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ample survey design for service satisfaction evaluation of regional education offices

지역교육청 수요자 만족도조사를 위한 표본설계에 관한 연구

  • Heo, Sun-Yeong (Department of Statistic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 Chang, Duk-Joon (Department of Statistic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0.05.08
  • Accepted : 2010.07.05
  • Published : 2010.07.31

Abstract

A sample survey design is suggested for the service satisfaction evaluation of regional education offices based on the sample size of 2009 Gyeongnam regional education offices's customer satisfaction survey. The sample design is developed to fit the goal of evaluation of individual regional offices and allocate at least the minimum sample size to each city or county in Gyeongnam to achieve the goal of the survey. The population is stratified according to the regions and the types of schools, and the sample of schools is selected with proportional to the size of classes within each stratum. Finally, each sample student is selected according to two-stage cluster sampling within each sample school. Weighting averages, weighting totals and so on can be evaluated for analysis purposes. Their variance estimates can be evaluated using re-sampling methods like BBR, Jackknife, linearization-substitution methods, which are generally used for the data from a complex sample.

지역교육청 수요자 만족도조사를 위한 표본설계는 경상남도의 2009년 경남지역교육청 고객만족도 조사의 표본크기에 기초하여 시 군별 지역교육청평가에 맞추어 설계하였다. 대도시의 구단위 지역 교육청과 달리 지방의 시 군 교육청은 학생수와 학교수, 학급당 학생수 등의 변동이 크다. 시간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전체 표본크기를 작게 하면서도 각 시 군 교육청 평가에 필요한 최소표본수를 확보하도록 설계하였다. 경상남도는 10개의 시지역과 10개의 군지역을 가지고 있고, 학생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군지역교육청 평가에 필요한 최소표본수를 확보하기위해 지역별 평가에 필요한 최소표본을 우선배분한 후, 나머지는 지역별 학급수에 비례배분하였고, 표본학교는 지역과 학교설립유형별로 층화하여 학급수에 비례하여 추출하였다. 표본학교 내에서 조사대상 학생은 2단집락추출하였다. 지역별 추출율의 상이함을 보정하기 위해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조사자료의 분석은 가중치를 적용하여 가중평균, 가중총합 등을 이용하며, 분산의 추정은 통계소프트웨어에서 제공하는 균형반복복제, 잭나이프, 선형화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달호, 김남희 (1998). 신뢰성있는 지역통계 추정을 위한 제언.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9, 337-344.
  2. 김달호, 조길호, 황진섭, 정경하 (2009). 경북인의 생활과 의식조사 표본설계.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 1155-1167.
  3. 김성열, 서민원, 오세희 (2006). <2006년도 학교평가 고객만족도 조사>, 경상남도교육청.
  4. 김성식, 임현정, 김옥남 (2008). <2008 서울 교육 만족도 조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5. 김양분, 유한구, 남궁지영 (2004). <교육 만족도 조사 도구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6. 김양분 (2008). <07 지방교육 혁신을 위한 고객만족도 조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7. 김종태, 서효민, 이인락 (2009). 2026년까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지역의 고등학교 3학년 학생수에 대한 예측과 대학 입학정원수와의 비교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 159-169.
  8. 윤용화, 김종태, 이우동 (1998). 평활 적합도 검정에서의 분산추정의 영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9, 189-202.
  9. 최명숙, 김성후, 최성열 (2007). <대구 교육 수요자 만족도 조사 연구>, 계명대학교.
  10. 교육법전편찬회 (2010). <교육법전>, 교학사.
  11. Binder, D. A. (1983). On the variances of asymptotically normal estimators from complex surveys.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51, 279-292. https://doi.org/10.2307/1402588
  12. Korn, E. L. and Graubard, B. I. (1999). Analysis of health surveys,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3. Krewski, D. and Rao, J. N. K. (1981). Inference from stratified samples: Properties of the linearization, jackknife and balanced repeated replication methods. Annals of Statistics, 9, 1010-1019. https://doi.org/10.1214/aos/1176345580
  14. Lavrakas, P. J. (2008). Encyclopedia of survey research methods, Vol.2, SAGE Publication, Inc., London.
  15. Oh, H. I. and Scheuren, F. J. (1983). Weighting adjustment for unit nonresponse. In Incomplete Data and Sample Surveys, Vol. 2, Ed. W. G. Madow, I. Olkin and D. B. Rubin, 143-184. New York, Academic Press.
  16. Shao, J. (1996). Resampling methods in sampling surveys. Statistics, 27, 203-254. https://doi.org/10.1080/02331889708802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