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reen Image and Subjectivity of 3D First-Person Shooting Game

3D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시각적 요소와 주체

  • 전경란 (동의대학교 디지털문화콘텐츠공학과)
  • Received : 2010.04.22
  • Accepted : 2010.05.25
  • Published : 2010.06.20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screen image of 3D first-person shooting games and the newly created subjectivity by that image. 3D first-person shooting games create immersion by remediating the visual experience in the real world. The construction of subjective perspectives and comparatively clear interface are the important features of 3D first-person shooting games. The subjectivity created by this games' image is different from the subjectivity constructed by suture of film. Gamers have the dominant position of the subject of looking, gaming and narrating, but the narrating position is never permanent nor stable. Because the position has the limited sight of first-person, not the comprehensive sight of third-person.

이 연구에서는 3D 1인칭 슈팅게임의 시각적 요소를 살펴보고, 그 고유한 특징으로 인해 새롭게 구성되는 주체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3D 1인칭 슈팅게임은 현실 세계에서 인간이 갖는 시각 경험을 재매개함으로써 게이머로 하여금 몰입감을 창조한다. 주관적 시점의 구성, 상대적으로 투명한 인터페이스의 설정 등은 3D 1인칭 슈팅게임의 영상이 지니고 있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게임의 시각적 요소를 통해 구성되는 주체는 영화에서 봉합과 같은 장치를 통해 형성되는 주체와 다른 것이며, 게이머는 주관적 시점과 자율적인 영상 구성을 통해 시선의 주체, 행위의 주체이자 서술의 주체가 된다. 그러나 3D 1인칭 슈팅게임에서 게이머는 완전한 의미의 말하는 주체가 아니라 시야의 제한으로 인해 불완전한 수준의 주체에 머무르게 된다.

Keywords

References

  1. First-person shooter http://en. wikipedia.org/wiki/First-person_shooter.
  2. Cifaldi, F. The Gamasutra Quantum Leap Awards: First-Person Shooters, GamaSutra, September 1, 2006.
  3. 주형일, 영상매체와 사회, 한울아카데미, 2004.
  4. Lister, M., Dovey, J., Giddings, S., Grant, L., & K. Kelly, New Media: A Critical Introduction, London & New York: Routeldge, 2003.
  5. 주형일, 디지털 영상의 사회문화적 의미 연구: 디지털 3D 캐릭터 영상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10권 4호, 90-120쪽, 2002.
  6. Bolter, J. D. & Grusin, R.,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Cambridge: The MIT Press, 1999.
  7. Sturken, M. & Cartwright, L., Practices of Looking: An Introduction to Visual Culture , New York: Oxford Univ. Press, 2001, 111-114쪽.
  8. Oudart, J.P., Cinema and Suture, Browne, N.(ed.) Cahiers du Cinema Vol. 3, 1969-1972: Politics of Representation, London: Routeldge, 1990.
  9. 조셉 보그스, 이용관 역, 영화보기와 영화읽기, 제3문학사, 1991.
  10. Oudart, J.P., The Reality Effect, Browne, N.(ed.) Cahiers du Cinema Vol. 3, 1969-1972: Politics of Representation, London: Routeldge, 1990.
  11. Heath, S., Narrative Space, Screen, 17, 3, 1976, 68-112쪽. https://doi.org/10.1093/screen/17.3.68
  12. Silverman, K., The Subject of Semiotics, New York: Oxford Univ. Press. 1983.
  13. Stam, R. Burgoyne, R. & S. Flitterman-Lewis, New Vocabularies in Film Semiotics: Structuralism, Post-structuralism and Beyond, London & New York : Routledge. 1992.
  14. 이설희․성용희, 게임에서의 시점과 캐릭터 동일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8-3, 117-126쪽, 2008.
  15. Morris, S., First-Person Shooters- A Game Apparatus, King, G. & T. Krzywinska(eds.) ScreenPlay: Cinema/ Videogames/Interface, London & New York: Wallflower Press. 2002.
  16. Fuller, J. & Jenkins, H., Nintendo and New World travel writing: A dialogue Jones, S.(ed.) Cybersociety: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and Community Thousand, London: Sage.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