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Exposure Control using Loop-Up Table Based on Scene-Luminance Curve in Mobile Phone Camera

입.출력 특성곡선에 기초한 Look-Up Table 방식의 자동노출제어

  • Lee, Tae-Hyoug (School of Electronics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yung, Wang-Jun (School of Electronics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Cheol Hee (Computer Engneeririg,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Ha, Yeong-Ho (School of Electronics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이태형 (경북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학부) ;
  • 경왕준 (경북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학부) ;
  • 이철희 (안동대학교 컴퓨터공학) ;
  • 하영호 (경북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학부)
  • Received : 2010.01.12
  • Accepted : 2010.06.21
  • Published : 2010.07.25

Abstract

Auto-exposure control automatically calculates and adjusts the exposure for consecutive input image. Recently, this is usually controlled by the sensor gain, however, unsuitable control causes oscillation of luminance for sonsecutive input images, called as flickering. Also, in mobile phone cameras, only simple information, such as the average luminance value, can be utilized due to coarse performance.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a new real-time AE control method using a Look Up Table(LUT) based on Scene-Luminance curves to avoid the generation of flickering. Prior to the AE control, a LUT is constructed, which illustrates the characteristic of outputs for input patches corresponding to sensor gains. The AE control is first performed by estimating a current scene as a patch using the proposed LUT. A new sensor gain is then estimated using also LUT with previously estimated patch. The entire estimation process is performed using linear interpolation to achieve real-time execution. Based on experimental results, the proposed AE control is demonstrated with real-time, flicker-free.

자동노출제어는 카메라에서 연속적을 입력되는 영상의 밝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센서이득 혹은 노출 결정하는 것을 이야기 한다. 최근 노출제어는 영상의 정보 보다는 하드웨어적 장치를 적용하나, 모바일 폰 카메라에서 영상의 평균 밝기와 센서이득 혹은 노출 만을 이용한다. 또한 모바일 장치의 하드웨적 성능고려하여야 하며, 부적절한 제어로 발생하는 flicker 현상을 제거하여야 한다. 따라서 제안된 자동노출제어는 flicker 현상의 제거 및 실시간 수행을 위하여 입 출력 특성곡선에 기초한 Look Up Table(LUT)을 사용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선행 작업으로 카메라의 센서이득에 따른 입력과 출력 특성을 LUT로 만들어 저장한다. 노출제어에 있어서 먼저 저장된 LUT의 정보와 현재의 센서이득을 통하여 현재 입력 영상에 상응하는 패치를 추정한다. 그리고 추정된 패치와 LUT의 정보를 또다시 이용하여 추정된 패치가 목표 밝기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최종적인 센서이득을 추정할 수 있게 된다. 제안된 방법은 LUT를 사용함으로써 다음 프레임의 센서이득을 실시간으로 추정 할 수 있고, 또한 반복적 수행 없이 정확한 센서이득을 추정함으로써 flicker를 제거 할 수 있다. 실험 결과영상에서 제안된 방법이 실시간으로 자동노출제어를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과학재단

References

  1. Arch C. Luther, "Video Camera Technology," Artech House, Boston․London,1998.
  2. G. C. Holst, "CMOS/CCD SENSORS AND CAMER ASYSTEMS," JCD Publishing and SPIEPRESS, 2007.
  3. J. S. Lee, Y. Y. Jung, B. S. Kim, and S. J. Ko, "An advanced video camera system with robust AF, AE and AWB control," IEEE Transactionson on Consumer electronics, vol. 47, no, pp. 694-699, 2001. https://doi.org/10.1109/30.964165
  4. 전성천, "이미지 센서의 노출 조절 장치 및 그의 조절 방법," 특10-0639111, 한국, 2006.
  5. 박준영, "자동 노출 제어 장치 및 방법" 특10-2006-0087661, 한국, 2005.
  6. MarkGamadia, "Low Light Auto Focus Enhancement for Digital and Cell Phone Camera Image Pipelines," IEEE Transactionson on Consumer electronics, vol. 53, no, pp. 249-257, 2007. https://doi.org/10.1109/TCE.2007.3816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