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diated Effect of Children's Self-Regulation between Their Prosocial Behaviors an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 대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 Received : 2009.12.29
  • Accepted : 2010.02.11
  • Published : 2010.05.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on their prosocial behaviors. The participants were 151 children(aged 5-6) and their moth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ubordinate spheres of 'controlling' and 'playing' in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an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2) Children's self-regul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prosocial behaviors. (3) When children's self-regulation was controlle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did not show any positive correlations with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In conclusion, children's self-regulation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and prosocial behaviors.

Keywords

References

  1. 권수정(2005).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권연희(1995).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규수, 박승순, 권소영(2003). 유아의 정서지능과 자아개념 및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8(1), 253-270.
  4. 김영옥, 홍지명, 김세루, 김권일(2008).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력 및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3(1), 205-228.
  5. 김향순(2007).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조절능력 및 친구 간 갈등해결 전략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현나, 이경님(2008). 성별에 따른 유아의 기질, 정서조절능력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또래유능성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3(5), 1-12.
  7. 김혜경(2005). 어머니의 부모역할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화자(2008). 자기주도적 산책과 길찾기 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지리개념에 미치는 영향. 배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9. 김희태, 이임순(2008). 가족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과 또래 유능성.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1). 1-21.
  10. 문연심(2004). 부모-자녀관계 유형이 유아의 공감과 조망수용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4(1), 115-143.
  11. 박경자(1999).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 대한가정학회지, 37(1), 79-89.
  12. 박분희, 김영숙(2008). 어머니의 양육태도, 유아의 기질,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아의 사회성간의 관계. 아동교육, 17(4), 143-154.
  13. 박진재(2002). 아동의 또래관계 증진을 위한 사회적 기술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4. 서동미(1996).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성숙란(2007). 유아의 성별, 연령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신현숙(2006).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 및 아동의 정서 조절능력과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안라리(2005). 유아의 개인변인 및 어머니의 정서성과 유아의 정서발달,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양옥승, 이정란(2003). 유아의 자기조절력 관련 변인간의 관계 분석. 교육방법연구, 15(2), 143-159.
  19. 이경님(2001). 아동의 자기통제와 관련변인간의 인과관계: 아동의 사려성, 자아개념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9(2), 97-110.
  20. 이원영(1983). 어머니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1. 이은영, 김경혜(2005).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 및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회지, 10(1), 105-119.
  22. 이청조(2008). 어머니의 양육태도, 자기조절력, 사회적 능력, 사회지능이 유아의 대인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장영숙, 강경석, 김희정(2003). 유아의 연령 및 성별과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아동학회지, 24(4), 41-53.
  24. 전귀연, 김수경(2005).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교사로서 부모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3(1), 35-51.
  25. 진선미(2000). 영재 유아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태도 조사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최세민(2008). 구조화된 사회적 놀이가 발달지체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비사회적 행동에 미친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17(2), 81-90.
  27. 최윤정, 이기숙(1999). 그림동화책 읽어주기와 토의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추론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0(3), 275-291.
  28. 홍혜란, 하지영, 서소정(2008).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발달에 관한 논문-유아의 사회인구학적인 특성 및 기질, 정서 지능과 어머니의 양육신념 및 사회화 전략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7(6), 15-33.
  29. 황미영(2008). 어머니의 통제유형과 유아의 자기조절력 간의 조화적합성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Bandura, A.(1997). Social learning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1. Baron, R. M., &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32. Beaty. J. J.(2001). Prosocial guidance for the preschool child. Prentice-Hall. 유아를 위한 친사회적 행동 지도. 이기숙, 강숙현(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9년 원저발간).
  33. Bornstein, M. H.(2002). Handbook of parenting. 2nd ed. Mahwah, NJ: Erlbaum
  34. Clark. B.(1997). Growing up gifted(5th ed.). Upper Saddle River, NJ: Simon & Schuster.
  35. Clark, K. E., & Ladd, G. W.(2000). Connectedness and autonomy support in parent-child relationships: Links to children's socioemotional orientation and peer relationships. Developmental Psychology, 36(4), 485-498. https://doi.org/10.1037/0012-1649.36.4.485
  36. Cowan, P. A., Cowan, C. P., Shulz, M. S., & Heming, C.(1994). Prebirth to preschool family factors in children's adaptation to kindergarten. In R. D. Parke & S. C. Kellam(Eds.), Exploring family relationships with other social context.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7. Eisenberg, N., Fabes, R. A., Karbon, M., Murphy, B. C., Wosinski, M., Polazzi, L., et al.(1996). The relation of children's dispositional prosocial behavior to emotionality, regulation and social functioning. Child Development, 67, 974-992. https://doi.org/10.2307/1131874
  38. Eisenberg. N., & Mussen, P. H.(1989). The roots of prosocial behavior in childre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Gardner, H.(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New York: Basic Books.
  40. Katz, L. G., & McClellan, D. E.(2001). Fosteri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teacher's role. Washington, D. C.: NAEYC. 어린이들의 사회적 능력 배양: 교사의 역할. 홍용희(역). 서울: 양서원. (1997년 원저발간).
  41. Kendall, P. C., & Wilcox, L. L.(1979). Self-control in children: Development of rating scale. Journal of Consulting & Clinical Psychology, 47(6), 1020-1029. https://doi.org/10.1037/0022-006X.47.6.1020
  42. Kochanska, G., & Aksan, N.(1995). Mother-child mutually positive affect, the qualify of child compliance to request and prohibitions, and maternal controls as correlates of early internalization. Child Development, 66, 236-254. https://doi.org/10.2307/1131203
  43. Kopp, C. B.(1982). Antecedents of self regulation: A developmental perse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18, 199-214. https://doi.org/10.1037/0012-1649.18.2.199
  44. Ladd, G. W., & Profilet, S. M.(1996). The child behavior scale: A teacher-report measure of young children's aggressive, withdrawn, and prosocial behaviors. Developmental Psychology, 32(6), 1008-1024. https://doi.org/10.1037/0012-1649.32.6.1008
  45. Marion, M.(1999). Guidance of young children(5th ed.). NY: Macmillan.
  46. McDonald, K., & Park, R. D.(1984). Bridging the gap: Parent child play interaction and peer interactive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55, 1265-1277. https://doi.org/10.2307/1129996
  47. Perry, N. E.(2002). Promoting nonviolent behavior in children. Scholarstic Early Childhood Today, 16, 26-29.
  48. Sroufe, L. A.(1996). Emotional development: The organization of emotional life in the early years.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9. Strom, R. D.(1995). Parent as a teacher inventory. Bensenville. IL: Scholastic Testing Service.
  50. Vygotsky, L. S.(1987). Thinking and speech. In L. S. Vygotsky, Collection words(Vol. 1) (R. Rieber & A. Carton Eds; N. Minick, Trans.). New York: Plenum. (Original works published in 1934, 1960).

Cited by

  1. The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Peer Attachment, and Teacher Attachment on Children’s Happi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Higher Grades:With a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Abilities vol.36, pp.4, 2016, https://doi.org/10.5723/KJCS.2015.36.4.129
  2.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몰입경향성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서 자기 조절력의 매개 효과 vol.55, pp.1, 2017, https://doi.org/10.6115/fer.201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