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족마을의 자연 환경과 사회.경제의 변화: 상곡마을과 수촌마을을 중심으로

Natural Environments and the Change of Social-economic Conditions in the Clan Villages: In Case of Sanggok and Suchon Clan Village, Kyongbuk Region

  • 박규택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Park, Kyu-Taeg (Korean Studies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0.03.16
  • 심사 : 2010.06.06
  • 발행 : 2010.06.30

초록

본 연구는 성주와 고령에 위치한 두 동족마을의 자연 환경과 사회 경제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네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동족마을의 위치와 자연환경은 마을 내 외부와의 관계, 자연 재해, 생산 활동, 주민의 의식 등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둘째, 1970년대 이후 인구의 감소는 상곡과 수촌의 두 동족마을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두 마을의 자녀 출생과 주민의 도시이주를 통해서 잘 알 수 있다. 셋째, 1970년대 이후 산업화와 도시화는 동족마을에 큰 영향을 끼쳤다. 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대구광역시와 맞닿아 있는 상곡마을은 1990년대 이후 대구광역시의 외연적 팽창에 의해 큰 영향을 받았다. 이에 반해 가야산계에 가까이 위치한 수촌마을은 참외를 상업적 작물로 재배하게 됨에 따라 전통적 동족마을의 모습이 변하게 되었다. 넷째, 마을의 농업상태에 대해 상곡과 수촌마을 주민의 인식에는 어느 정도 차이가 있다. 두 마을의 주민은 농촌이 직면하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자신들이 살고 있는 마을의 사회 경제 상황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였다.

This thesis is to examine natural environments and the change of socio-economic conditions in the clan villages of Kyongbuk region through the case study of Sanggok and Suchon one. The results of the study is summarized in the followings. Firstly, after the early 1990s Sanggok clan village located in Dasan-myeon was not influenced by its natural environmets, but by the relative location near a large city, Taegu. On the contrary, after the 1980s Suchon clan village in Byeokjin-myeon has been grown as an agricultural area of commercially producing water melon due to mountain and its related climate. Secondly, the total population of Sanggok and Suchon clan village have been continuously declined after the 1970s. Particularly the numbers of children per household were declined to 2.4 in the late 2000s. Consequently it is suspected whether or not the clan villages will be existed in spite of their declining population in the future. Thirdly, people in the Sanggok and Suchon clan village were generally poor due to the small agricultural land. After the 1970s, however, the villages have been largely influenced by th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of Korea. Sanggok clan village was influenced by the outside expansion of Taegu metropolitan city due to its relative location while Suchon village by the commercial cultivation of water melon under a good condition of natural environments. Fourthly,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people's cognition to the agricultural conditions of the Sanggok and Suchon clan village. Such a difference is closely related to the socio-economic conditions of the two different clan villag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