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ates about Forest Therapy Program in Korean and the Prospect for the Fusion of Korean Medicine with Forestry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현황과 학제간 융합가능성에 대한 전망

  • Hong, Min-Ah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Han-Gyeul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Han, Eun-Kyung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won, Young-Kyu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홍민아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 이한결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 한은경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 권영규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0.11.01
  • Accepted : 2010.12.01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 : Forest-Therapy has received attention as a treatment of regulating living habits with the increase of chronic disease. Forest-Therapy and Korean Medicine are in same as their philosophy to adapt to nature and they can suggest new alternative treating of chronic diseases. Now we want to look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Forest-Therapy program adopting Korean Medicine with the analysis of research status and cases of Forest-Therapy. Methods : We searched articles in Korea by using keyword 'Forest-Therapy', 'Forest & Therapy' 'Forest' and 'Therapy' Korean. Results : Even though the domestic research about Forest-Therapy is still insufficient, there is a need of try referring the cases of Germany and Japan. Forest-Therapy program was used to get psychological stability, release stress and treat alcohol diseases. There was some cases that adopt the nature to clinical field actively. The clinical articles were mainly published about stress and health. Conclusions : It seems that running the constitutional program that considers different among individuals adopting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utilizing Forest-Therapy Doctor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Public Oriental Medicine Doctor, and operating experience program applying Herb have sufficient possibility.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WHO 인구 10만명당 주요사망원인별 사망률 (1999-2007)
  2. 계청. 10년간 한국인 사망원인의 변화(인구 10만 명당 사망지수, 1996-2006)
  3. 통계청. 10년간 한국인 사망원인(상대적 위험률)의 변화(1996-2006)
  4. 이준우(충남대학교 환경임산자원학부). 산림치유의 진정한 의미와 활용성. 생명의 숲 2010년 4월
  5. 염종호. 산림치유정책의 추진방향과 과제. 월간 산림 2009년 12월:38-41
  6. 신원섭, 김은일, 이상익, 송형섭, 김조천. 산림의 건강 기능을 이용한 프로그램 사례와 적용. 한국산림휴양학회지. 2001;5(1):37-44.
  7. 김창호 오정수, 홍치유. 智異山의 山林 資源에 關한 硏究. 농림과학 논문집. 1971;4:73-98.
  8. 선승호, 이선구. 산림 치유 관련 논문에 관한 체계적 고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0;24(4):566-570.
  9. 김기원. 치유요소의 특성과 산림치유에의 활용에 관한 이론.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 2006;9(4):111-123.
  10. 김세천, 한윤희, 박경욱. 자연휴양림 산림치유기능 활성화 방안. 한국산림휴양학회 추계학술대회. 2008:42-46
  11. 유리화. 선진국의 산림치유 효과 활용사례. 월간산림. 2009.
  12. 유리화. 숲의 건강 치유효과 활용사례 및 적용.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경영과. 2007년 :49-55.
  13. 안기완, 이계한, 유리화, 김민희, 박종석. 日本長野縣信濃町치유의 숲(癒しの森) 정책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2009;13(1):63-75.
  14. 조현섭, 조성민, 차진경. 숲 치유 프로그램이 알코올 의존자 및 가족에게 미치는 치유 효과성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2008;13(3):727-743.
  15. 이상익, 신원섭, 권영문, 권헌교. 산림방향물질이 불안감,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학회지. 2003;7(4):25-29.
  16. 신원섭, 연평식, 이정희, 김시경, 주진순. 산림경험이 참여자의 불안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 산림휴양학회지. 2007;11(1):27-32.
  17. 신원섭, 연평식, 이정희. 숲 체험이 인간 심리안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학회지. 2007;11(3):37-43.
  18. 윤숙영, 김홍열, 박영국. 원예치료가 치매 노인의 주의력 향상과 정서적 안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 2005;8(2):1-6.
  19. 김형득, 장유진, 이혜진, 안정숙, 김숙경, 홍소영, 송정섭, 김광진, 유은하, 조정근. 초등학교 방과 후 프로그램으로 도입한 원예치료가 아동들의 정서 및 행동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식물, 인간, 환경학회지. 2005;8(3):65-72.
  20. 연평식. 숲 치유프로그램을 통한 알코올 의존자의 우울 수준 변화. 한국산림휴양학회지. 2007;11(3):1-6.
  21. 안영석. 숲 속 산책로 산책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실버타운 거주 경증 고혈압 노인여성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22. 신원섭. 숲의 사회학. 도서출판 따님. 2003.
  23. 안득수. 정신병원 치료정원 조성을 위한 선호도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지. 2004;8(2):55-66.
  24. 박선희, 안득수, 박종민. 치유정원에 대한 여성들의 선호도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지. 2008;12(2):11-20.
  25. 강혜은. 치료정원 관점에서 본 친환경 아파트의 정원 실태조사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26. 이정옥. 치유환경을 도입한 노인복지시설의 옥상조경설계.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7. 임영석. 치유의 숲 계획기준에 관한 연구. 서울대 환경대학원. 2008.
  28. 우에하라 이와오. 내 몸을 치유하는 숲. 넥서스. 2007.
  29. 김송호. 행복하게 나이들기. 휴먼앤북스. 2008.
  30. 초락당
  31. 토리카이 미와코. 기공체조. 넥서스books. 200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