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Sediment Improvements with Peat Moss on the Blood Properties of Blood Cockle, Tegillarca granosa

토탄을 이용한 저질개선제가 꼬막 Tegillarca granosa의 혈액학적 성상에 마치는 영향

  • Lee, Kyoung-Seon (Division of Ocean System Engineering,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이경선 (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부)
  • Received : 2010.01.12
  • Accepted : 2010.03.24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whether the addition of sediment improvements with natural materials to water tanks influenced the hematologic properties and muscle glycogen content of the blood cockle, Tegillarca granosa under laboratory conditions. Following a 10-d matured period of sediment improvements, blood cockles were subjected to 4 groups (0, 100, 300, $800\;g/m^2$) of sediment improvements for 14-d Only one individual died at $800g/m^2$ after 48-h Whole blood, hematocrit value and hemoglobin concentration of blood cockle were changed little by sediment improvements, however, both glucose and glycogen were increased mo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s.

토탄과 같은 자연소재를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연안 저질개선제 살포가 꼬막의 혈액학적 성상 몇 근육 글리코겐 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실내 실험을 실시하였다. 저질개선제를 단위면적($m^2$)당 0, 100, 300, 800g의 양을 살포 후 10일 동안 숙성시킨 꼬막을 수조에 수용하여 14일 동안 사육 실험한 결과 저질개선제를 단위면적($m^2$)당 800g 살포한 구에서 48시간 후에 1개체가 폐사한 것 이외에 심험종료까지 폐사가 일어나지 않아 자연소재로 구성된 저질개선제가 생물 자체에는 직접적인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꼬막 혈액의 전혈량, 헤마토크리트값, 헤모글로빈량에 있어서는 저질개선제 살포 농도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혈액 글루코스량 및 근육 글리코겐량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호, 장종윤, 김재민(2003), 개불, Urechis unicinctus 지충을 이용한 저질 개선 효과, 한국양식학회지, 제16권, 제3호, pp. 159-164.
  2. 김경재(1998), 저질 개선 물질이 넙치와 조피볼락 치어에 미치는 영향, 여수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pp. 4-5.
  3. 박미선, 임현정, 김평중(1998), 서식환경에 따른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의 성장과 글리코겐 및 헤모글로 빈량의 변화, 한국수산학회, 제31권, pp. 176-185.
  4. 오현근(2003), 어장환경 개선제를 이용한 저질 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 여수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6.
  5. 유성규, 유명숙(1973), 굴의 양식에 관한 생물학적 연구(II), 참굴의 산지별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제6권, pp. 66-75.
  6. 이창희(1997), 오염퇴적물 관리의 필요성과 정책방향,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환경포럼, Vol. 1, pp. 1-8.
  7. 이필용(1998), 내만 양식장 퇴적물중의 유기물 농도분포 특성과 양식어장의 환경개선, 해양수산자원 배양에 관한 연구자 협의회 논문집 II, 해외어업협력재단, pp. 450-454.
  8. 천경무, 이창훈, 신현상(2005), 피트모스로부터 추출한 휴민을 이용한 수중 PAHs의 흡착특성연구, 대한환경공학회, 2005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 31-37.
  9. 천미희, 손희정, 김철(2007), 유류오염 토양에서 유류분해 미생물의 분리 및 Peat moss를 이용한 오염토양 처리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 33, pp. 462-469.
  10. 해양수산부(2003), 노후 양식어장의 효율적 저질 개선 방안 연구, pp. 5-29.
  11. 해양수산부(2006), 해양환경공정시험법, pp. 1-132.
  12. 황선도, 김종식(2003), 새만금 간척사업에 따른 갯벌 패류의 군집구조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제36권, pp. 708-715.
  13. Ansaldo M., D. E. Nahabedian, E. Holmes-Brown, M. Agote, C. V. Ansay, N. R. V. Guerrero, and E. A. Wider(2006), Potential use of glycogen level as biomarker of chemical stress in Biomphalaria glabrata, Toxicology, Vol. 224, pp. 119-127. https://doi.org/10.1016/j.tox.2006.04.037
  14. Cicik, B., and K. Engin(2005), The effects of cadimium on levels of glucose in serum and glycogen reserves in the liver and muscle tissues of Cyprinus carpil (L., 1758), Turk Journal of Veterinary Animal Science. Vol. 29, pp. 113-117.
  15. Krishnan, R., H. W. Parker and R. W. Tock(1995), Electrode assisted soil washing.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ol. 48, pp. 111-119.
  16. Marijke M. A. and Ferdinandy-van Vlerken(1998), Changes for biological techniques in sediment remediation,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37, pp. 345-353.
  17. 廣島水産硏究會(1979), カキ殼を利用したカキ養殖場の改良試驗報告書, pp. 3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