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mand Prospect of Professional Workers in Execution of the Elderly's Long-Term Care Insurance -Nurse, Social Welfare, Care Probation Professional workers-

노인 장기요양 보험제도 실시에 따른 전문직종사자의 수요 예측 -간호사,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091200
  • Accepted : 20100200
  • Published : 2010.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pare the department creation and the staff increase of education institution by forecasting the demand of health and welfare workers according to execution of the elderly's long-terms treatment insurance system in July, 2008. We estimated confirmors of the elderly's long-terms treatment and the demand of professional workers of health and welfare field due to the increase of care insurance users in facilities treatment organization, care at home service facilities, and family allowance facilities for 2010-2030. The numbers of social welfare professional worker are estimated as 16,624 workers in 2020 and 24,688 workers in 2030. The numbers of nurses are forecasted as 11.287 in 2020 and 16,624 in 2030, we expect that the increase of the demand be accelerated. The demand of necessary care probation worker is 44,824 in 2009, but we already trained over around 500,000 workers in 1,078 education institutions through one year in Aug. 31, 2009, which excesses over the numbers of workers demanded as much as 10 times.

본 연구의 목적은 2008년 7월에 실시된 노인 장기요양 보험제도 실시에 따라서 보건 복지 전문직 종사자의 수요모형을 구축하고 수요를 예측함으로써 인프라구축이 필요한 교육기관의 학과개설과 증원에 대비하고자 함이다. 2009년 5월 현재 노인 장기요양 보험 시행 1주년 주요 통계 현황을 바탕으로 2010부터 2030년까지 장래 노인인구의 노인 장기요양 인정자 추계와 이에 따른 시설 요양기관, 재가 서비스기관, 가족급여등의 요양보험 이용자로 인한 보건 복지 전문직 종사자의 수요를 측정하였다. 사회복지사는 2020년 16,624명 2030년 24,688명으로 전망되었다. 간호사는 2020년 11,287명, 2030년에는 16,764명으로 수요증가가 가속화될 전망이다. 요양보호사의 경우 2009년에 필요한 인원은 44,824명이며 8월 31일 현재 1,078개의 교육기관에서 1년간 약 50만명 이상을 양성함으로써 소요인원의 10배 이상으로 과다 양성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민건강보험관리공단 (2009). 2009년 5월 현재 장기요양기관현황.
  2. 김수영 (2008). 노인 장기요양 보험 질적 서비스 제고 방안,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516-527
  3. 김준환 (2008). 노인 장기요양 보험제도의 서비스 질 향상방안, 요양보호사의 인력양성 및 전문성 향상을 중심으로, <극동사회복지저널>, 4, 49-83.
  4. 김철수 (2007). 노인 장기요양 보험시행을 위한 보완적 서비스 전달체계 제안: 시설 급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 14, 126-156.
  5. 김후진 (2008). 노인 장기요양 보험의 시행에 따른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6, 431-461.
  6. 노진덕 (2008). 일본의 개호보험제도의 운용현황과 시사점, <한국정책연구>, 8, 83-98.
  7. 박용억, 황성하, 최연희, 김현미, 김현실, 전은영, 민애경, 서부덕, 이계희, 이혜경 (2005). 노인요양보장제도에 있어서 케어메니저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대한 케어 보건학>, 1, 89-117.
  8. 박정호, 여진주 (2008). 한국 노인장기 요양보험 케어매니저 제도의 입법화, 일본개호보험 케어매니저 제도의 시사점, <한국사회정책>, 15, 91-127.
  9. 보건복지가족부 (2007a). 노인 장기요양 보험법.
  10. 보건복지가족부 (2007b). 노인 장기요양 보험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11. 보건복지가족부 (2008). 노인복지법시행규칙 일부개정령 제48호.
  12. 보건복지가족부 (2009). 노인 장기요양 보험 시행1년의 주요 통계 현황.
  13. 서동민 (2008). 노인 장기요양보험제도의 재정구조와 전망, <한국보건경제학회>.
  14. 석재은 (2008). 노인 요양 보험제도 실시에 따른 일자리창출조사, <실업극복국민재단 정책과제>.
  15. 손용진 (2007). 장기요양보험제도에 따른 케어매니지먼트에 관한 고찰, <한국노년학연구>, 16, 41-57.
  16. 임정기 (2009). 재가노인요양서비스 종류별 이용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정책학>, 16, 193-224.
  17. 전용호 (2008). 노인 장기 요양보험의 서비스 질 관리개선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33, 335-361.
  18. 조추용 (2008). 노인 장기요양 보험에서 요양보호사 양성의 현황과 과제, <대한케어복지학>, 83-109.
  19. 조추용, 황청일 (2005). 우리나라 노인 장기요양 보험에서 케어매니저의 양성에 관한 연구, <대한케어복지학>, 1, 61-82.
  20. 통계청 (2009). 장래인구추계.
  21. Houde, S. C., Gautam, R. and Kai, I. (2007). Long-term care insurance in Japan: Implication for U.S. long-term care policy,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3, 7-13.
  22. Inaaba, M. (2001). Challenges and issues under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in Jap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ork, 36, 51-61.
  23. Kwoo, S. (2008). Future of long-term care finance for the elderly in Korea, Journal of Ageing & Social policy, 20, 119-136. https://doi.org/10.1300/J031v20n01_07
  24. Masaakazu, S. (2004). The evaluation of care management under the public term care in Japan, Geriatrics and Gerontology International, S167–S168.
  25. Quinn, J., pannone, P., Gruman, C. and Roja, M. (2004). Long-term care insurance care management practice issues, Care Management Journals, 5, 25-33. https://doi.org/10.1891/cmaj.5.1.25.61262
  26. Scharlach, A. E., Giunta, N., Robinson, B. and Dal Santo, T. S. (2003). Care management in long-term care insurance meeting the needs of policyholders, Care Management Journals, 4, 73-81.

Cited by

  1. Does long-term care insurance affect the length of stay in hospitals for the elderly in Korea?: a difference-in-difference method vol.14, pp.1, 2014, https://doi.org/10.1186/s12913-014-0630-1
  2. Trends in Home-visit Nursing Care by Agencies' Characteristics under the 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vol.23, pp.4, 2012, https://doi.org/10.12799/jkachn.2012.23.4.415
  3. Factors Influencing Work-related Burnout of Nurses and Caregivers in Nursing Homes vol.14, pp.4, 2013, https://doi.org/10.5762/KAIS.2013.14.4.1755
  4. Influence of Job Stress, Coping Strategies on life satisfaction in long-term care workers -focused in Gyeonggi-do- vol.16, pp.9, 2015, https://doi.org/10.5762/KAIS.2015.16.9.6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