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the Types of Panoplies in the TV Dramas Yeongaesomun and Taewangsasin-gi - Focusing on the Panoplies of the Goguryeo Dynasty -

TV 사극 연개소문과 태왕사신기에 표현된 갑주유형 분석 - 고구려시대 갑주를 중심으로 -

  • Cho, Mi-Suk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Eun-J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uman Ecology Research Institute)
  • 조미숙 (전남대 의류학과) ;
  • 김은정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생활과학연구소)
  • Received : 2009.12.17
  • Accepted : 2010.03.19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how helmet and armor was reinterpreted in historical play by considering general concept and type of old helmet and armor from the aspect of costume history and comparing the helmet and armor types of TV historical plays, Yeongaesomun and Taewangsasingi, whose historical backgrounds were based on the age of Goguryeo. The helmet and armor type shown in Yeongaesomun was reinterpreted as the one, which is close to historical investigation, by reappearing lamellar armor and jongjangpanju(helmet made of slim, long plate) shown in Goguryeo wall painting. The helmet and armor type shown in Taewangsasingi expresses fantastic helmet and armor by adding fantastic factor regardless of historical investigation. The study result reveals that there are several common characteristic factors between the helmet and armors of two historical plays. First, there was a classification in the display of character and story. The helmet and armor type shown in Yeongaesomun classified color and detail design depending on lamellar armor or character. In Taewangsasingi, the helmet and armor was manufactured depending on character's nature and the chain armors, which are lighter than existing helmet and armors, were usual. Second, they escaped from the historical investigation about traditional helmet and armor. In Yeongaesomun, myeonggwangae(a type of armor), which might be popular, was not expressed and Taewangsasingi is free from an imperative idea of historical investigation by manufacturing helmet and armor referring to that of ancient Rome age. The modern sense was reflected to increase dramatic effect. The helmet and armor of Yeongaesomun provides modern feeling by using stainless steel material and modern color arrangement and that of Taewangsasingi is designed in modern, splendid way as it aimed at game development from the planning step.

