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와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

Multi-Cultural Society and Social Distance for Foreigners in Korean Society

  • 투고 : 2010.01.29
  • 심사 : 2010.02.19
  • 발행 : 2010.03.30

초록

이 연구는 다문화사회의 피할 수 없는 과제인 가치관 변화를 위한 출발점을 모색하기 위해 외국인에 대한 감정적 반응의 실체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소수 민족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측정하는 데 주로 사용되어 온 보가더스 척도는 '국민'과 '결혼을 통한 친족관계'에 대해 유독 배타성을 보이는 한국인들의 태도를 설명하는 데에는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감정조절이론의 평가성과 권력성 그리고 활동성을 기준으로 각 출신지별 외국인에 대한 태도를 살펴보았다. 미국인이 세 차원 모두에서 높게 평가되었고, 일본인은 평가성은 낮고 권력성과 활동성이 높았다. 조선족과 새터민은 평가성은 높으나 나머지 점수가 낮다. 서아시아인은 세 차원 모두에서 부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사회적 거리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과 그 상대적인 영향력을 파악한 결과 평가성이 모든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된 변수였고, 일본인에 대해서는 권력성의 평가가, 중국인과 서아시아인에 대해서는 활동성에 대한 평가가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쳤다.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미국인을 제외한 모든 외국인 집단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줄어들었다. 미국인에 대해서는 여성이, 새터민의 경우에는 연령이 높을수록 사회적 거리감이 적었다.

This study defines the substance and multi-dimension of emotional reactions which Koreans have toward foreigners to find the starting point of change in values which is an inevitable task in this multi-cultural societ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Bogardus scale which has been used to measure the social distance toward the minority race is found to have limitations in explaining the closed attitude of Koreans toward 'nation' and 'kinship through marriage'. To supplement such limitations, exploration on attitudes toward foreigners from different native places is performed based on the 'evaluation', 'power' and 'activity' dimensions of the Affective Control Theory. As a result, Americans are highly evaluated in all three dimensions while Japanese are evaluated low in the 'evaluation' dimension and high in the 'power' and 'activity' dimensions. North Korean defectors and ethnic Koreans from China (the Chosun race) are high in evaluation but low in other dimensions. West Asians are evaluated low in all three dimensions. By comprehending the influencing factors and the relative influence of social distance, it proves that the 'evaluation' dimension is the common denominator in all groups while 'power' dimension toward Japanese and 'activity' dimensions toward Chinese and West Asians influence social distance. All foreigners excluding Americans receive closer social distance when having higher education level. Moreover, American women and older North Korean defectors receive closer social distanc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