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w Frequency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PDSI and Global Sea Surface Temperature

PDSI와 범지구적 해수면온도와의 저빈도 상관성 분석

  • 오태석 (서울시립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김성실 (서울시립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문영일 (서울시립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0.02.26
  • Accepted : 2010.04.21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Drought is one of disaster causing factors to produce severe damage in the World because drought is destroyed to the ecosystem as well as to make difficult the economy of the drought area. This study, using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carries out correlation analysis with sea surface temperatures. Comparative analysis carries out by calculated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and past drought occurrence year.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PDSI indexes were in accord with the past drought. Cluster analysis for correlation analysis carries out using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that is input datas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and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was classified as 6. Also, principal component carries out using result of cluster analysis. 14 principal component analyze out throug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Using analyzed 14 principal component carries out correlation analysis with sea surface temperature that is delay time from 0month until 11month. Correlation analysis carries out sea surface temperatures and calculated cycle component of the low frequency through Wavelet Transform analysis form principal component.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yang(+) correlation is bigger than yin(-) correlation. It is possible to check similar correlation statistically the area of sea surface temperature with sea surface temperature in the Pacific. Forecasting possibility of the future drought make propose using sea surface temperature.

가뭄은 인간이 극복하기 힘든 자연재해로서 가뭄지역의 경제를 어렵게 할 뿐 아니라 생태계까지 파괴하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가장 두려워하는 관심 재해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가뭄지수인 팔머가뭄지수와 범지구적 해수면 온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먼저 팔머가뭄지수를 산정하여 과거 가뭄발생연도와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비교분석을 결과 대부분의 과거 가뭄사상과 지수가 일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관성 분석을 위해 팔머가뭄지수 산정을 위한 지수인 강수자료와 온도자료를 월평균강수량과 월평균온도 자료로 산정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우리나라 기상청관할에 있는 61개 지점을 선정하여 월평균강우량과 월평균온도 자료로 군집분석결과 총 6개의 군집을 형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군집분석결과와 팔머가뭄지수의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성분 분석을 통해 전체 자료의 분산을 80% 이상 설명할 수 있는 14개의 시계열 자료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팔머가뭄지수의 주요 성분과 범지구적 해수면 온도와의 상관성 분석결과 팔머가뭄지수는 양의 상관관계가 음의 상관관계보다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태평양에서 관측되는 해수면 온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는 해수면 온도 구역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해수면 온도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에 발생할 수 있는 가뭄의 예측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현한, 문영일 (2005) Palmer 가뭄지수(PDSI)와 ENSO 지수와의 상관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5권,제5B호, pp.355-364.
  2. 권현한, 문영일, 안재현, 오태석 (2006) 우리나라 Palmer 가뭄지수와 기상인자와의 Multi-Scale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1465-1469.
  3. 김형수 (1999) 가뭄 예측을 위한 나이테의 이용,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2권, 제1호, pp.92-94.
  4. 변희룡, 임병환 (2000) 한반도 가뭄주기와 이를 이용한 2000년도가뭄의 예측, 한국수자원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304-314.
  5. 유철상, 류소라, 김정환 (2002) 서울지점 월강수량 자료에 나타난 가뭄의 장기 재현특성,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2권, 제3B호, pp.281-289.
  6. 유철상, 김대하 (2006) 구형펄스모형을 이용한 가뭄사상의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4호, pp.373-382.
  7. 이동률 (1999) 엘니뇨/남방진동과 한국의 가뭄과 관계,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2권, 제2호, pp.111-120.
  8. Chiew, F. H. S., Piechota, T. C., Dracup, J. A. and Mcmahon, T. A. (1988) El Niño/Southern Oscillation and Australian rainfall, streamflow and drought: Links and potential for forecasting, Journal of Hydrology, Vol. 204, pp.138-149.
  9. Currie, R.G., and Fairbridge. R.W. (1985) Periodic 18.6-year and cyclic 11-year induced drought and flood in northeastern China and some global implications, Quaternary Science Rev., 4, pp. 109-134. https://doi.org/10.1016/0277-3791(85)90016-2
  10. Byun and Wilhite (1999) Objective quantification of drought intensity and duration. Journal of Climate, Vol. 12, No. 9, pp.2747-2756. https://doi.org/10.1175/1520-0442(1999)012<2747:OQODSA>2.0.CO;2
  11. Dai. A. G., Fung, I. Y. and Del Genio, A. D. (1997) Surface observed global land precipitation varitations during 1900-1988, Journal of Climate, Vol. 10, pp.2943-2962. https://doi.org/10.1175/1520-0442(1997)010<2943:SOGLPV>2.0.CO;2
  12. Nigam, R., Khare, N., and Nair, R.R. (1995) Foraminifera evidence for 77-year cyles of drought in India and its possible modulation by the Gleissberg solar cycle, J. Coastal Res., 11, pp.1099-1107.
  13. Piechota, T. C. and Dracup, J. A. (1996) Drought and regional hydrologic variation in the United States: Associations with the El Nino-Southern Oscilla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2, No. 5, pp.1359-1373. https://doi.org/10.1029/96WR00353
  14. Smith, T.M., and R.W. Reynolds (2003) Extended Reconstruction of Global Sea Surface Temperatures Based on COADS Data (1854-1997). Journal of Climate, Vol. 16, pp.1495-1510. https://doi.org/10.1175/1520-0442-16.10.1495
  15. Smith, T.M. and R.W. Reynolds (2004) Improved Extended Reconstruction of SST(1854-1997). Journal of Climate, Vol. 17, pp.2466-2477. https://doi.org/10.1175/1520-0442(2004)017<2466:IEROS>2.0.CO;2
  16. Smith, T.M., R.W. Reynolds, Thomas C. Peterson and Jay Lawrimore (2008) Improvements to NOAA's Historical Merged Land-Ocean Surface Temperature Analysis(1880-2006). Journal of Climate, Vol. 21, pp.2283-2296. https://doi.org/10.1175/2007JCLI2100.1
  17. Thorntawaite, C. W. and J. R. Mather (1955) The water balance. laboratory of Climatology, No. 8, Centerton N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