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Water on the Lightweight Air-Mixed Soil Containing Silt Used for Road Embankment

도로성토체로 사용된 실트질 계열의 경랑기포혼합토에 대한 물의 영향

  • Hwang, Joong-Ho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rg., Korea Maritime Univ.) ;
  • Ahn, Young-Kyun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rg., Korea Maritime Univ.) ;
  • Kim, Tae-Hyung (Div.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rg., Korea Maritime Univ.)
  • 황중호 (한국해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안영균 (한국해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김태형 (한국해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Received : 2009.08.20
  • Accepted : 2010.02.10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is study was especially conduct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ghtweight air-mixed soil (slurry density 10 kN/$m^3$) containing silt related to water. Compression strength, permeability, and capillary height of the lightweight air-mixed soil were studied, and also to support these studies, the structure of that soil was analyzed in detail. Air bubbles of various sizes are inside the lightweight air-mixed soil, and its distribution in a location is almost constant. A numerous tiny pores are inside the air bubbles so that the lightweight air-mixed soil can be saturated with water. Porosity is also estimated through the image analysis. Peak strength of the lightweight air-mixed soil is not dependent on water, but behavior of stress-strain is affected by the water. Permeability is about $4.857{\times}10^{-6}cm/sec$, which is a little bit higher than the clay's permeability. Capillary rise occurs rapidly at the beginning of the test until the lapse of 100 minutes and then its increase rate becomes slow. The capillary rise causes the increase of the density of the lightweight air-mixed soil, and thus it is required to pay attention to this phenomenon during structure design and maintenance of the lightweight air-mixed soil.

본 연구는 특별히 물과 관련된 실트질 계열의 경량기포혼합토(기포슬러리밀도 10kN/$m^3$ 대상)의 특성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일축압축강도, 투수계수, 모관상승고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이들 연구를 뒷받침할 수 있는 경량기포혼합토의 미세구조에 대한 연구도 아울러 진행되었다. 사진을 통한 미세 구조 분석 결과 경량기포혼합토 내의 기포는 다양한 크기로 존재하며, 위치별 기포의 분포는 거의 일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기포 안에 아주 많은 미세한 공극들이 존재하여 물에 의해 경량기포혼합토가 포화상태에 가까이 도달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미지를 이용한 간극률 산정도 같이 이루어졌다. 일축압축강도 시험 결과, 물에 의한 극한강도 값의 변화는 없으나 응력-변형거동에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량기포혼합토의 투수계수는 평균 $4.857{\times}10^{-6}cm/sec$로 점토보다는 약간 큰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량기포혼합토의 모관상승은 시험초기부터 100분 이내에는 가파르게 진행되고, 그 이후 경과시간에 따라 상승속도가 점진적으로 완만하게 진행됨을 알 수 있다. 모관상승은 곧 재료의 단위중량 증가를 유발하므로 경량기포혼합토의 설계와 유지관리 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하이그레이드소일 연구컨소시엄 (2005), 기포혼합토공법 기술자료.
  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6), EPS 성토공법을 적용한 도로확장용 성토체의 설계.시공 및 계측 연구.
  3. 임종철, 장지건, 이성우 (2007), "경량기포혼합토공법의 적용성", 2007년 한국지반공학회 가을 학술발표회.
  4. 김주철, 이종규 (2002), "준설토를 이용한 경량기포혼합토의 역학적 특성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제18권, 4호, pp.309-317.
  5. 윤길림, 김병탁 (2004), "경량기포혼합토의 압축 및 강도특성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제20권, 4호, pp.5-13.
  6. 윤길림, 유승경 (2004), "현장발생토를 활용한 경량기포혼합토의 강도 및 변형특성"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제20권, 9호, pp.125-131.
  7. 송준호, 임종철, 홍석우(2008), "원료토의 특성에 따른 경량기포혼합토의 압축강도 영향인자 분석",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제24권, 11호, pp.1-10.
  8. 건설교통부 (1997), 경량기포콘크리트 재료개발연구.
  9. V. T. Chow (1979), Developments in Water Science; 7, Elsevier.
  10. KS F 4039:2004 현장 타설용 기포 콘크리트.
  11. K. H. Head (1986), Manual of Soil Laboratory Testing, Vol.3 : Effective Stress Te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