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건설분야의 IT 융합기술 개발모델

Developing Model of Fusion Technology Between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Industry

  • 서주원 (현대건설 기술품질개발원) ;
  • 황찬규 (서울벤처정보대학원 대학교)
  • 투고 : 2010.03.05
  • 심사 : 2010.04.09
  • 발행 : 2010.04.30

초록

국내 건설산업이 새로운 도약을 이루기 위해서는 해외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와 새로운 시장의 창출이 필요하다. 국제적인 기술경쟁력을 가진 건설 분야와 IT 분야의 융합기술 개발을 통한 국제 경쟁력 확보와 새로운 시장창출은 성공가능성이 매우 높게 평가된다. 그렇지만, 구체적인 실현에 있어서 기술적 장벽뿐만 아니라, 융합개발의 명확한 모델이 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건설 산업 관점에서 융합기술의 가능영역과 적절한 개발모델의 제시가 요구되고 있다. 건설 분야의 IT 융합기술은 생산성 향상과 노동력 절감 및 유지관리 구조물의 생애주기 비용절감을 통한 경쟁력 강화 분야와 u-city와 같은 수요창출형 신상품의 개발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IT 융합기술 개발 단계에서 건설사 관점에서 철저한 수요중심의 접근과 빠른 IT 기술발전에 대응하는 전략이 요구되며, 융합개발의 주도그룹을 선두로 선순환적인 순환모델을 적용하는 전략이 효과적일 것이다.

In the edge of new jumping up in global market, our construction industry is required to develop a competitive power and new construction market. As a considerable global player, our construction industry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are regarded as to achieve more competitiveness and new market by developing fusion technology between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technology. But, practically not only the technologic barrier but unripe developing model, it is time to visualize fusion strategic model and possible area as a constructional point of view. The aim of fusion technology is to increase productivity by reducing labor power and over all life cycle cost and to suggest new market with effective demanding power such as ubiquitous-city. As a successful development model, both the demand driven approach dealing with prompt IT developing speed and a circular leading model boosted by leading group will be key factors.

키워드

참고문헌

  1. STEPI, 특허로 살펴본 국내 융합기술의 과학기반 특성, 2007.
  2. 산업연구원, 산업의 새로운 트랜드와 경쟁정책, 2007.
  3. 산업연구원, 신기술 융합화에 따른 산업패러다임 변화와 우리의 대응, 2004.
  4. 건설산업연구원, 글로벌 수준의 건설 현장 만들기, 2006.
  5. CII, Design practices to facilitate construction automation
  6. SiSTeC,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for Civil Infra-Structure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