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해양산업 육성을 위한 '해양산업박람회' 개최방안 구상

Strategy for Growth of Ocean Industries through Holding the Busan Ocean Industry Expo

  • 김상구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행정학과) ;
  • 우양호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
  • 정문수 (한국해양대학교 유럽학과)
  • Kim, Sang-Goo (Department of Maritime Administration,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 Woo, Yang-Ho (Institute of International Maritime Affairs,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 Jung, Moon-Soo (Department of European Studies,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투고 : 2010.01.18
  • 심사 : 2010.03.24
  • 발행 : 2010.03.31

초록

본 연구는 부산의 지역해양산업의 육성과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해양산업박람회의 개최 논리와 효과적인 실행 방안을 구상하고자 했다. 본 연구가 다루고자 하는 해양산업박람회는 기존의 모든 해양산업들을 포괄하는 종합전시회로서의 위상과 의미를 담고 있다. 그러므로 향후 부산에서 진정으로 개최되어야 할 박람회는 해양산업박람회가 되어야 한다는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취지와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순차적으로 부산의 해양산업 환경과 비중을 검토하고, 기존 전시회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본 다음, 해양산업체에 대한 의견조사를 통해 해양산업박람회의 합리적인 개최논리와 방안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Busan Ocean Industry Expo on ocean related industries and Busan regional economy. The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various projects related to Busan Ocean Industry Expo and answered the question of how to link the effects to development of ocean related industries as well as the economic activation of Busan area. To attain this goal, first of all,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status of ocean related industries, characteristics of existing exposition and opinion of enterprises. To maximize the above positive effects of Busan Ocean Industry Expo, several strategic alternatives were sugges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길성․박복재(2008), 여수세계박람회의 경제적 효과 제고방안: 광양만권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4집, 제3호, pp. 37-55.
  2. 노용호․김화경(2006), 지각된 가치와 태도에 의한 산업전시박람회참관자의 행동의도, 관광학연구, 제30권 제6호, pp. 361-379.
  3. 부산광역시(2009), 부산광역시 해양산업육성에 관한 조례 (부산광역시 공고 제2009-814호). p. 6
  4. 부산국제무역수산엑스포(2009), http://www.bisfe.com.
  5. 부산국제해양대제전(2009), http://www.marineweek.org.
  6. 부산발전연구원(2001), 해양수도의 기능 및 역할 수립과 부분별 사업검토, 연구보고서, pp. 1-45.
  7. 부산발전연구원(2007a), 해양수도 부산의 잠재력분석과 추전전략 연구, 연구보고서, pp. 1-88.
  8. 부산발전연구원(2007b), 해양특별시 설치타당성 연구 조사 용역, 연구보고서, pp. 1-23.
  9. 신윤창․김호식․김장기․손경숙(2002), 관광문화박람회를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의 탐색: 2002 삼척세계동굴박람회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6권, 제3호, pp. 191-212.
  10. 유재경(2003), 지역진흥 이벤트로서 일본 박람회 역할에 관한 연구, 일본문화연구, 제9집, pp. 119-132.
  11. 통계청(2009), KOSIS(사업체기초통계) 조사, http://www.kosis.kr.
  12. 한국해사문제연구소(2009), 해운, 조선, 물류 2010년 산업전망과 현안, 월간해양한국(11월), pp. 116-119.
  13. 해양산업발전협의회(2007), 부산지역 해양산업 실태조사 및 분석, 연구보고서, pp. 1-35.
  14. 홍영호․박희수(2006), 산업박람회 참가자의 중요속성 인식에 관한 연구, 이벤트컨벤션연구, 제5권, pp. 73-91.
  15. Cooper, M. (1999), "Prediction and Reality: The Development of the Australian Convention Industry 1976-1993, and Beyond", Journal of Convention & Exhibition Management, Vol. 1(4), pp. 3-15. https://doi.org/10.1300/J143v01n04_02
  16. Hultsman, W. (2001), "From the eyes of an exhibitor: Characteristics that make exhibitions a success for all stakeholders", Journal of Convention & Exhibition Management, Vol. 3(3), pp 27-44. https://doi.org/10.1300/J143v03n03_03
  17. Morrow, S. (2001), The Art of the Show.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Exposition Management. IAEM Foundation Inc.(3rd edition), pp. 1-43.
  18. Ngamsom, B. and J. Beck(2000), "A Pilot Study of Motivation, Inhibitors, and Facilitators of Association Members in Attending International Conferences", Journal of Convention & Exhibition Management, Vol. 3(3), pp. 45-62.
  19. Tongren, H. N. and J. P. Thompson(1981), "The Trade Show in Marketing Education", Journal of Marketing Education, Vol. 20(fall), pp. 250-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