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Prehospital Care among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orking at 119 Fire Safety Centers for Patients with Acute Drug Intoxication

약물중독 환자의 병원 전 단계 처치에 관한 119 응급구조요원의 지식과 수행 태도

  • 이효철 (광양보건대학 응급구조과) ;
  • 이영숙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0.06.22
  • Accepted : 2010.09.08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reeducation concerning prehospital emergency care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Ts) working at 119 fire safety cent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mail-in questionnaire developed by researchers from 288 subjects, who were EMTs working at 119 fire safety centers and local units in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South Jeolla Province, from March 1, 2009 to April 31, 2009. Results: The mean score for EMTs' knowledge on drug intoxication was7.04 out of a total of 10 points. The mean score for EMT's attitude of emergency treatment performance on drug intoxication was 2.96 out of a total of 4 points. The level of EMT's knowledge is relatively high regarding prehospital care for drug intoxication. The EMT's attitude of performances demonstrated an understanding of the patients' conditions. However EMTs did not actively explain the prognosis and medical conditions for their patients. Conclusions: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making plans for reeducating emergency crew working at 119 fire centers so that can they have a more active attitude towards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care.

2009년 3월 1일~4월 31일까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근무하는 119 응급구조요원 288명을 대상으로 병원 전 단계 에서 119 응급구조요원이 약물중독환자에게 실시하는 병원 전 응급처치의 지식과 수행 태도에 대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약물중독의 지식정도 평점은 10점 만점에 7.04점, 약물중독환자의 응급처치 수행 태도는 평점 4점 만점에 2.96점으로 응급처치 지식은 높으나 수행태도는 낮은 경향이었다. 또한 약물중독 환자에게 틀리게 응급 처치한 경우가 34.6%로서 환자의 생명에 직결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수행 태도의 4개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환자 상태파악 영역 3.52점$\pm$0.59, 환자처치 영역 2.95점$\pm$0.57, 환자예후 파악 영역 2.78점$\pm$0.75, 의료지도 업무수행 영역 1.67점$\pm$1.05의 순으로 의료지도 업무 수행영역이 가장 낮은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즉 병원 전 단계의 의료지도가 중요하므로 향후 응급실의 응급의학 전문의 중 1인이 응급구조사로 부터 환자상태를 보고 받으면 투약과 처치를 지도하는 병원-응급구조대 연계체계의 구축이 바람 직하다. 약물중독환자에 대한 지식은 연령, 성별, 지역별 근무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응급처치 수행 태도는 성별, 지역별 근무지, 교대 근무 형태, 학력, 올바른 응급처치, 연수 여부 별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인 119 응급구조요원의 약물중독 보수교육률과 연수률이 낮았고 약물중독에 관한 전문교육요구는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병원 전 단계 약물중독환자에 대한 응급구조사의 지식은 높지만, 수행 태도에서 환자 상태파악은 잘 하고 있었으나, 환자예후 파악과 의료지도 업무는 정확하게 수행하지 못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응급구조사와 119 응급구조요원에 대한 반복적인 술기 중심 응급처치 연수를 통한 응급구조사의 질 향상과 병원 전 단계 약물중독 환자 지침서 개발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애순. 급성약물중독 실태분석 및 대책에 관한 연구: H 병원의 응급실 내원환자의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2. Hovda KE, Bjornaas MA, Skog K, Opdahl A, Drotting P, Ekeberg O, & Jacobsen D. Acute poisonings treated in hospitals in Oslo: a one-year prospective study(I): pattern of poisoning. Clin Toxicol (Phila) 2008;46(1): 35-41 https://doi.org/10.1080/15563650601185969
