형 연구: 중년기 부인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7권 6호.
  29. 홍성철, 강문정, 주민선 (2002). "생체전기저항법을 이용한 여성의 비만 실태 연구: 비만지수 비교를 중심으로." 간호과학 14권.
  30. 황경화 (2000). "서울시 일부 지역주민의 비만인식도와 비만도에 따른 체중조절의 상관관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Hubert, H. B., M. Feinleip, P. M. MeNamara and W. P. Castelli (1983). "Obesity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A 26-year Followup of Participants in the Framingham Heart Study." Circulation Vol. 63.
  32. 名取禮二, 橫堀榮, 小川義雄, 木村邦(1970). 最新體 力測定法. 同文書院.
  33. 福井矤生, 皛山絹江, 奧村堇(1991). "成人女子體型 の關すゐ硏究-年代別の瘦肥滿型特徵." 日本 衣服學會誌 Vol. 35, No.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