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DL 가이드라인에 따른 디지털교과서 접근성 향상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Accessibility of the Korea Digital Textbook based UDL guidelines

  • 투고 : 2010.03.26
  • 심사 : 2010.05.18
  • 발행 : 2010.05.31

초록

지금까지 정보통신기술(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는 교육 분야에 적용되어 교육이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다양한 한계를 극복하는데 큰 역할을 담당해 왔다. ICT의 발전은 컴퓨터 활용교육, 인터넷 활용교육, 이러닝으로 교수 학습의 방법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최근엔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의 발전으로 유러닝으로의 교육 환경 변화를 예고하고 있으며, 유비쿼터스 핵심 속성인 이동성, 지능성, 개인맞춤성 등이 구현된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뇌과학에 기반해 인지적 측면, 전략적 측면, 정서적 측면에서 학습에 대한 개인의 차이를 인정하고 모든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요한 설계 전략으로 UDL(Universal Design for Learning)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적용한 한국의 디지털교과서의 접근성 향상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Until now, the ICT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to overcome various limitations in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ICT has influenced for the changing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such as Computer-based education, Internet-based education, e-Learning. Lately, the expectation of educational evironment's changing is due to developing of the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y, it's vigorously going to be studying and implementing digital textbook including the ubiquitous features as mobility, intelligence, personality etc. the UDL is well-known as a strategy for teaching and learning using technology in the USA, first, to try understand the UDL, second, recommand the strategies in order to improve accessibility of korean digital textbook.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