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liminary Operator Risk Assessment of High Toxicological Pesticides in Korea

고독성 농약의 국내 농작업자 위해성 평가

  • Received : 2010.05.26
  • Accepted : 2010.06.18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risk of pesticide operators who use high toxicological pesticides. The class II (highly hazardous) pesticides registered in korea were 15 products, and 11 products were spray type pesticides at orchard file in 2009. The using information based on the pesticide label and the data searched through survey of actual condition on pesticides were used for calculate the pesticide operator exposure dose. The risk quotients of these pesticides against the pesticides operator were calculated as devide pesticide exposure dose by reference dose which were presented by EFSA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JMPR (Joint FAO Meeting on Pesticide Residues), and US/EPA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methoate showed the highest risk quotient and the values were 338 and 75 when the operator spray using speed sprayer and motor sprayer respectively. Risk quotients of all class II pesticide were above 1. This result means that the risk potential of these pesticides are very high.

본 연구는 고독성 농약의 농약살포작업자에 대한 위해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국내에서 등록되어 사용되고 있는 고독성 농약 중 분무의 형태로 과수에 살포되는 11품목의 농약에 대한 일반적인 사용정보와 우리나라의 농약사용실태 조사를 통하여 습득한 데이터를 노출량산정 프로그램인 UK-POEM에 적용하여 농약살포자의 농약노출량을 산정하고, 산정된 노출량을 국제기구에서 발표한 농약에 대한 독성기준치와 비교하여 위해성 지표를 산출하였다. 개인보호장비를 착용한 경우 오메토에이트 유제의 위해성 지수는 SS기를 이용하여 농약을 살포할 때와 MS기를 이용하여 농약을 살포할 때 각각 338과 75로 가장 높았으며, 모든 고독성 농약에 대한 위해성 지수가 1이상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고독성 농약의 농약살포자에 대한 위해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EU(2009), http://www.efsa.europa.eu
  2. 농업인지식포럼, 2010, http://greenceo.kr/bbs
  3. 농촌진흥청(2009) 농약관리법령 및 고시.훈령집. 문성사. p.91.
  4. 박성균, 남상민, 황규석. 박현미, 정수은, 김은주, 김희선, 선병관, 양윤정, 이은희, 조형두(1999) 일부 농촌주민의 농약중독 관련 요인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11(2):196-205.
  5. 농약연보. 한국작물보호협회(2009). 문선기획. pp.16-251.
  6. 농약사용지침서. 한국작물보호협회(2009). 삼정인쇄공사.
  7. 홍순성, 이제봉, 박연기, 신진섭, 임건재, 류갑희(2007). 과수농작업 자 농약노출량 산정법 제안. 한국농약과학회지 11(4):281-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