  3. Choi HS, Choi DC, Lee K. Research of Acute Poisoning on a Local Emergency Medical Facility in an Urban-Rural Area. J Agri Med & Health 2008;33(2):193-203 (Korean) https://doi.org/10.5393/JAMCH.2008.33.2.193
  4. Yoshioka T, Kondo R, Goto K, & Yashiki M. Clinical evaluation of triage as drug-of-abuse test kit. Chudoku Kenkyu 2003;16(1):63-71
  5. Akbaba M, Nazlican E, Demirhindi H, Sutoluk Z, & Gokel Y. Etiological and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acute adult poisoning in Adana, Turkey. Hum Exp Toxicol 2007;26(5):401-406 https://doi.org/10.1177/0960327107076818
  6. Kang BS. Toxicants reported in research on fatal toxic exposure in Korea. J Korean Soc Emerg Med 2007;18(1):32-40 (Korean)
  7. 통계청. 2007년도 사망원인통계연보. 2008
  8.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Injury surveillance report. 2008 Available from: URL:http://www.cdc.go.kr
  9. Park JK, Lee KH, Noh SG, Choi CS. A Analysis of Prehospital care on the Patients Transported via 119 System. J Korean Soc Emerg Med Technol 2003;7(1):127-134 (Korean)
  10. Jeon SY, Kim HS. Transport Activities and Improvement strategies of 119 Rescue. J Korean Soc Emerg Med Technol 1993;3(3):102-115(Korean)
  11. Cho WS. A Survey of Drug Intoxication Patients Transferred by 119 Ambulance Service. J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996;10(1):106-117 (Korean)
  12. Kim YB, Cho NS, Cho SH. Clinical Observations of Drug Intoxication. J Korean Soc Emerg Med 1995;6(2): 349-356 (Korean)
  13. Hwang KM, Lee YC, Lee ST, Lee SR, Rhee YK. Clinical Studies on Acute Drug Intoxication. J Korean Soc Emerg Med 1993;4(1):43-52 (Korean)
  14. Park JH, Lee JK. Clinical Observations of Drug Intoxication. J Korean Soc Emerg Med 1993;4(1):35-42 (Korean)
  15. Kang JK, Chun JC, Kwon HG, Joo YM, & Song KY. Clinical Observations of Drug Intoxication. J Korean Soc Internal Medicine 1989;(2):250-256 (Korean)
  16. 보건복지부.중앙응급의료정보센터. 응급의료 정보센터 교육.훈련 교재. 2005
  17. 김성중. 응급의료3차 개발사업 약물중독 응급 처치 매뉴얼. 보건복지부.한진정보통신. 1998
  18. 김기운, 윤상규, 정윤석. 임상독성학. 서울, 군자출판사, 2006, 쪽3-25.
  19. 김용권. 119구급대를 내원한 응급환자자의 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20. 김 윤, 정구영, 조광현, 김현. 응급의료 기본 계획 수립 및 응급의료체계 평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5
  21. 이경룡. 119구급대의 병원 전 구급활동평가.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5
  22. 장영화. 119 구급대와 응급의료인이 지각한 병원 전 응급처치의 필요성과 중요성 비교.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3. Jeong JS, Hong KJ, Shin SD, Suh GJ, Song KJ. Evaluation of the Appropriateness of Pre-hospital Emergency Care by 119 Rescue Servic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J Korean Soc Emerg Med 2008;19(3):233-244 (Korean)
  24. Kim ML, Jo SH, Jo NS, Kim SJ. Perception of Satisfaction with Future of 119 Rescue in the View of the User. J Korean Soc Emerg Med 2003;14(4):353-359 (Korean)
  25. Lee K. Emergency medical delivery system and improve transport systems. J Korean Hospital Association, 2004;5:60-71 (Korean)
  26. 중앙응급의료센터.대한응급의학회. 병원 전 응급의료서비스체계의 발전 방향 심포지엄자료집. 2004
  27. 김재산. 병원임상실습 효과의 분석을 통한 응급구조사 현장 업무능력 향상 방안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8. 이경모, 임준형, 전우정, 이준석, 신종인, 박광순, 이청수.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 선진화 방안. 제 15회 소방행정연찬대회 발표자료,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