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ving as a ChoSun-jok Aunt in Korea : Hermeneutical Phenominological Analysis of the Life Experience of ChoSun-jok Female Domestic Worker

한국에서 조선족이모로 살아가기 : 조선족 육아.가사도우미의 삶에 대한 해석학적 현상학

  • 이송이 (숭의여자대학 가족복지과) ;
  • 홍기순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손여경 (열린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09.11.15
  • Accepted : 2010.02.10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 ChoSun-jok female domesic worker's experience in a Korean home. This study adopted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 which was developed by van Manen. The participant for this study was a ChoSun-jok woman who had worked as a care-giver and housekeeper in Korean home for more than 2 years. She missed the time when she was raising her own daughter and son and expected the time that her family would be together. So, her present time wears away for her stable future in Korea which give an opportunity to make a good money. Also, she realized that she was a marginal existence : it meant she was neither a family member nor truly worker. She nursed the Korean children and did for the Korean family for money but wanted to be treated as a family member like a grandmother who could be honored about what she had done for the family. She felt that she was disregarded from the family when she miscommunicated with them be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cultures. She anticipated that she was appreciated for being here in the Korean home.

Keywords

References

  1. 강유진(1999). 한국 남성과 결혼한 중국 조선족 여성의 결혼 생활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2), 61-80.
  2. 김덕자(2008). 농촌지역 국제결혼여성 가정에 대한 연구. 초당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경신․이선미(2007). 중국 조선족 기혼여성의 심리적 복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5(2), 119-131.
  4. 김태현․노치영(2003). 북한이탈여성들의 삶 이야기 : 해석학적 현상학을 통한 중국생활체험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1(8), 1-17.
  5. 림화(2005). 재한 조선족여성의 생활실태 및 문제점에 관한 연구 :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문경희(2006). 가사/돌봄노동의 상업화와 여성의 초국가적 이주 노동. 여성정책논집, 6(0), 11-28.
  7. 박준성․전미연․허성호․리나․정태연(2009). 한국내 조선족여성의 이주동기와 일-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9(0), 430-431.
  8. 손은록(2005). 국제결혼 가정의 부부갈등 요인과 갈등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인과 결혼한 조선족여성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시터넷 http://www.sitternet.co.kr.
  10. 안혜옥(2007). 국제결혼 여성 가정에 대한 연구 : 중국, 필리핀, 베트남 여성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정책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모넷 http://www.iiiiimo.net.
  12. 이주영(2005). 한국 내 조선족 여성이주자의 가사노동 경험.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진영(2003). 한국 내 조선족 여성노동자에 관한 질적 연구: 생활사 재구성 방법론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해응(2005). 중국 조선족 기혼여성의 한국 이주경험을 통해 본 주체성 변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혜경․정기선․유명기․김민정(2006). 이주의 여성화와 초국가적 가족: 조선족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40(5), 258-298.
  16. 임경혜(2004). 국제결혼 사례별로 나타난 가족문제에 따른 사회복지적 대책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조용환(1999).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18. 최금해(2006). 한국남성과 결혼한 중국 조선족 여성들의 한국 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 허라금(2008). 여성 이주 노동의 맥락에서 본 보살핌의 상품화. 시대와 철학, 19(4), 231-264.
  20. 홍기혜(2000). 중국 조선족 여성과 한국 남성 간의 결혼을 통해 본 이주의 성별 정치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1. 국립국어원(1999).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22. 경향신문(2007. 10. 24.). 제2의 엄마 '조선족이모'들, 제3의 혈육으로.
  23. 통계청 http://www.kostat.go.kr.
  24.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 http://www.immigration.go.kr.
  25. Creswell, J. W. (2005).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질적연구방법론. 조흥식 외 3인 역. 서울: 학지사.
  26. Van Manen, M. (1990). Researching l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체험연구: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 신경림․안규남 역. 서울: 동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