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the BMI and %Fat on the Diagnosis of Hyperlipermia in Adult Women

성인 여성의 신체질량지수와 체지방률이 고지혈증 진단에 미치는 영향

  • 김미영 (단국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 임청환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 Received : 2010.05.17
  • Accepted : 2010.06.03
  • Published : 2010.08.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diagnosis of hyperlipemia differed for according to BMI and %Fat. The included subjects were 224 adult women, they performed physical measurement and BMI measured %Fat by BIA. Blood pressure and lipid profiles were measured in the NPO state. The LDL calculated in using a formula of Friedwald and an atherogenic index was calculated using the serum TC lever divided by th HDL level As a results, HDL decreases so that BMI and %Fat increase and TC, TG, LDL, AI appeared by increasing.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r=.585) between BMI and %Fat, and lipid profile correlation with BMI is higher than %Fat. In conclusion, diagnosis results of hyperlipemia according to BMI and %Fat could become different conclusively. In study it seems that BMI's diagnosis ability on hyperlipemia is high but the most desirable method uses BMI and %Fat together and evaluates lipid profile.

비만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들은 다양하며 현재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은 BMI와 BIA를 이용한 %Fat방법이다. 이 연구에서는 비만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고지혈증을 진단함에 있어 BMI와 %Fat의 예측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224명의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신체계측을 시행하였고, BIA를 통해 %Fat을 측정하였다. 공복상태에서 채혈을 실시하여 TC, TG, HDL을 측정하였으며, LDL은 Friedwald의 공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AI는 TC를 HDL로 나눈 값으로 정의하였다. 연구결과 혈중지질은 BMI와 %Fat이 증가함에 따라 HDL은 감소하고 TC, TG, LDL, AI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MI와 %Fat사이에는 r=.585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MI가 %Fat에 비해 혈중지질과의 상관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BMI를 이용하여 혈중지질을 예측하고 분류하는 것에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나,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BMI와 %Fat 기준을 혼용하여 혈중지질을 평가하는 것이라 생각되어진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성경, 최건식, “ 과체증 및 비만 여성에서 운동 후 ST 분절의 상승과 심박수-회복궤도 (Rate-Recovery Loop)의 변화”, 운동과학, 제13권, 제2호, pp.167-176, 2004.
  2. T. Wessel,, C. Arant, and M. Olson, "Relationship of Physical Fitness vs Body Mass Index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and Cardiovascular Events in Women," JAMA, Vol.292, No.10, pp.1179-1187, 2004. https://doi.org/10.1001/jama.292.10.1179
  3. P. Wilson, "Assessing Coronary Heart Disease Risk with Traditional and Novel Risk Factors," Clin. Cardiol., Vol.27, No.6 suppl 3, pp.7-11, 2004. https://doi.org/10.1002/clc.4960271504
  4. 고성경, "BMI와 %Fat에 의한 비만도 평가가 고지혈증 진단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4권, 제1호, pp.21-30, 2005.
  5. E. Giovannucci, G. Colditz, and M, Stampfer, "Physical Activity, Obesity, and Risk of Colorectal Adenoma in Women(United States), Cancer Causes Control, Vol.7, No.2, pp.253-263, 1996. https://doi.org/10.1007/BF00051301
  6. 조수현, 임인석, 김재택, "폐경여성에서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 계측법(DEXA)으로 측정된 신체 지방량과 체질량지수와의 상관관계", 대한폐경회지, 제9권, 제2호, pp.156-162, 2003.
  7. 조홍근, 장양수, " 비만과 심혈관 질환", 대한비만학회지, 제13권, 부록1, pp.77-82, 2004.
  8. 김명현, 김태완, 홍영진, "인천지역 청소년의 비만도와 혈청 콜레스테롤치와의 관계", 소아과학회지, 제45권, 제2호, pp.174-182, 2002.
  9. 고성경, 스포츠의학, 2판, 도서출판 홍경, 2004.
  10.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North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The Parctical Guide: Identifica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 2000.
  11. P. Kopelman, "Obesity as a Medical Problem," Nature, Vol.404, No.6778, pp.635-643, 2000.
  12. 한지혜,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의 설명 변수:체지방률과 체질량지수의 비교", 대한비만학회지, 제12권, 제2호, pp.154-161, 2003.
  13. 김상만, 이득주, 김영설, "건강증진센터 자료를 이용한 한국인의 비만지표에 대한 평가", 대한비만학회지, 제9권, 제4호, pp.276-282, 2000.
  14. H. Lukaski, "Body Mass Index, Bioelectrical Impedance, and Body Composition," Nutrition, Vol.17, No.1, pp.55-56, 2001. https://doi.org/10.1016/S0899-9007(00)00499-8
  15. T. Nagaya, H. Yoshida, and H. Takahashi, "Body Mass Index(weight/height2) or Percentage Bod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Which Variable Better Reflects Serum Lipid Profile," Int. J. Obesity, Vol.23, No.7, pp.771-774, 1999. https://doi.org/10.1038/sj.ijo.0800961
  16. K. Segal, A. Dunaif, and B. Gutin, "Body Composition, not Body Weight, is Related to Co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Sex Hormone Levels in Men, J. Clin. Invest., Vol.80, No.4, pp.1050-1055, 1987. https://doi.org/10.1172/JCI113159
  17. M. Sampei, N. Novo, and Y. Juliano, "Comparison of the Body Mass Index to Other Methods of Body Fat Evaluation in Ethnic Japanese and Caucasian Adolescent Girls,"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Vol.25, No.3, pp.400-408, 2001. https://doi.org/10.1038/sj.ijo.0801558
  18. M. Neovius, Y. Linne, and S. Rossner, "BMI, Waist-Circumference and Waist-Hip-Ratio as Diagnostic Tests for Fatness in Adolescents,"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Vol.29, pp.163-169, 2005. https://doi.org/10.1038/sj.ijo.0802867
  19. 고성경, "유산소성 운동능력과 비만도가 성인여성의 혈중지질과 고지혈증 발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7권, 제1호, pp.355-364, 2006.
  20. 윤영숙, "여성의 비만; Background of Epidemiology", 대한비만학회지, 제13권, 부록1, pp.211-224, 2004.
  21. 김용권, "체력과 신체구성(BMI, WHR, %BF), 혈중지질과의 상관 연구",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19권, 제1호, pp.89-97, 2001.

Cited by

  1. The Effects of 12-weeks health 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bone density, blood lipid, and health behavior among Middle-aged and Aged Women in rural areas vol.14, pp.4, 2013, https://doi.org/10.5762/KAIS.2013.14.4.1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