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s Between Gender, Gender Role Identity, Parent's Affectionate Behaviors and Care in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중국 중학생의 배려심과 성별, 성역할정체감 및 부모의 애정적 양육행동 간의 관계

  • Lin, Shu Xin (Tianjin Normal University) ;
  • Kim, Hee-Haw (Dept. of Child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Research Institute of Ecology for the Elderly, Pusan National Univ.) ;
  • Kong, You-Kyoung (Dept. of Child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Pusan National Univ.)
  • Received : 2010.03.31
  • Accepted : 2010.05.31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gender, gender role identity, parents' affectionate behaviors and care in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Also,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in care among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respect to parent's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subjects were 478 3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Tianjin, China.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 of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respect to mother's job and age. In other words, a higher level of care of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was shown in students who had an unemployed mother, labour mother or mothers of 46 years and over. As result of examining the main effects of gender, gender role identity and parent's affectionate behaviors caring for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with respect to gender role identity and parents' affectionate behaviors. Masculinity, femininity and androgyny identity demonstrated a higher care than undifferentiated identity. Also, a higher level of care was associated with higher parents' affectionate behaviors. There were interaction effects caused by gender and gender role identity in care for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Also, there were interaction effects caused by gender and parent's affectionate behaviors on the nature of care for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Keywords

References

  1. 강승호.고인자(2003) 중.교교생의 도덕판단능력과 배려성 및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분석. 사회과학연구 42, 1-31.
  2. 강윤옥(2004) 최근 10년을 통해서 본 중국 여성의 지위변화 양상. 여성가족생활연구 8, 1-16.
  3. 곽경화.정옥분(2000) 보살핌 지향의 도덕성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1(2), 213-232.
  4. 구자순(1990) 중국의 가족개혁과 정치사회화. 중소연구 14(1), 227-247.
  5. 국립국어연구원(1999)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두산동아.
  6. 김경신.이선미(2007) 중국 조선족 기혼여성의 심리적 복지감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5(2), 119-131.
  7. 김소영(2005) 중학생의 배려심 : 요인구조 및 관련 변인.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문숙재.조성은(1999) 중국 가정학의 발달과 현황. 대한가정학회 37(2), 73-83.
  9. 박병춘(1999) 보살핌윤리의 도덕교육적 접근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송유진(2005) 한국과 중국 도시가족에서의 성역할 분담 비교연구: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39(1), 111-136.
  11. 신만수(1998) 동남아시아 관리자 및 근로자들의 가치 성향 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연구결과논문.
  12. 안현지(1999) 부모의 양육태도와 정서 지능의 관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양현정(2000) 유아의 사회성 발달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발달과 사회적 덕목 수행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윤연주(2004)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도덕성 발달과의 관계 연구.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나현(1997) 배려의 윤리 관점에서 분석한 도덕판단 지향성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이사라.박혜원(2005) 부모, 또래, 교사가 아동과 청소년의 자아개념발달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조선족과 한국 아동 및 청소년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43(5), 163-181.
  17. 이상우(1989) 도덕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수연(2001) 배려윤리의 도덕교육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은영.서운석(2008) 한, 중, 일 3국의 성별 인식 차이에 대한 현황 분석. 한중사회과학연구 12, 161-187.
  20. 이재영(2007) 청소년의 문화성향에 따른 성역할정체감, 심리적 조망 및 도덕성 지향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장공자(2006) 중국의 사회구조변화와 여성 : 소강사회건설과 여성의 정치 사회참여. 국제지역연구 9(2), 412-435.
  22. 정미연(2000) 한국 고등학생의 배려지향적 도덕성과 정의지향적 도덕성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정옥분.곽경화(2003) 배려지향적 도덕성과 정의지향적 도덕성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4(1), 1-20.
  24. 정진경(1990) 한국 성역할 검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5(1), 82-92.
  25. 최시원(1997)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도덕적 판단력과의 관계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행정안전부(2009) '2009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주민 현황' 조사.
  27. 홍제성(2010) '자녀의 노예'된 중국의 젊은 부모. (2010. 01. 16).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society/index.html
  28. 황미숙(2005)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어머니 양육태도 유형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황병위(1996)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유형과 아동의 도덕성 발달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Bem SL(1975) Sex role adaptability : One consequence of psychological androgyn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1, 634-643.
  31. Gilligan C(1982) In a different voice : Psychological theory and women's development.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32. Heibrun AB(1986) Androgyny as type and androgyny as behavior : Implications for gender schema in males and famales. Sex Roles 14, 123-139. https://doi.org/10.1007/BF00288244
  33. Hurlock EB(1978) Child development. New York: McGraw-Hill.
  34. Pleck JH(1975) The dating experience for adolescent girls. Adolescence 38, 157-173.
  35. Sochting I, Skoe EE, Marcia JE(1994) Care-oriented moral reasoning and prosocial behavior : A question of gender or sex role orientation. Sex Role 31, 131-147. https://doi.org/10.1007/BF01547711
  36. Walker LJ(1989) A longitudinal study of moral reasoning. Child Development 60, 157-166. https://doi.org/10.2307/1131081
  37. Weeks MR(1989) Virtuous wives and kind mothers : Concepts of women in urban China. Women's Studies International Forum 12(5), 505-518. https://doi.org/10.1016/0277-5395(89)90057-5
  38. 上海社會硏究院(1995) 個人他人關契硏究報告書.
  39. 周志榮.劉麗(2008) 兒童利他行爲發展硏究的新發展. 敎育理論與實踐 28(3), 103-104.
  40. 劉文.楊麗珠(2004) 社會抑制性與父母敎養方式對幼兒利他行爲的影響. 心理發展與敎育 1, 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