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Design Characteristics of Korean War Memorials in the United States

한국전쟁 메모리얼의 설계요소에 나타난 기념성

  • Lee, Sang-Suk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Received : 2009.12.28
  • Accepted : 2010.03.08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esign characteristics of Korean War Memorials(KWM) in the United States(KWMUS). Through site survey and internet searching, the researcher selected 25 KWMUS and analyzed four analysis categories: design concept, spatial form, landscape details, and sculptur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nalysis revealed that main concepts of KWMUS were to cherish victims of the Korean War, show membership/locality/patriotism, express feelings and the meaning of war, and explain the Korean War realistically and symbolically. 2. Most KWMUS in memorial parks and plazas were designed to pursue the completion of each memorial assuming the form of typical and symmetrical circles and squares. Also, spatial order including spatial sequence was seen in some of KWMUS. 3. Stone walls, stone monument, flags, emblems and paving were used as main landscape details. The map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aegeuk were often introduced to symbolize Korea and the Korean War, and the symbolic phrase, 'Forgotten War' or 'Freedom is Not Free' were written on the stone to keep the Korean War in the minds of Americans. 4. Sculptures were used as important media to represent the Korean War in a variety of ways. Most of them were formed realistically, except for a few sculptures that aimed to represent the Korean War symbolically and narratively. In particular, the sculptures in Washington D.C. KWVM and Minnesota KWM were remarkable as symbolic media of war memorials in contemporary society. Further study will be required to analyze comparatively KWM in Korea and the U.S. and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KWM in the point of design style.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 있는 한국전쟁 메모리얼의 설계요소인 설계개념, 공간적 특성, 조경디테일 및 조각의 특성을 분석하고, 메모리얼에 나타난 기념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현장답사, 문헌연구 및 사례연구,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외부공간 설계가 이루어진 25개의 연구대상지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대상으로 평면도, 위성사진, 관련사진을 수집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전쟁 메모리얼에서 나타나는 주요한 개념으로 희생자 추모, 지역 부대 국가의 명예 고양, 집단적 헌신과 정체성 등을 기본으로 하여 전쟁의 의미와 감정, 한국전쟁의 사실적 묘사 및 상징적 표현이 나타났다. 2. 한국전쟁 메모리얼은 기념공원이나 광장의 제한된 부지에 조성되어 독립적인 공간의 완성을 추구하였다. 공간형태 다양하여 원형이나 사각형 형태가 축을 이루는 것이 많이 나타났지만 일부 부정형도 있었으며, 공간적 연속성과 같은 간적 질서가 일부 메모리얼에서 나타났다. 3. 조경디테일은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한 요소로서 기념벽과 기념석, 집단의 정체성을 나타내기 위한 기(旗)와 엠블렘 (emblem)이 주로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한반도 지도 및 태극문양이 한국과 한국전쟁을 상징하기 위해 자주 도입되었으며, 잊혀진 한국전쟁을 기억하고 미군의 한국참전의 타당성과 의미를 나타내고자 'Forgotten War(잊혀진 전쟁)'과 'Freedom is not Free(자유는 거저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가 사용되었다. 4. 조각은 기념성을 다양하게 구현하기 위한 중요한 매체로서 활용되었다. 주로 사실적인 조각이 사용되었고, 일부는 추상적 형태를 갖는 것도 있었으며, 한국전쟁을 상징적이고 은유적으로 표현하였다. Washington D.C. 한국전쟁 참전용사 메모리얼(Korean War Veterans Memorial: KWVM)이나 Minnesota 한국전쟁 메모리얼(Korean War Memorial: KWM)의 조각은 현대적인 메모리얼의 상징적 매체로서 뛰어났다. 향후 한국과 미국에 있는 한국전쟁 메모리얼의 비교문화적 연구와 설계양식론 관점에서 메모리얼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나(2002) Washington DC 내셔널 볼의 한국전 참전용사기념물과 전쟁의 기억.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9: 7-31.
  2. 이상석(2001) 기념성을 구현하기 위한 조경 디테일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9(5): 71-83.
  3. 이상석(2005) 경관, 조형 & 디자인. 서울: 일조각.
  4. 이상석(2009) USS 애리조나 메모리얼과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 환경과조경 254: 142-151.
  5. Gibson, Clare(1996) Signs and Symbol. New York: Barns and Noble.
  6. Jellicoe, G. A.(1970) The Landscape of Symbols. Studies in landscape design Vol III.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2.
  7. Jorgensen. Karsten(1998) Semiotics in Landscape Design. Landscape Review 4(1): 39-47.
  8. Lavoie. Caroline(1998) The wall/ruin:meaning memory in landscape. Landscape Review 4(1): 27-28.
  9. Potteiger, Matthew and Jamie Purinton(1998) Landscape Narratives. New York: John Wiley & Sons.
  10. Schwartz, Barry and Todd Bayma(1999) Commemoration and the Politics of Recognition: The Korean War Veterans Memorial.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2: 946-967. https://doi.org/10.1177/00027649921954679
  11. Wasserman. Judith R.(1998) To trace the shifting sands: Community. ritual. and the memorial landscape. Landscape Journal 17: 42-61.
  12. Watkins. Zina L.(2008) Memorials: Creating National. State. and Local Memorials. CRS Report for Congress.
  13. Whittick Amold(1961) Symbols Signs and Their Meaning. Massachusetts: Charles T. Branford Company.
  14. http://www.google.co.kr/
  15. http://www.koreanmemorial.org/statues.htm
  16. http://koreanwarmemorial.sd.gov/
  17. http://www.stevensnewsservice.com/pr/pr055.htm
  18. 동아일보. 2010년 2월 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