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Psychological Burnout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Police Officers

경찰관의 심리적 탈진이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신성원 (대구한의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Received : 2010.04.29
  • Accepted : 2010.06.01
  • Published : 2010.07.28

Abstract

Policing is regarded as a stressful occupation. Police Officers have been reported to have increased rates of cardiovascular and gastrointestinal disorders, divorce rates twice the average, and suicide rates two to six times the averag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psychological burnout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police officers. In the regression analysis, psychological burnout have significant relations with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correlation analysis, psychological burnout have a negative 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and a positive relation with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have a negative relation with turnover intention.

경찰직은 특별히 스트레스가 많은 직업으로 여겨진다.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경찰관들의 심혈관 및 위장장애 발생율이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왔고, 이혼율은 평균의 2배이며, 자살율은 2-6배에 이른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경찰관의 스트레스 증상 중 하나인 심리적 탈진이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회귀분석에서는 심리적 탈진과 직무만족 및 의직의도 사이에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으나, 그 설명력은 낮았다.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심리적 탈진과 직무만족은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심리적 탈진과 이직의도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한편,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상호간에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심리적 탈진 정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낮고, 이직의도는 높으며, 심리적 탈진 정도가 낮을수록 직무만족은 높고, 이직의도는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직무만족이 높으면 이직의도가 낮고, 반대로 직무만족이 낮으면 이직의도가 높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A. M. Liberman, S. R. Best, T. J. Metzler, J. A. Fagan, D. S. Weiss, and C. R. Marmar, "Routine occupational stress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police," Policing : An International Journal of Police Strategies & Management, Vol.25, No.2, pp.421-439, 2002. https://doi.org/10.1108/13639510210429446
  2. 권영주, “개인특성의 직무스트레스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교사들의 심리적 탈진을 중심으로”, 영남지역발전연구, 제33집, 영남대학교 지역발전연구소, pp.200-201, 2004.
  3. 한상암, 신성원, “우리나라 경찰공무원의 심리적 탈진이 음주 및 흡연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7호, p.196,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7.195
  4. 김병섭, “경찰공무원의 심리적 탈진 원인분석”, 한국행정학보, 제29권, 제2호, pp.130-131, 1995.
  5. 김병섭, “경찰공무원의 심리적 탈진 원인분석”, 한국행정학보, 제29권, 제2호, pp.449-450, 1995.
  6. 신성원, “경찰관의 폭력피해경험이 탈진감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학회보, 제12권, 제1호, pp.124-125, 2010.
  7. 이상원, “경찰관서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부하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17호, pp.261-288, 2004.
  8. 서규하, “경찰관의 직무만족에 관한 실태분석과 평가”,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6호, pp.295-324, 1997.
  9. 김보환,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비간부 경찰관을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11호, pp.39-69, 2001.
  10. 이상원, “경찰관의 개인적 특성 및 교육훈련과 직무만족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초급간부 경사.경위 경찰관을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14호, pp.135-157, 2002.
  11. 김구,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치안센터 민원담당관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6권, 제3호, pp.59-87, 2005.
  12. 신성원, “경찰관의 폭력피해경험이 탈진감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학회보, 제12권, 제1호, pp.126-127, 2010.
  13. 박영진, 안황권, 왕석원, “민간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경호경비연구, 제12호, p.181, 2006.
  14. 이환범, 이수창,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 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조직학회보, 제3권, 제2호, p.88, 2006.
  15. 김형섭, “호텔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관광연구, 제19권, 제3호, 2005.
  16. 이환범, 이수창,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 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조직학회보, 제3권, 제2호, p.89, 2006.
  17. 박영진, 안황권, 왕석원, “민간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경호경비연구, 제12호, p.182, 2006.
  18. 박성수, “경찰공무원의 스트레스가 이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13호, p.114, 2002.
  19. C. Maslach, S. E. Jackson,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2nd ed.), Palo Alto, CA :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1986.
  20. 김병섭, “경찰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심리적 탈진”, 한국행정연구, 제3권, 제4호, pp.129-152, 1994.
  21. M. Davison, C. Cooper, Stress and Woman Manager, Oxford, Martin Robert Son & Company LTd., 1983.
  22. 고려대학교 부설 행동과학연구소 편, 심리척도핸드북, 학지사, pp.563-564, 2000.
  23. S. P. Brown and R. A. Peters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lesperson Job Satisfaction : Meta-Analysis and Assessment of Causal Effec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No.30, 1993.
  24. 천순덕,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상사-부하 교환관계와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5.

Cited by

  1. The Effect of Police Department Size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Police Officers vol.15, pp.2,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2.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