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Burnout by Job Environment of Care-givers on Job Satisfaction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Jeong, Yun-Mo (Division of Social Welfare, Wonkwang Digital University) ;
  • Kang, Young-Sig (Division of Social Welfare, Myungsin University)
  • 정윤모 (원광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강영식 (명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0.08.19
  • Accepted : 2010.10.15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ttributes, stress and burnout related to job environment of healthcare facilities workers for the aged, care-givers, analyze the effect of these factors on job satisfaction, and improve their organizational task to help advance the quality of life and the healthcare facilities for the aged. A survey was made on 129 care-givers working in the healthcare facilities for the aged(care facilities, in-home facilities for the aged) located in Jeonbuk Gunsan area. This study showed that sub-factors of care-givers' job environment such as human environment, compensation system and job expertis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burnout, stress and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a well-organized compensation system, which is proportionate to the job expertise and ability for human environment, and achievement of innovative thinking, will make a positive relationship, reduce the job burnout and stress, and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at the same time. Compared to the rapid increase of old aged patients for long-term care and care-givers' real role and job in the facilities, the job specialization has to be guaranteed to improve job environment of care-givers as various beneficial workers for welfare - professional workers - and the compensation system needs to be properly systematized according to their job capacity. Consequently, the production and participation of professionals with high self-esteem may rais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the maximization of job satisfaction by the participation and devotion to the organization of more professionals by removing factors, which can reduce the frequent job burn-out and stress of care-givers.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인 요양보호사들의 직무환경과 관련된 속성 및 스트레스와 소진을 파악하고 이들 요인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효과를 분석하여 요양보호사의 조직업무를 향상시켜 노인의 삶의 질과 노인복지 발전에 도움이 되는데 목적을 갖고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북 군산시에 소재한 노인장기요양기관(요양시설, 재가노인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1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의 하위요인으로 인적환경과 보상체계, 업무전문성 등이 직무소진,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실증시켜 주었다. 이는 그만큼 인적환경을 위한 업무전문성 및 능력과 혁신적 사고를 가진 업적에 비례한 보상체계가 잘 되어 있을수록 긍정적인 관계 형성과 동시 직무소진과 스트레스의 감소 및 직무만족이 향상됨을 의미한다. 이는 최근 장기요양을 위한 노인성 환자의 급증과 장기요양기관에서의 요양보호사의 역할과 직무가 중요시되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전문직으로서의 다양한 복지 수혜적 봉사자로서의 요양보호사들의 직무환경 개선을 위한 직무전문화 보장과 이들 직무능력에 따른 적절한 보상시스템의 체계화가 필요시 됨을 시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직업에 대한 자긍심이 높은 전문 인력의 배출과 참여로 요양보호사의 잦은 직무소진과 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경감요인을 찾아 제거함으로써 보다 많은 인력의 참여와 조직헌신을 통한 직무만족 극대화를 통해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미숙. 케어기술. 서울: 교육과학사. 2006.
  2. 고종욱.염영희.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역할." 대한간호학회지 33(2): 265-274. 2003.
  3. 김기태.서화정. "노인복지업무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단 29. 2002.
  4. 김병. "노인복지시설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과의 관계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5. 김우택. "조직구성원의 역량을 위한 임파워먼트 제고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6
  6. 김희경.지현순.류은경.전미경. "간호사의 소진 영향요인." 임상간호연구 10(2), 7-18. 2005.
  7. 남선이. "사회복지생활시설 종사자의 직무만족에 대한 자기조절모형."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6.
  8. 박선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사이의 관계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사회복지사의 경우."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보건복지가족부. 노인복지시설 현황. 2009.
  10. 송미선."간호사의 직무만족요인 및 직무만족도가 환자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11. 송정옥. "보건복지공무원의 양성평등의식과 성차별 경험이 임파워먼트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12. 양애선. "중환자실 신규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직무만족,조직몰입,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13. 엄태열. "지도직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강원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4. 오석홍. 조직이론. 서울: 박영사. 1997.
  15. 윤숙녀. "고객서비스리더의 자기효능감 및 상사의 지원과 고객서비스 직무현장 교육활동간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16. 윤혜미. "사회복지전문요원의 직무만족, 이직의도, Burnout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18, 83-116. 1996.
  17. 이성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상관관계 분석."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18. 이영옥.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수준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 효과 : D 의료원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9. 정윤모, 노인복지론, 공동체, 2007.
  20. 최인섭.초의수. "사회복지전담 공무원의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13: 282-311. 2002.
  21. Gibson, J. L.(1985). Organizations: Behaviour Structure Processes. 9th ed. McGraw Hill Publication, Boston.
  22. Herzberg, F. 2003. The Motivation to Work. Hohn Wiley and Son.
  23. Hulin, C. 1991. Adaptaion, persistence, and commitment in organizations. In M. Dunnette & L. Hough (Eds.),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2nd ed., Vol 2). CA: Consulting Psychologists.
  24. Iris, B. & Barrett, G. V. 1977. Some relations between job and life satisfaction and job import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6: 301-304.
  25. Lin, Nan. and Ensel, Walter M. "Life Stress and health: stressors and resourc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4: 382-399. 1989. https://doi.org/10.2307/2095612
  26. Mackworth, N. H.(1950). Researches on the Measurement of Human Performance. Spec. Rep. Ser. Med. Res. Coun. (Lond..) no. 268. H.M.S.O., London.
  27. Parker, D. F. & DeCotiis, T. A. 1983. Organizational determinants of job stres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32: 160-167 https://doi.org/10.1016/0030-5073(83)90145-9
  28. Porter, L. W. & Lawler, E. E.(1965). "Properties of organization structure in relation to job attitudes and job behavior". Psychological Bulletin, 64, 23-51. https://doi.org/10.1037/h0022166
  29. Smith, P. C., Kendall, L, M. & Hulin, C. L.(1969). The Measurement of Satisfaction in Work and Retirement. Chicago: Rand McNally.
  30. Stamps, P. L., Piedmont, E. B., Slavitt, D. B., & Haase, A. M.(1978). "Measurement of work satisfaction among health professionals". Medical Care. 16(4), 337-350. https://doi.org/10.1097/00005650-197804000-00006
  31. Vroom, V. H. 1964. Work and Motivation. New York, NY: John Wiley and Sons.

Cited by

  1. Fashion Product Salesperson's Perception of Department Store in Department Store Middle Management System vol.15, pp.1, 2013, https://doi.org/10.5805/SFTI.2013.15.1.022
  2. Role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Orientation and Flight Attendants vol.16, pp.1, 2015, https://doi.org/10.5762/KAIS.2015.16.1.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