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길도(甫吉島) 윤선도(尹善道) 유적(遺蹟)에 관한 건축적(建築的) 고찰(考察)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s of the Yun Seon Do's Relics at Bogildo

  • 투고 : 2009.10.15
  • 심사 : 2010.01.24
  • 발행 : 2010.02.28

초록

This study is on Yun Seon Do's site located at Bogildo, Wando-gun, Jeonnam, compares the relics found through excavation to literature records and examines the character of relics and architectural features of the sit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ridge and pond including Goksudang and Seojae mentioned in related literatures were found around Goksudang. In the spatial composition, the area was divided into three using the stream from the valley and pond including buildings was built at each area. Each area was connected through Honggyo, Yueuigyo, and Ilsamgyo bridges and intentionally lengthened movement was considered as the space production technique to see the valley, and upper and lower pond. Second, 11 building relics, pond and fence were confirmed around Nakseojae. The transformative process of these relics could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1st of these period was when Yun Seon Do lived there and Mumindang, pond and waterway were arranged as straight axis. Third, Dongcheonseoksil consisted of building relics (1) for preparing for and drinking tea and pavilion (building relics(2)) and pond, and these were static with nature and used as contemplative space for view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선우, 한국 주거난방의 사적고찰, 대한건축학회지, 23권 90호, 1979
  2. 김동욱, 담양 면앙정의 건축형태, 건축역사학회, 2000
  3. 문화재관리국, 보길도 윤고산유적, 1985
  4. 문영오, 국어국문학, 고산문학의 풍수사상 현장화 양태 고구, 1998
  5. 장경호, 한국의 전통건축, 문예출판사,1992
  6. 전남문화재연구원, 완도 보길도 윤선도유적, 2003
  7. 전남문화재연구원, 완도 보길도 윤선도유적 II, 2006
  8. 전남문화재연구원, 완도 보길도 윤선도유적 III, 2009
  9. 정운채, 윤선도-연군지정과 이념의 시세계-, 건국대학교출판부, 1995
  10. 정재훈,보길도 부용동 원림, 열화당,1990
  11. 주남철, 한국건축사, 고려대학교출판부, 2002
  12. 천득염, 한국의 명원 소쇄원, 발언, 1999
  13. 한국전통건축연구회, 한국건축사, 도서출판 서우, 2002
  14. 신종일, 보길도 별서건축을 경영한 고산 윤선도의 건축관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2004
  15. 완도군, 보길도 윤선도유적 정비 및 개발 기본 계획, 명지대 한국건축문화연구소, 1999
  16. 이안진, 고산윤선도의 조경관과 정원의 조성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석사학위논문, 1995
  17. 이재근,조선시대 별서정원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 박사논문, 1992
  18. 이창업, 강영환, 고려시대 별서건축의 조영수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20권 11호9(통권 193호), 2004
  19. 유우선,보길도의 고산유적과 어부사시사의 배경시론, 호남문화연구, 1977
  20. 정동오, 고산 윤선도의 별서생활과 부용동 원림의 지원에 대한 고찰, 고산연구, 1987
  21. 최은창, 홍광균, 보길도 부용동 세연정정원의 공간구성 원리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994
  22. 윤일이, 晦齋李彦迪의 建築觀에 관한硏究,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권 11호 (통권169호), 2002
  23. 박준규, 孤山의 〈山中新曲〉과 水晶洞, 국어국문학100, 국어국문학회,1988
  24. 이형대, 이상원, 이성호, 박종우, 국역 고산유고1판, 소명출판,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