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 실업과 엄친아효과

Youth Unemployment and the Effect of My Mom's Friend's Son

  • 배진한 (충남대학교 경상대학 경제학과)
  • 투고 : 2010.02.25
  • 심사 : 2010.04.22
  • 발행 : 2010.08.31

초록

기존의 직업탐색이론을 한 단계 진전시킬 수 있는 '엄친아효과' 개념을 도입하고 그것이 청년층 미취업탈출확률에 미치는 효과를 부모님의 학력, 임시 일용직 비율, 대 중소기업 임금격차 비율 등의 대리변수들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추정 결과, 최근으로 올수록 소위 '엄친아효과'는 점차 강화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된다. 정책 함의로는 청년층의 구직기간 축소와 실업탈출 확률의 제고라는 측면에서 노동시장에서 임금이나 일자리 질의 격차가 계속 확대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못하며, 또한 청년층 실업문제가 단순히 노동시장 정보의 정확한 제공만으로는 쉽게 해결되기 어렵다는 점 등을 도출해 낼 수 있다.

Introducing a concept of 'the Effect of My Mom's Friend's Son'(MMFS Effect) into the conventional job search theory to develop it further, we try to estimate its effects on the hazard rate of youth pre-employment duration with some proxy variables such as his/her parents' schooling, monthly temporary/daily workers ratio, monthly average wage differentials between the workers of large and small firms. The results confirm us the fact that so called 'MMFS Effect' has been strengthened gradually up to recently. Their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ings. Firstly, from the standpoint of shortening job searching period of youth and raising the hazard rate of their unemployment, the trend that the differentials of wages and quality of jobs in the labor market are expanding continuously is not desirable at all. Secondly, the problems of youth unemployment cannot be solved easily only by providing correct and relevant informations about the labor markets simpl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