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Body-Weight-Support System for Walking Rehabilitation

보행 재활을 위한 신체 자중 보상용 모바일 로봇에 관한 연구

  • Suh, Seung-Whan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
  • Yu, Seung-Nam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
  • Lee, Sang-Ho (Department of mechatronics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
  • Han, Chang-Soo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 Received : 2010.08.10
  • Accepted : 2010.10.15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As the population of elderly people and disabled people are increased, various demands for human welfare using robot system are raised. Especially autonomous rehabilitation system using robot could reduce the human effort while maintaining the its intrinsic efficacy. This study deals with mobile gait rehabilitation system which combined with BWS (Body Weight Support) for training of elderly and handicapped people who suffer the muscle force weakness of lower extremity. BWS which is designed by kinematic analysis of body lifting characteristics and walking guide system are integrated with main control system and wheeled platform. This mobile platform is operated by UCS (User Command System) and autonomous trajectory planning algorithm. Finally, through the EMG (Electromyography) signal measuring and its analysis for subject, performance and feasibility of developed system is verified.

최근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 및 장애 인구의 증가로 인해, 인간의 복지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 특히 재활 자동화와 관련한 로봇 시스템은 환자 본인 및 치료 보조자에 대한 수고를 덜어주면서도 기존의 전통적인 재활효과에 상응하는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하지 근력이 약화된 사용자들의 신체 자중을 보상해줌과 동시에 정상인과 같은 패턴의 보행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형 보행 재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자중보상 시스템은 신체의 자세 변화 특징을 반영하여, 기구학적인 분석을 통해 구현하였으며 보행 가이드를 위한 제어 알고리즘과 더불어 메인 컨트롤 시스템이 내장된 모바일 플랫폼에 통합 적용되었다. 이러한 모바일 플랫폼은 사용자의 보행 속도의지를 반영하는 UCS(User Command System)와 플랫폼 자체에 내장된 자율주행 알고리즘의 병합되어 운용되도록 고안되었으며, 본 논문에서는 보행 훈련시의 BWS(Body Weight Support)의 효과에 대한 검증에 집중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체의 근전도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EMG(Electromyography) 센서를 활용하여, BWS 및 모바일로봇을 활용한 자중 보상 시의 피험자의 하지 근력 패턴을 측정 및 분석하여, 정상 보행자와의 차이점을 비교함으로서 본 연구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J.M. Visintin and H. Barbeau, The effects of body weight support on the locomotor pattern of spastic paretic patients, Le J. Canadien des Sci. Neurol., Vol. 16, No. 3, pp. 315-325, 1989 https://doi.org/10.1017/S0317167100029152
  2. L. Finch and H. Barbeau, "Influences of partial weight bearing on normal human gait: The development of a gait retraining strategy," Can. J. Neurolog. Sci., vol. 12, p. 183, 1985.
  3. H. Barbeau, M. Wainberg, and L. Finch, "Description of a system for locomotor rehabilitation," Med. Biol. Eng. Comp., vol. 25, pp. 341-344, 1987. https://doi.org/10.1007/BF02447435
  4. T. I. Ide, N. Akamatsu, and I. Nakajima, "Development of a gait training robot (AID-1)," Orthop. Surg. Traumatol., vol. 29, pp. 825-828, 1986.
  5. J. Kawamura, T. Ide, S. Hayashi, H. Ono, and T. Honda, "Automatic suspension device for gait training," Prosthet. Orthot. Int., vol. 17, no.2, pp. 120-125, 1993.
  6. 장재호, 박동진, 한창수, "보행재활을 위한 이동로봇의 제어 알고리즘 연구," 대한의용생체공학회 추계학술대회, 2002.
  7. 안정우, 박동진, 권태종, 한창수, "자율 주행차량의 경로추종 제어 알고리즘," 한국정밀공학회논문집 제17권 제4호, 한국정밀공학회, pp. 121 - 128, 2000.
  8. G.W. Gleim and J. A. Nicholas, "Metabolic costs and heart responses to treadmill walking in water at different depths and temperature," Amer. J. Sports Med., vol. 17, no. 2, pp. 248-252, 1989. https://doi.org/10.1177/03635465890170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