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즈니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헤게모니적 남성성

Hegemonic Masculinity in Disney Animated Films

  • 투고 : 2010.05.15
  • 심사 : 2010.06.13
  • 발행 : 2010.06.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그람시(Antonio Gramsci)가 언급한 대로 지배적 이념이 한 사회에 종속된 이들의 삶에 습관처럼 자리 잡고 있다는 헤게모니(hegemony) 개념을 통해서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남성성의 유형을 찾는데 있다. 그리고 코넬(R. W. Connell)은 그람시의 개념을 남성성과 연결시켜 헤게모니적 남성성(hegemonic masculinity)으로 발전시켰다. 헤게모니적 남성성은 한 국가나 사회에서 다른 남성과 여성을 종속하고 지배하려는 경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재현된 다양한 남성성을 구분하고, 특히 헤게모니적 남성성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다루고 있다. 한편 코넬의 네 가지 남성성의 분류는 남성 그룹이라는 범주에서 지배 그룹과 피지배 그룹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보다 세부적으로 헤게모니적 남성성, 종속적 남성성, 공모적 남성성, 그리고 주변화된 남성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틀을 가지고 <미녀와 야수 Beauty and the Beast>(1991)에 나타난 지배적 남성성과 피지배적 남성성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개스턴(Gaston)과 야수는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소유하고 있으며, 그들 주변에 있는 남성들은 모두 공모적 남성성을 지니고 있다. 한편, 모리스(Maurice)는 지배 집단으로부터 거세된 종속적 남성성에 들어가게 되며, 야수는 헤게모니적 남성성과 주변화된 남성성 모두를 지닌 양가적 인물로 그려지고 있다. 이처럼 디즈니 속에 나타난 남성성은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기반으로 소프트바디에 의한 하드바디의 번복을 더디게 만들고 오히려 하드바디의 체제를 더욱 공고히 구축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hegemonic masculinity in Disney animated feature films in terms of Antonio Gramsci's hegemony and R. W. Connell's hegemonic masculinity. According to Gramsci, hegemony refers to the predominance of a dominant group over other groups. By the same token, Connell uses the term hegemony as the configuration of gender practice which embodies the domination of men and the subordination of women. He describes four masculinities to explore male hierarchy in male groups: hegemonic masculinity, subordinated masculinity, complicit masculinity, and marginalized masculinity. Through Connell's terms, this study investigates masculinities in Disney films, especially Beauty and the Beast (1991) in relation to hegemonic masculinity. As a result, Disney describes repeatedly hegemonic masculinity as hard body defined by Susan Jeffords and supports tacitly the domination of a specific male group.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