Keywords

References

  1. 최강식(2004).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살림, p. 3.
  2. 유미진 (2007). TV 사극 의상의 미학적 고찰-TV 사극 <주몽>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9.
  3. 국립김해박물관 (2002). 한국고대의 갑옷과 투구. 마이다스21, p. 10.
  4. 은지연 (2002). 영화 '춘향전'의 복식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안인희 (2003). 조선후기 춘향전과 영화 춘향전의 복식과 화장 비교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한은희 (2004). 명성왕후가 등장하는 TV사극에 나타난 의상변화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남수경 (2004). 영화 '스캔들'의상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현정 (2005). 영화 '위험한 관계'와 '스캔들-조선남녀상열지사'의 의상 비교분석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조미숙 (2005). 영상물 '장희빈'복식의 고증실태와 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명헌 (2007). 한국의 사극영화 의상에 관한 연구-조선시대 여성 의상을 중심으로. 관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봉현숙 (2000). TV사극드라마 의상의 고증에 관한 연구- '대왕의 길'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원혜은 (2003). 사극 드라마 의상제작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김지연 (2009). 한국 영상매체에 나타난 의상고증에 관한 연구-영.정조시대 TV사극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최정은 (2007). 영화 '스캔들'에 나타나는 한복 배색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전여선 (2007). 한국 영화와 TV드라마에 전통복식에 나타난 색의 변화와 이미지의 상징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류미혜 (2007). 드라마 '황진이'복식을 통해 본 현대 한복의 미의식 변화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장민정 (2008). 한국 사극영화 복식의 표현성에 관한 연구-프로덕션 디자이너 정구호의 작품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이해리 (2006. 5. 25). 경쟁작 연개소문.태왕사신기. 의상은 내부 첩보전. 노컷뉴스. 자료검색일 2009. 11. 6. 자료출처 http://www.cbs.co.kr/Nocut/Show.asp?IDX=237293
  19. 국립김해박물관 (2002). 한국고대의 갑옷과 투구. 마이다스21, p. 44.
  20. 장경숙 (2005). 한국 고대 갑옷과 투구의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53.
  21. 김정자 (1998). 한국 군복의 변천사 연구. 서울: 민속원, pp. 38-42.
  22. 조우현, 권준희, 박윤미, 김혜영, 조현진 (2007). 대가야복식. 서울: 민속원, pp.233-235.
  23. 국립김해박물관 (2002). 한국고대의 갑옷과 투구. 마이다스21, pp.24-56.
  24. 국립중앙박물관 (2006). 철의 왕국 가야. 서울: 통천문화사 pp. 32-40.
  25. 장경숙 (2005). 한국 고대 갑옷과 투구의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94-116.
  26. 장경숙 (2005). 한국 고대 갑옷과 투구의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31-35.
  27. 국사편찬위원회 (2007). 나라를 지켜낸 우리 무기와 무예. 서울: 두산동아, p. 51.
  28. 서영교 (2004). 고구려 벽화에 보이는 고구려의 전술과 무기-기병무장과 그 기능을 중심으로. 고구려연구, 17, p. 347.
  29. 히스토리카한국사 편찬위원회 (2009). 히스토리카한국사 신라+가야. 이끌리오 p. 132.
  30. 隋書. 卷81. 列傳 第46. 東夷 高麗條.
  31. 전호태 (2005). 연구총서2. 고구려 연구재단, p. 12.
  32. 장경숙, (2005). 한국 고대 갑옷과 투구의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41.
  33. 김정자, (1998). 한국 군복의 변천사 연구. 서울: 민속원, p. 158.
  34. 국방군사연구소 (1997). 한국의 군복식발달사 1. 국방군사연구소, pp. 79-101.
  35.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2000).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 I. 서울대학교 출판부, pp. 51-301.
  36.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2000).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 II. 서울대학교 출판부, p. 13.
  37. 전호태 (2004).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이야기, 풀빛, p. 13.
  38. 김정자 (1998). 한국 군복의 변천사 연구. 서울: 민속원, p. 149.
  39. 三國史記. 卷9, 高句麗本紀, 寶藏王 4年.
  40. 장경숙 (2005). 한국 고대 갑옷과 투구의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p. 70.
  41. Koichi Shinoda (1992). 武器と防具 中國編. 신동기 역(2001). 무기와 방어구-중국편. 들녘, p. 397.
  42. 三國史記. 卷9, 高句麗本紀, 寶藏王 4年.
  43. 국사편찬위원회 (2007). 나라를 지켜낸 우리 무기와 무예. 서울: 두산동아, p. 56.
  44. 송영만 (2007). 역사스폐설 6. 효형출판, p. 76.
  45. 조근태(2008). 한국의 전투와 무기. 현암사, p. 30.
  46. 홍승완(2006. 7. 14). 민족주의와 남성성으로 시청자 눈길 잡기 성공한 연개소문. 해럴드 생생뉴스. 자료검색일 2009. 10. 14. 자료출처 http://www.heraldbiz.com/site/data/html_dir/2006/07/14/200607140050.asp
  47. 박선영(2006. 4 21). 고구려의 컬러를 상상하라. 한국일보. 자료검색일 2009. 10. 29일, 자료출처 http://news.hankooki.com/1page/culture/200604/h2006042118574875670.htm
  48. imbc. MBC 특별기획드라마 태왕사신기 보도자료. 자료검색일 2009. 11. 26. 자료출처 http://www.imbc.com/broad/tv/drama/legend/news/1660114_23427.html
  49. 자료검색일 2009. 11. 26.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paris03/90022186387
  50. 히스토리카한국사 편찬위원회 (2007). 고구려+백제. 이끌리오, p. 146.
  51. 자료검색일 2009. 11. 25, 자료출처 http://71hades.tistory.com/tag/
  52. 박가영 (2001). 고구려 갑주의 고증 제작. 한복문화, 4(1). pp. 81-82.
  53. 장경숙 (2005). 한국 고대 갑옷과 투구의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50.
  54. 김소민 (2006. 10. 26). 옷 대충 입는 사극 가당찮소. 한겨례 뉴스. 자료검색일 2009. 10. 29. 자료출처 http://www.hani.co.kr/arti/culture/entertainment/167356.html.
  55. 송형국 (2006. 4. 12). 방송3사 불붙는 대하사극, 고대사 복식 재현 디자인 경쟁. 경향신문. 자료검색일 2009. 10. 6. 자료출처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604131804541&code=960801
  56. 박가영. (2001). 고구려 갑주의 고증 제작. 한복문화, 4(1), p. 80.
  57. 박가영. (2001). 고구려 갑주의 고증 제작. 한복문화, 4(1), p. 79.
  58. 조우현, 권준희, 박윤미, 김혜영, 조현진 (2007). 대가야복식. 서울: 민속원, p. 248.
  59. 김기웅 (1977). 무기와 화약. 세종대왕기념사업회, p. 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