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Patterns of Baby Boomers' Post-retirement Housing Mobility Plan -focusing on life course-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후 주거이동계획 패턴 연구 -생애상황을 중심으로-

  • 황선혜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 이연숙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 윤혜경 (연세대학교 밀레니엄환경디자인연구소)
  • Received : 2010.07.30
  • Accepted : 2010.10.11
  • Published : 2010.10.30

Abstract

It is estimated that the elderly will constitute 24.3% of the entire Korean population in 2030, when about 7,125,000 baby boomers reach retirement age. Therefore, this aging phenomenon might be the most urgent issue facing Korean society. The baby boom generation shows a strong tendency to dispose of existing residences or move into new housing after retirement, thereby exerting enormous impacts on social and economic sectors as well as the housing market.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ims to identify both factors and patterns behind baby boomer retirees' post-retirement housing transfer trends. To this end, a survey is undertaken here with respect to those baby boomers living in Gangnam-gu and Seocho-gu with actual housing transfer plans in the foreseeable future, and who can act as a practical consumer group for the future housing market. This study verifies baby boomers' diverse preferences for housing type. Their preference for apartment houses still remains high in every situation, and this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changed preferences of other housing types considering that most of the survey respondents currently reside in apartment houses. According to the survey, there are more than 80 kinds of baby boomers' housing transfer patterns, which demonstrates that more than half of the survey respondents pursue different housing mobility plans. When it comes to the factors behind their housing selection, the baby boom generation shows a strong preference for physical factors. However, environmental and psychological factors gain more momentum under unfavorable circumstances, while social factors play a decisive role in their housing selection in categories such as 'couple/deteriorating health' and 'single/healthy'.

Keywords

References

  1. 류지수(2007). 베이비 붐 세대의 주거선호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영민(2006). 베이비붐 세대의 인구학적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은정(2003). 베이비붐 세대, 1962년, 1969년 출생자세대, 20대의 세대간 및 세대별 가족이념 경향 분석
  4. 박덕배(2005). 베이비 붐 세대(1955-1963) 노후대책 막막하다. 현대경제연구소.
  5. 한경혜(2010).한국의 베이비부머:라이프코스와 생활세계에 대한 이해. 한국노년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기조연설1
  6. Sadler, W(2000). The Third Age: six principles of growth and renewal after forty. Sadler Perseus Books.
  7. Levy, M.&B.A. Weitz(2002). "Retailing Management." 오세조, 박진용, 권순기 역. 한올출판사
  8. American Association of Retired Persons(2009). A Report on How Mid-life and Older Americans Spend their time, Make Connections and Build Communities.
  9. Richard D. Wiggins(2004). Quality of life in the third age : key predictors of the CASP-19 measure.
  10. 전명숙(1992). 노인주거 계획에 관한 이론적 접근; 노인주거유형 의 외국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8권 6호
  11. 전명숙(1995). 서울시 중년층이 선호하는 미래노인주거환경 1: 노인 주거 유형과 환경 요구와의 관계. 한국주거학회지 제6권 1호
  12. 강창호(2009). 주거만족도가 베이비부머의 주거선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정보학회지 제11권 제2호
  13. 김춘수 외(2003). 아파트 주거환경요인이 주거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과학연구 논문집 Vol. No1.
  14. 조현주, 박경옥(2005). 중도시 거주자의 주거선택요소 중요도.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제16권 제6호, pp.55-63
  15. 신영숙(2004). 중년층과 노년층의 노인시설주거 선택 속성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제15권 제2호. pp.43-54
  16. 홍형옥 외2(2004). 노인계획주거 대안선택 집단에 따른 특성 비교 :일.여가.서비스 제공 수준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제15권 제1호 pp.129-140
  17. 조현주(2003). 청주시 거주자의 주거선택요소 중요도. 충북개발연구 제14권 제2호 통권 제25호 pp.141-169
  18. 정금호, 신남수(2002). 아파트 거주자의 주거선택 중요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8권 제1호 통권 제159호pp.21-28, 75-82.
  19. 곽인숙(1998). 노인의 취업여부와 건강 상태에 따른 주거선호. 대한가정학회지.36(11)
  20. 박순덕(2000). 중년 여성의 노후 거주형태 욕구분석 및 노인 주거의 계획에 관한 연구. 석사논문. 단국대학교
  21. 김유정(2003). 서울시 중년층의 노년기 주거선호에 관한 연구. 석사논문. 단국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