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lth Food Intake and Behavioral Intentions to Take Health Food on Male Workers by Practiced Health Behavior in Seoul

서울 남자 직장인의 건강행위실천별 건강식품 섭취 행동 의도 및 영향 요인

  • Received : 2010.06.03
  • Accepted : 2010.06.16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arch the health food intake behavioral intentions of male workers. The health-related behavior of 150 subjects were compared(smoke, alcohol drink, breakfast, BMI, sleep, exercise and health check).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factors health-food intake behavior were evaluated; there were normative beliefs, motivation for compliance, subjective norms, social influence factors, and barriers as perceived behavior control. The results were showed with five points by the Likert scale and Significance by t-test. The most frequently consumed health food was tea(3.40/4points) followed by healthy drinks(2.49/4). As behavioral beliefs, if consumption of 'nutritional supplements'(3.61/5) and 'fatigue recovery'(3.62/5) received the highest scores. As a result, the idea of 'nutritional supplements'(3.94/5) and 'fatigue recovery'(4.06/5) were the important aspects, but others were also positively evaluated. As a sub-factor of subjective norms on normative beliefs, The highest social groups to encourage consumption of health food were parents (3.93/5), and the lowest were doctors (3.02/5). The most influential people were doctors (3.67/5) and spouses (3.65/5). Barriers to consumption health food were side effects (1.09/5) and price (2.08/5). Taking Ginseng products and other processed foods (juice, honey, bamboo, etc.) were correlated with health concern (p<0.05). Taking traditional stamina foods was correlated with dietary habit recognition (p<0.05). Mineral intak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Healthy drinks was negative (p<0.05). Minerals and supplement consumption were correlated with the practice of healthy behavior (p<0.01).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숙.심상준.채희정(2004) 기능성 생물소재로서의 클로렐라. 한국생물공학회지 19(1), 1-11.
  2. 강영자.정수진.양지애.차연수(2007) 전북지역 일부학교 영양사의 건강기능 식품 인식 및 이용실태.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6(9), 1172-1181.
  3. 강은진.김지연.권오란.김명철.김건희(2008) 건강기능식품의 신뢰도 및 이해도향상을 위한 표시제도 연구. J. Fd Hyg Safety 23(1). 51-61.
  4. 강재헌(2005) 체중조절용 건강기능식품의 인체시험. 식품산업과 영양 10(3), 1-4.
  5. 김미경.최보율.이상선(1992) 영양보충제 복용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학회지 25(3), 264-274.
  6. 김미라.임미경(2007) 부산경남지역 소비자의 건강식품 섭취자와 비섭취자의 특성 비교 및 섭취의 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7(6), 798-807.
  7. 김미향(2001) 기능성 식품에 대한인식과 건강에 관여하는 식생활에 관한 연구-대구지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1(2), 151-159.
  8. 김선효.한지혜.황유진.김화영(2005) 우리나리일부 청소년의 건강기능식품 섭취실태. 한국영양학회지 38(10), 864-872.
  9. 김선효(1994) 중년기의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 복용 실태 조사. 한국영양학회지 27(3), 236-252.
  10. 김숙희.김선희.김정선.김주현.윤군애.이대희.이상선.정혜경(2006) 고급영양학. 라이프 사이언스 서울.
  11. 김영옥.제보경.이경옥(2004) 건강관련식품부작용 피해 방지를 위한 개선 방안-행정기관 실무자 면접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과학회지 7(4), 57-70.
  12. 김지연(2008) 건강기능식품 평가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safe food 3(4), 6-11.
  13. 김진숙.이미영.정선희.이정희.김현덕.이주희.현태선.장경자(2001) 50세 이상 성인 및 노인의 특수영양 및 건강보조 식품의 섭취 실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6(5), 798-808.
  14. 김향숙.윤경희.이미진.서병희(2005) 청주지역 주부들의 건강기능식품섭취와 인지도. 충북대학교 생활과학논총 9(2), 179-196.
  15. 김현구(2006) 국내 기능성식품의 현황. 원예과학기술지 24(s), 33-44.
  16. 김현구(2004) 건강기능식품의현황과전망. 식품산업과 영양 9(1), 1-14.
  17. 김혜련(1996)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영양 부문의 2000년 잠정목표와 전략.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2), 161-177.
  18. 김효정.김미라(2009) 노인들의 건강식품섭취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사회심리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8(1), 201-210.
  19. 노경희.장지현.조미경.송영선(2008)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난소절제 흰쥐에서 녹차가공품이 골대사 지표에 미치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7(12), 1560-1569.
  20. 문제학.박근형(1995) 차의 기능성 성분과 생리활성. 한국차학회지 1(1), 177-193.
  21. 박경식(2008) 건강기능식품의 안전성 평가와 부작용 시그널분석. safe food 3(4), 12-17.
  22. 박동연(2006) 영양교육에 있어 계획적 행동이론과 사회적 지지의 활용. 영양교육이론 활용 workshop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7-36.
  23. 박영미.손정민.장학철(2005) 당뇨병환자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이용실태 및 주관적 인식에 관한 조사.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11(2), 216-222.
  24. 박용만(2006) 건강보조식품에 대한 형태와 건강인식에 따른 건강행위 분석.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박유경.박미영.성미경.권훈정(2005) 건강기능식품법에 의해 고시된 원료 포함 여부에 따른 건강 증진용 식품의 섭취 양상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4(3), 374-379.
