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mple Design in Korea Housing Survey

주거 실태 및 수요조사 표본설계

  • 변종석 (한신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 최재혁 (한신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Received : 2009.11.12
  • Accepted : 2010.01.26
  • Published : 2010.03.30

Abstract

In new sample design for Korea Housing Survey to research about housing policy, total strata are forty five because individual results of sixteen regions are estimated. The sample size is determined by sample errors of several variables which are the living area, family income, householder income, and living expenses. The sample size of each region is determined by relative standard error of existing result, and the strata sample size is to use the square root proportion allocation. Enumeration districts are sampled by the probability proportion to size systematic sampling in proportion to the enumeration district size, and the systemic sampling to use assortment characteristics. We considered a new apartment complex because of variation reflections which are rebuilder and redevelopment of houses. To get estimators of mean and variance, we used the design weighting, non-response adjusting, and post-stratification. In order to consider estimation efficiency, we calculate the design effect using estimators of variance.

지역별 계층별 주거실태 파악을 위한 주거 실태 및 수요조사의 새로운 표본설계는 전국 16개 시도별로 조사결과의 독립추계가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 총 45개의 층으로 층화한다. 조사의 표본오차 관리 대상 변수로 주택사용면적, 가구소득, 가구주 소득, 가구 생활비 등을 고려하여 표본규모를 결정한다. 각 지역의 표본크기는 기존조사의 결과 중 상대표준오차를 이용하여 결정하고 세부 층에 대한 표본배정은 가구 수의 제곱근비례 배정방법을 적용한다. 표본조사구의 추출은 조사구의 크기에 비례한 확률비례계통추출법으로 추출하고 계통추출에 있어서는 추출단위를 분류지표에 따라 정렬한 후 추출한다. 주택의 재건축, 재개발 등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신규 아파트 단지를 고려하되 주택은 멸실에 대한 자료를 얻기 어렵기 때문에 신규 주택은 고려하지 않는다. 가중값은 설계가중값, 무응답 조정, 사후층화 조정의 과정을 통해 추정량과 분산 추정량에 이용한다. 추정의 효율을 살펴보기 위해 분산추정량의 설계효과를 계산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