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대비물질 취급자를 위한 비상대응계획 작성 프로그램 연구

A Study of Emergency Plan Making Programs for Personnel Handling Accident Precaution Chemicals

  • 김성범 (국립환경과학원 화학안전연구팀) ;
  • 조문식 (국립환경과학원 화학안전연구팀) ;
  • 박춘화 (국립환경과학원 화학안전연구팀) ;
  • 윤이 (국립환경과학원 화학안전연구팀) ;
  • 황경섭 (국립환경과학원 화학안전연구팀) ;
  • 양상용 (국립환경과학원 화학안전연구팀)
  • 투고 : 2010.01.13
  • 심사 : 2010.03.22
  • 발행 : 2010.06.30

초록

자체방제계획서는 위험물질의 등급, 주위환경의 피해, 사고대응계획 등으로 구성된 체계적인 관리제도이다. 자체 방제계획서 작성지원 프로그램의 개발 목적은 사고를 예방하고, 사고를 제어할 수 있도록 안전관리 시스템을 각 시설에 제공하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 SOP(Standard Operation Procedure), ERP(Emergency Response Plan) 등 일반적인 안전관련 자료를 포함하고 있다. 자체방제계획서는 위험 확인, 평가, 예방 계획, 안전 분석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또한, 자체방제계획서 작성지원 프로그램은 정부 또는 관련 기관이 중소기업에서 발생 가능한 사고를 관리하는데 유용하다.

Emergency preparedness plan (EPP) is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activities that involve a material degree of risk of loss or other damage to the surroundings (people, property and environment), and the boundary of accident recovery plan (ARP). The main purpose of the program is to provide a safety management system to each facility in order to enable to prevent accident and to control accident immediately. The EPP includes not only typical safety-related documentations such as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standard operation procedure (SOP), emergency response plan(ERP). EPP is established basis of the preliminary safety analysis involving risk identification, assessment and prevention plans. The program is also helpful for government or related agencies to control a number of accidents in small-scale companies in the whole countr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