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 인터넷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모애착, 친구관계, 아바타 이미지 표현욕구 및 아바타 동일시의 영향

The Effects of Attachment, Friendship, Avatars Image Decoration Needs, and Avatars Identification on Internet Addiction Tendency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 곽태은 (동아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김해 삼성아동발달센터) ;
  • 전효정 (동아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투고 : 2009.10.30
  • 심사 : 2010.03.26
  • 발행 : 2010.04.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usage among 5th and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o elucidate the path model and the relative effects of various factors on internet addiction in the internet addiction tendency group. According to our results, the normal internet user group exhibit higher educational levels in fathers, secure attachment to mother, and warm friendship when compared to the internet addiction tendency group. At the same time, internet addiction group exhibit longer internet use time, a greater numbers of avatars in use, and higher avatars decoration costs. The research model suggested here was supported by the results. Attachment to mother appears to affect friendship which in turn affects avatars image decoration needs and avatars identification which in turn then has an impact upon internet addiction tendency. These results were then discussed in relation to previous research and theor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경석(2000). 컴퓨터 게임의 몰입기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진희(2007). 초등학생의 컴퓨터 게임중독과 또래관계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교헌(2001). 청소년들의 컴퓨터 사용 실태와 컴퓨터 중독. 학생생활연구, 28, 41-62.
  4. 김성원 . 정인기(2005). 아바타가 학급 홈페이지 몰입 및 초등학생의 사이버 자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9(3), 473-482.
  5. 김수진(2000). 애착수준에 따른 사회적지지, 스트레스 대처 유형에 관한 연구. 학생생활연구, 13, 149-170.
  6. 김주연(2002).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 경향과 관련요인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지형(2002). 청소년의 인터넷중독경향에 따른 부모 양육태도 및 사회적지지에 대한 지각 비교. 아주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한규(2005). 애착이 중학생의 대인관계 및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호경(2001).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에서 아바타에 대한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 아바타 채탱 사이트 '세이클럽'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휘정(2007). 청소년의 애착 및 방어기제와 인터넷 중독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명순 . 박성은(2004). 초등학교 아동의 인터넷 몰입과 사회능력 및 행동발달의 관계. 교육심리학회, 18(1), 313-327.
  12. 박영희(2005). 초등학생들의 아바타 이미지 유형과 신체만측도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유진 . 김재휘(2005). 인터넷 커뮤니티의 사회적 지지가 커뮤니티 몰입과 동일시 몇 개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19(1), 13-25.
  14. 박정화(2005). 인터넷 중독 경향성이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서해림(2003). 디지털 매체 몰입 경험에 관한 연구 게임 플레이어들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손현미(2006). 게임중독과 부모.자녀 애착.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신경선 . 조미헌(2002). 초등 고학년 학생의 인터넷 중독 실태 및 원인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7(3), 31-329.
  18. 안광호 . 유창조 . 김수현(2004). 아바타에 대한 꾸밈 욕구, 아바타 동일시 및 사이트 태도와 충성도에 관한 구조적 모형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 연구, 15(2), 19-38.
  19. 안 석(2000).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에 관한 연구 : 서울소재 중학생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윤재희(1998). 인터넷 중독과 우올, 충동성, 감각추구 성향 및 대인관계의 연관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숙 . 남윤주(2004). 청소년의 친구관계와 인터넷 사용에 따른 인터넷 중독. 대한가정학회지. 42(3), 1-16.
  22. 이승희 . 정진원(2005). 인터넷 쇼핑 중독구매에 관한 연구모형 : 인터넷 중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9(1), 167-176.
  23. 이화진(2007). 게임 이용자의 게임을 통한 충족욕구와 몰입에 관한 연구 : 리니지2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2007). 인터넷 이용 특성 분석 연구. 한국정보문화 진흥원
  25. 임미란 . 고병오(2006).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인터넷 중독 실태와 중독 요인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10(1), 801-811.
  26. 임효정(1999). 사이버 의존 집단과 비 의존 집단 간의 심리적 특성연구 : 대인예민성과 우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장재홍 . 신효정(2003). 청소년 인터넷 중독 예방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15(4), 651-672.
  28. 장휘숙(2008). 기질과 애착이 형제자매와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21(1), 69-87.
  29. 전효정 . 이귀옥(2000). 유아기 부모와의 애착이 청소년기 애착전이와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애착 전이모형 검증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8(1), 185-198.
  30. 전효정(2006).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에 따른 애착유형과 심리적 특성. 청소년학 연구, 13(3), 137-159.
  31. 조미헌 . 신경선(2004).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 현황 및 원인.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집, 7(5), 45-56.
  32. 지희정(2004).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관련요인 분석.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최문희(2005). 사이버 심리의 중요성과 역할, 감성과학, 8(1), 75-83.
  34. 한국인터넷 진흥원(2007). 유아 및 초등학생의 인터넷 이용실태 분석.
  35. 한복희(2001). 인터넷 중독정도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심리.사회적 역기능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허태정(2002). 아바타 이용자의 자아개념과 아바타 이미지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Brenner, V. (1997). Psychology of computer use : XL VII. Parameters of internet Use, Abuse and Addiction : The first 90 days of Internet Usage survey. Psychological Reports, 80, 879-882. https://doi.org/10.2466/pr0.1997.80.3.879
  38. Crittenden, P. (1995). Attachment and psychopathology. In Goldberg S, Muir R, Kerr J (Eds). Attachment Theory : Social, developmental, and clinical perspectives (pp.367-406). New York : The Analytic Press.
  39. Hazan, c., & Shaver, P. R. (1987). Romantic love conceptualized as an attachment pro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 511-524.
  40. Hazan, C., & Shaver, P. R. (1990). Love and Work: An attachment theoretical perspectiv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 270-280.
  41. Mael F. A., & Ashforth. B. E. (1992). Alumni and their alma mater : A Partial test of the reformulated model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3, 103-123. https://doi.org/10.1002/job.4030130202
  42. Shrman, A. M., Lansford, J. E., & Volling, B. L. (2006). Sibling relationships and best friendships in young adulthood; Warmth, conflict, and wellbeing. Personal Relationships, 13, 151-165. https://doi.org/10.1111/j.1475-6811.2006.00110.x
  43. Sullivan, H. S. (1953). The interpersonal theory of psychiatry. New York : Norton.
  44. Young, K. S. (1996). Psychology of computer use : XL. Addictive use of the internet : A case that Breaks the Stereotype. Psychological Reports, 79, 899-902. https://doi.org/10.2466/pr0.1996.79.3.899
  45. Young, K. S., & Rodgers, R.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Internet addiction. Cyber psychology and Behavior, 1(1), 25-28. https://doi.org/10.1089/cpb.1998.1.25
  46. 동아일보(2008. 7. 12). '사이버남편'따라 가출한 초등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