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O 해양사고조사코드의 도입과 해양사고조사제도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IMO Casualty Investigation Code and Marine Safety Investigation System in Korea

  • 임채현 (목포해양대학교 기관시스템공학부)
  • Lim, Chae-Hyun (Division of Marine Engineering,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투고 : 2010.01.08
  • 심사 : 2010.03.24
  • 발행 : 2010.03.31

초록

해양사고조사는 해양에서 발생한 사고 및 준사고에 대해 조사하여 원인을 규명히고, 이를 통해 미래의 유사사고 재발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국제해사기구(IMO)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국가들은 해양사고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해사안전관련 협약 및 관련 국내 법규를 채택하고 개정한다. 특히, 최근 국제해사기구는 해양사고의 조사에 있어 각국이 협조하여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일정한 양식에 따라 보고하며, 동 보고에 근거하여 새로운 국제적 안전기준을 마련하여 사고의 재발방지에 도움이 되도록 규정한 IMO 해양사고조사코드를 채택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해양사고의 조사 및 심판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해양안전성심판제도를 통해 해양에서의 사고 원인을 규명함으로써 해양안전의 확보에 이바지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IMO 해양사고조사코드를 분석하고 해양안전심판제도와 비교 분석하여 코드 도입에 따라 우리나라 해양사고조사제도인 해양안전심판제도에 있어서 반영되고 개정되어야 할 몇 가지 사항에 대해 논의하며 이를 향후 제도 개선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제공한다. 이에는 특히, 조사기관의 독립과 조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국선심판변론제도 몇 선원인권보장 등이 포함된다.

The marine safety investigation inquires and concludes the facts and causes of the marine casualties and incidents with the objective of preventing similar roses in the future. Thus, IMO and most states adopt and revise marine safety related conventions and national laws based on the results of marine safety investigation. In particular, IMO recently adopts mandatory IMO Casualty Investigation Code to identify the precise cause of rose with states' cooperation, to report the result of investigation, and to establish new international safety standard helping prevention of similar cases based on the report. The Judgement of the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 system based on the 'Act on the investigation of and inquiry into marine accidents' is used for the purpose of marine safety investigation in Korea to prove cause of marine accident and to improve marine safet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Code and compares the Code with the Act to reflect the contents of provisions in the Code into the Act. The study would also be the basic references in relation to revising of marine safety investigation system in Korea Specially, the contents in relation to the independence of investigation authority and mandatory counselling system, and guarantee of seafarers human rights to ensure fairness of investigation would be included.

키워드

참고문헌

  1. 나송진, 김상수, 박진수, 정재용(2002), 해양사고조사매뉴얼의 비교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26권, 제5호, pp. 497-504.
  2. 조동오, 목진용, 박용욱(2002), 우리나라 해양안전심판제도의 발전방향, 한국해양수산개발원, p. 149.
  3. 주종광, 이민수, 이은방, 최석윤(2009), 해양사고조사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해사법연구, pp. 233-252.
  4. 최선호(2005), 국선변호인제도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 pp. 415-436.
  5. 해양사고의 조사 및 심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2009.8.18), 정부제출 의안번호 5712.
  6. 허용범(2003), 사법부 판례로 본 해양안전심판원 및 재결의 부가적 기능, 해양환경안전학회 추계학술발표회자료집, pp. 23-28.
  7. 황석갑, 정영석(1995), 해난 심판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해사법연구, 제7권, 제1호, pp. 21-42.
  8. IMO Circular MSC-MEPC.3/Circ.2(2008), 13, June 2008.
  9. IMO Resolution MSC.255(84)(2008), 16 May 2008.
  10. JTSB web(2010), http://www.mlit.go.jp/jtsb/english. html.
  11. KMST web(2010), http://www.kmst.go.kr(해양안전심판원 홈페이지 해양사고통계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