  26. 박재홍.권오옥(2007) 건강기능식품의 소비행위에 관한 연구. 식품유통연구 24(3), 43-56.
  27. 박현서.이영순.구성자.한명주.조여원(1997) 식생활과 건강. 효일 문화사 서울.
  28. 박혜련(2006) 건강기능식품의 올바른 사용. 건강생활 34-35.
  29. 백희영.문현경.최영선.안윤옥.이홍규.이승옥(1998) 한국인의 식생활과 질병-연구방법론 및 자료집-. 서울대학교 출판부.
  30. 신정민(2002) 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장.중년층의 건강식품 및 건강보조식품 섭취 실태와 섭취에 영향을 주는 제 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양윤준(1992) 내원자에 대한 일부 건강식품 섭취 조사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유소이(2009) 과체중과 비만 소비자의 건강기능성 식품 소비행동 결정 요인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0(4), 503-514.
  33. 유태우.김병익.김진봉.김동준.김재우.백순구.김광석.천갑진(2007) 독성 간손상 관련 한국인의 약물복용실태와 건강비용조사; 독성 간손상의 진단 및 보고체계 구축을 위한 다기관 공동연구. 대한간학회지 13(1), 34-43.
  34. 유현정.구분정.권희원.김효정(2007)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소비자의식 및 정보요구도. 충북대학교생활과학연구논총 11(1), 107-126.
  35. 오진주(1997) 우리나라 일반성인의 연령별 건강행위 및 관련 요인에 대한 비교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9(2), 286-295.
  36. 이복이.정보영.김인수.문수경(2005) 거주 지역 및 성에 따른 통영지역주민의 건강식품 이용실태 및 건강관련 제요인과의 관련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4(6), 840-849.
  37. 이상선.김미경.이은경(1990) 서울지역 성인의 영양보충제 복용 실태 조사. 한국영양학회지 23(4), 389-396.
  38. 이순영.서일(1995) 주요 건강실천행위가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역학회지 17(1), 48-63.
  39. 이정렬.박신애(1996) 역학과 건강증진. 제12장. 수문사 서울. 347-348.
  40. 이종원.도재호(2005) 건강기능식품의 시장현황 및 인삼시장의 전망. 고려인삼학회지 29(4), 206-214.
  41. 이현숙.권오란.원혜숙.김주희.곽진숙.정세원.홍소영.홍진환.이혜영.김지연.강윤정.김미경(2009) 건강기능식품기능성 평가 교육 요구도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4(3), 331-337.
  42. 임병우.이창진.김종대(2004) 식이섬유질의 면역조절기능에 관한 연구. 식품산업과 영양 9(2), 26-30.
  43. 임현정.조금호.조여원(2005) 고지혈증 환자에서 의학영양치료와 병행하여 섭취한 기능성 차(상엽, 구기자, 국화, 대추, 참깨, 나복자)의 혈중지질농도저하 및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4(1), 42-56.
  44. 장유경.정영진.문현경.윤진숙.박혜련(2001) 지역사회영양학. 신광출판사 서울.
  45. 정영호(2007) 국민건강의 결정요인과 정책적 함의: 건강생활 실천 요인을 중심으로. 대한보건협회학술지 33(기념호), 44-69.
  46. 제미경.이경옥.김영옥(2004) 건강관련 식품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 실태조사. 인제대학교 인제논총 19(1), 293-307.
  47. 차명화.김유경(2008) 건강기능식품 소비가치와 구매의도의 관계에 대한 건강동기 건강염려 식품 몰입의 조절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7(11), 1435-1442.
  48. 차명화.김유경(2008) 해조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소비가치분석.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3(4), 462-468.
  49. 최미경.이윤식(2008) 성인 남녀의 건강증진제 섭취에 따른 영양섭취상태.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8(5), 732-738.
  50. 한국소비자보호원(2005) 건강기능식품의 표시제도의 개선방안. 안전보고서 p 5 http://www.kca.go.kr/
  51. 한명규(2003) 기능성 성분을 가진 식품의 인체건강 유용성에 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지 16(3), 224-231.
  52. Belloc NB, Breslow L(1972) Relation of Physical health status and Health practice. Prev Med 1, 409-421. https://doi.org/10.1016/0091-7435(72)90014-X
  53. Harrison RA, Sagara M, Rajpura A, Armitage L, Birt N, Birt CA, Yamori Y(2004) Can foods with added soya-protein or fish-oil reduce risk factors for coronary disease? A factorial randomised controlled trial. Nutr Metab Cardiovasc Dis 14(6), 344-350. https://doi.org/10.1016/S0939-4753(04)80024-3
  54. Nantz MP, Rowe CA, Nieves C Jr, Percival SS(2006) Immunity and antioxidant capacity in humans is enhanced by consumption of a dried, encapsulated fruit and vegetable juice concentrate. J Nutr 136(10), 2606-2610.
  55. Breslow L, Enstrom JE(1980) Persistence of health habit and their relationship to mortality. Prev Med 9, 469-483. https://doi.org/10.1016/0091-7435(80)90042-0
  56. Wiley JA, Camacho TC(1980) Life style and future health : Evidence from the Alameda County study. Prev Med 9, 1-21. https://doi.org/10.1016/0091-7435(80)9005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