톤 인 톤 배색과 톤 온 톤 배색의 감성 평가

The sensibility evaluation of Tone in Tone combination and Tone on Tone combination

  • 투고 : 2009.09.13
  • 심사 : 2010.06.16
  • 발행 : 2010.06.30

초록

본 연구는 톤 인 톤 배색과 톤 온 톤 배색을 활용한 배색의 감성 효과에 관한 것이다. 톤 인 톤 배색 과 톤 온 톤 배색에 근거하여 제작한 24개 배색에 대하여 Osgood의 SD법(Semantic Differential Method)을 이용하여 10명 대학생에게 배색에 대한 인상 평가를 받았으며 자료 분석은 엑셀 통계 프로그램 2004를 사용하여 요인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톤 인 톤 배색에 근거한 배색과 톤 온 톤 배색에 근거한 배색의 인상이 매우 다르게 평가되는 것을 확인했다. 따라서 색채조화의 형식으로 제안되는 배색 기법이 배색의 감성 효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좋다-싫다', '어린이답다-어른답다', '강하다-약하다', '따뜻하다-차갑다' 4개 이미지 차원이 도출되었으며 이러한 이미지에는 색상과 색조가 영향을 주는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품의 사진배색과 거의 동일한 색종이 배색의 인상을 비교한 것으로 색표를 이용한 배색과 그 배색에 근거한 제품의 배색 인상에는 거의 차이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제품이 가진 고유 특성이나 형태, 재질 등에 의해 인상이 크게 달라지는 것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배색 이미지나 색채 디자인의 기초 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The sensibility effects of color combinations was studied utilizing tone on tone combination and tone in tone combination. A total of 24 color combinations were rated by 10 college students using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Excel statistics program 2004. Analysis method was factor analysis. The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Color combinations utilizing tone on tone and color combinations utilizing tone in tone was evaluated a very different impression. Thus these we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sensibility effects of color combinations. In comparison with appearance of color combination using colored paper and that of product to apply to color combination using colored paper, it was showed to be evaluated mostly similar impression. However By characteristic with product, shape, size and texture, appearance of color combination is likely to be evaluated very difference impressi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ill serve as a basis of color combination image or color desig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경자, 정복남, 정수진(2005). 치마, 저고리의 톤 온 톤 배색에 대한 이미지 지각. (2)7,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39-50.
  2. 강경자, 최수경(2005). 배색방법이 한복착용자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톤 인 톤 배색을 중심으로- (6)13, 복식문화연구, 977-989.
  3. 성남숙, 최수경(2009). 동일색조코디네이션에 따른 넥타이의 감성이미지와 상호작용효과-스트라이프 패턴의 1:2:3면적 비 변화를 중심으로- (1)12, 감성과학학회, 65-76.
  4. 임지영(2007). 컬러코디네이션 기법이 남성착용자의 인상에 미치는 영향(제2보) -톤 인 톤 배색을 중심으로-. (8)31, 한국의류학회지, 1297-1309.
  5. Kobayashi S.(1981).The aim and method of the Color Image Scale. Color Research and Application, 6, 93-107.
  6. 伊藤久美子(2004).同一色相內の二色配色の感情效果, 日本色彩學會誌,(1)28, 3-15.
  7. 伊藤久美子, 大山正,(2005). 異色相間の二色配色の感情效果, 日本色彩學會誌,(4)29, 291-302.
  8. 流行色 No.377.(1988). 財團法人 日本ファッション協會 流行色情報センタ-.
  9. 福田邦夫(1985). 色彩調和の成立事情 (財)日本色彩硏究所編.
  10. 千千岩英彰 (2001). 色彩學槪說, 東京大學出版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