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ansinkak of Korean Temple

한국 사찰 산신각(山神閣)의 건축적 특성과 성격 연구

  • 양상현 (순천향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 김예정 (순천향대학교 공과대학원)
  • Received : 2010.08.12
  • Accepted : 2010.10.15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Sansinkak' is the building which contains the picture or statue of mountain god(=Sansin). It is also an expression of respect for the mountain god. This building is usually very small, so a few person can enter inside it. Because people pray to mountain god for personal purpose, sometime this wishes are exclusive and egoistic, so narrow space is more suitable. Sansin is not the original god of Buddhism, it is the god of folk belief of traditional Korea, so every Sansinkak is located in the back slope of the temples, away from Buddha's building, the center area. Sansinkak is not only the pathway of vital force from back mountains to the temple, but also the exit to the infinite nature as an extension of Buddhist belief.

산신은 우리나라의 전통적 토착 신앙이 불교 내부에 수용된 것으로 사찰 안에 산신각이 건립된 것은 17세기 이후에 시작된 것으로 본다. 불교 고유의 신격이 아닌 까닭에 산신각의 입지는 불전의 배후에 떨어져 산과 가까운 기슭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대다수의 사찰에서 산신각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음에도 그 크기가 작은 까닭은 산신 신앙의 개인성에서 비롯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간결한 형태를 통하여 산천 정기가 집약, 응축된 장소임을 강하게 표현하려는 상징적 의도가 나타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산신각은 산천의 정기가 사찰 안으로 흘러 모여드는 통로이자 불교의 고유한 신앙체계가 무한한 자연의 영역으로 확장되는 출구이기도 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양상현, "조선시대 사찰배치의 서사구조",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153, 1999.
  2. 이송희, "17-18세기 사찰 내 산신각 건립배경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16, 2007.
  3. 윤열수, "산신도", 대원사, p.35, 1998.
  4. 윤열수, "조선후기 산신탱화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38, 1998.
  5. 손진, "한국불교의 산신신앙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p.41-42, 2008.
  6. 신영훈, "절로 가는 마음", 책만드는집, p.64, 1995.
  7. 곽춘섭, "사찰 산신각의 의미와 배치형식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39, 2001.
  8. 장양경, "19세기 불교 산신도 연구", 경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19, 2007.
  9. 이송희, "17-18세기 사찰 내 산신각 건립배경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p.2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