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gital Application and Suggestions of Cultural Prototypes in Traditional Costumes

전통복식 문화원형 콘텐츠의 디지털 활용 현황과 제언

  • Received : 2010.03.16
  • Accepted : 2010.06.30
  • Published : 2010.07.31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current status of costume in the cultural industry and explore feasibility of integrating costume as important cultural contents in the digital era. Among the websites for contents as the cultural archetypes, some have strong foundations while others don't. First, as for various archetypal characters restored based on the Korean history, most of their clothes focus on shapes and colors but lack details. They should be produced in 3D to provide back views or textile patterns to users. To ease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costume, user-friendly services such as launch of a pop-up window when users click on specific contents in question should be available for detailed information. At least there should be a link to other related sites where users can conveniently find more details. Second, some sites have too much data under one subject, increasing complexity and undermining orderliness. As a result, it takes long time to identify the site map. In this case, it is required to rearrange the contents with Quick View by subject and related links for in-depth study. Third, each subject is important to develop the archetypes for a variety of purposes. Creation of design derived from them or their commercialization can be an example but these activities should not restrict imagination of users or degrade the value of the archetypes. Last, it is needed to adopt validation system to detect the needs for a regular update (renewal) and to fix errors. We found many servers whose operation is not stable in general. When these technical issues are addressed for stable operation, users will rely on the sites to utilize them for their purpose of developing the cultural archetypes. In conclusion, advancement of www.culturecontent.com is essential. Based on efficient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system, the quality of contents would be increased and multi-faceted advertising campaigns focusing on needs should be launched, to promote application of the contents. This is the recommendation for the future of the cultural archetype industry in Korea.

Keywords

References

  1. 송현동 (2006). 문화콘텐츠와 한국학-문화원형사업과 한브랜드를 중심으로. 종교연구, 44, p. 63.
  2. 김기헌 (2006). 한국적 디자인콘텐츠 개발을 위한 제언- 문화원형 창작 소재를 활용하여. 한복문화, 2006정기총회 및 추계 학술대회, pp. 4-12.
  3. 문화콘텐츠가 도대체 뭔가요? 자료검색일 2009. 5. 1, 자료출처 www.naver.com 네이버 지식iN
  4. 정창권 (2008). 정창권 교수의 문화콘텐츠학 강의 - 깊이 이해하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p. 27.
  5. 김여경, 홍나영 (2009). 조각보 의미 분석을 통한 문화 상품 개발 방안. 복식, 59(3), pp. 146-147.
  6. 자료검색일 2009. 4. 15, 자료출처 KOCCA CT NEWS 2006년 3월 6일 기사
  7. 자료검색일 2009. 5. 1, 자료출처 http://www.culturecontent.com
  8. 설성인 (2010. 3. 12). 콘텐츠 산업 해외진출 서둘러야. 조선일보.
  9. 김선영 (2009). 매화꽃을 모티브로 한 패션 문화 상품 디자인 개발. 복식문화연구, 17(6).
  10. 서옥경 (2008). 한국적 이미지의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한국전통복식을 연계한 문화상품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 문화학회, 14(2), pp. 230-236.
  11. 서영지 (2007). 문화정체성이 반영된 문화상품에 관한 연구-민화를 이용한 한지지함 연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예진 (2007). 조선시대 직물에 나타난 길상문양을 이용한 벽지 디자인 개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21-128.
  13. 이상필, 김선홍 (2007). CAD를 활용한 함평나비축제 문화상품디자인 콘텐츠연구. 복식문화연구, 15(5).
  14. 이주원 (2007). 꽃문양을 이용한 생활용품 디자인. 목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미령, 김상률 (2006). 유용생물자원을 이용한 천연염료의 개발 및 문화상품전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6).
  16. 정진순 (2004). 연꽃문양을 이용한 직물 디자인 개발 및 문화상품 제작.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4).
  17. 김소형 (2004).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김애숙 (2003). 광주시립미술관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공예논총, 6(1).
  19. 이해영 (2003). 한국 전통 문화상품으로서의 남아 돌옷. 한복문화학회지, 6(3).
  20. 이임정, 김혜정 (2002). 현대 유니폼의 한국 전통문화 수용에 관한 연구. 디자인포럼21, 5(-).
  21. 이임정 (2002). 한국전통 창살문양을 응용한 호텔 유니폼 디자인 개발.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전승현 (2002). 조선시대 매화문을 응용한 복식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재민 (2002). 지역문화를 기반한 패션문화 상품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정온슬기, 정성혜 (2001). 우리나라 관광쇼핑상품의 시장현황과 패션문화 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1).
  25. 백보나 (2000). 호텔 종업원 유니폼 개발을 위한 디자인 방법 제안: 한국전통미의 현대적 활용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종분, 이수철 (2000). 한국의 전통적 곡선미를 이용한 문화상품 개발연구. 디자인학연구집, 6(1).
  27. 강은선 (1997). 우리나라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진흥정책에 관한 연구. 매일경제연구소.
  28. 문화예술 (1998). 21세기 문화산업 어떻게 할 것인가.
  29. 삼국유사 판타지 원형의 리소스 구축 및 디지털콘텐츠 개발. 자료검색일 2009. 4. 15, 자료출처 http://fansilla.culturecontent.com
  30. 자료검색일 2009. 4. 15, 자료출처 www.dreamhans.com
  31. KCRC = 코리아 콘텐츠 리소스 센터
  32. 삼국유사 판타지 원형의 리소스 구축 및 디지털콘텐츠 개발: http://fansilla.culturecontent.com
  33. 박아림 (2007). 고구려의 문화상품 디자인 콘텐츠 개발. 고구려연구, 28, pp. 167-205.
  34. 엄경희 (2003). 한국전통자수 생활용품에 표현된 자수 문양의 특징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9(4), pp. 117-128.
  35. 자료검색일 2009. 4. 5, 자료출처 www.culturecontent.com
  36. 자료검색일 2009. 4. 5, 자료출처 http://fansilla.cultureconten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