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pergene Alteration of Basaltic Ash in Udo Tuff Cone, Jeju Island

제주도 우도 현무암질 화산재의 표성 변질작용

  • Jeong, Gi-Young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 정기영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Received : 2010.06.11
  • Accepted : 2010.06.23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Basaltic ash of Udo tuff cone, Jeju Island, was almost fresh across strata, but significantly altered toward surface by supergene process. The supergene alteration of the Udo tuff was examined by using X-ray diffraction,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electron microprobe analysis for elucidating the alteration process of basaltic ash in terrestrial environments. Fresh ash particles were composed of glass matrix, plagioclase, olivine, and pyroxene. The glass matrix was selectively replaced inward by colloform alteration rinds of Fe-Ti-rich amorphous silicate nanogranules and smectite, often leaving glass core at the center of larger ash particles. Some of the dissolved species released from the altered ash particle precipitated as fine honycomb aggregates of smectite on the pore walls, contributing to the cementation and lithification of volcanic ash.

제주도 우도 응회구의 현무암질 화산재는 대부분 미약하게 변질되었으나, 지표부근에서는 연황색으로 변질되었다. 육상 환경에서 화산재의 표성 변질 및 고화과정을 조사하기 위하여 표성 변질 우도 화산재에 대하여 X선회절, 주사 및 투과전자현미경, 전자현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화산재 입자는 현무암질 유리 기질과 사장석, 감람석, 휘석 결정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입자 가장자리로부터 유리가 선택적으로 변질되어 교질상 변질테가 형성되었으며, 큰 입자 중심에는 변질되지 않은 유리가 잔존한다. 변질테와 유리 경계에는 매우 얇은 용탈 유리층이 존재하며, 변질테는 Fe와 Ti이 풍부한 극미립 비정질 규산염과 스멕타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변질 유리에서 방출된 용존물은 공극에 벌집모양 스멕타이트 집합체로 다량 침전되었으며, 화산재의 고화작용에 기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정기영 (2009a) 제주도 화산암의 화산유리 변질작용과 지하수질.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9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초록), 서울 고려대학교, 4월 17일, 105.
  2. 정기영 (2009b) 제주도 신양리층에서 산출하는 Motukoreaite와 Quintinite. 한국광물학회지, 22, 307-312.
  3. 정기영, 손영관 (2009) 제주도 홀로세 하모리층의 현무암질 유리 변질과 고화작용. 지질학회지, 45, 331-344.
  4. 정기영, 손영관, 전용문 (2010) 제주도 화산쇄설암의 불석광물. 한국광물학회지, 23, 39-50.
  5. Fisher, R.V. and Schmincke, H.-U. (1984) Pyroclastic Rcks. Springer-Verlag, Berlin, Germany, 472p.
  6. Grim, R.E. and Güven, N. (1978) Bentonites: Geology, Mineralogy, Properties and Use. Elsevier, Amsterdam, 256p.
  7. Lutze, W., Malow, G., Ewing, R.C., Jercinovic, M.J., and Keil, K. (1985) Alteration of basaltic glasses: implications for modeling the long-term stability of nuclear waste glass. Nature, 314, 252-255. https://doi.org/10.1038/314252a0
  8. Sohn, Y.K. and Park, K.H. (2007) Phreatomagmatic volcanoes of Jeju Island, Korea: IAVCEI-CEV-CVS Field Workshop, Jeju Island, Korea. OB Communications, Daejeon, 83p.
  9. Staudigel, H. and Hart, S.R. (1983) Alteration of basaltic glass: Mechanism and significance for the oceanic crust-seawater budget.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47, 337-350. https://doi.org/10.1016/0016-7037(83)90257-0
  10. Stefansson, A. and Gislason, S.R. (2001) Chemical weathering of basalts, southwest Iceland: Effect of rock crystallinity and secondary minerals on chemical fluxes to the ocean. American Journal of Science, 301, 513-556. https://doi.org/10.2475/ajs.301.6.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