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정적 그리드 기반의 에너지 효율적 라우팅 프로토콜

An Energy-Efficient Routing Protocol based on Static Grid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최재민 (충북대학교 전자계산학과 네트워크보안 연구실) ;
  • 문형진 (중국 연변과학기술대학 컴퓨터전자통신공학부) ;
  • 정윤수 (충북대학교 전자계산학과 네트워크보안 연구실) ;
  • 이상호 (충북대학교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 투고 : 2010.01.20
  • 심사 : 2010.07.15
  • 발행 : 2010.08.31

초록

최근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언제, 어디서나 통신이 가능한 환경을 구현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의 한 분야로 각광받고 있다. 관리자가 감지 대상 지역을 이동하면서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하기 위해서 싱크 노드의 이동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이동 싱크 노드와 관련된 가장 대표적인 기법으로 두 계층 데이터 전송 방식(TTDD)이 제안되었으나, 많은 제어 패킷으로 에너지 효율성이 떨어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클러스터 기반의 에너지 효율적인 라우팅 프로토콜(CBPER)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CBPER은 보이드 그리드가 발생하면 싱크 노드 또는 소스 노드까지 데이터가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진다. 이 논문에서는 CBPER의 데이터 전송 실패를 해결하고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이동 싱크 노드를 적용한 정적 그리드 기반의 에너지 효율적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NS-2에 의한 성능평가를 통해 제안 기법이 CBPER 기법보다 약 34%정도 에너지 측면에서 효율적이며, 싱크 노드까지 더 정확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Recently wireless sensor networks as a field of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y was in the limelight. To use and collect the necessary information, Sink node mobility is essential. TTDD(Two-Tier Data Dissemination) proposed most common technique associated with Mobile sink node in wireless sensor networks, but issues exist that the use of many control packet falls into the energy efficiency. The technique for solving problems is Cluster-Based Energy-efficient Routing protocol (CBPER). But CBPER does not transmit the data correctly to sink node or source nod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nergy-Efficient Routing Protocol based on Static Grid using mobile sink nodes in order to solve the data transmission failure and reduce the energy consump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We have evaluated it with the NS-2 simulator. Our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protocol saves the energy consumption up to 34% in comparison with CBPER. We also prove that the proposed protocol can transmit more accurate data to the sink de than CBPER.

키워드

참고문헌

  1. Ian F. Akyildiz, Weilian Su, Yogesh Sankarasubramaniam, and Erdal Cayirci, "A Survey on Sensor Networks,"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Vol.40, No.8, pp.102-114, 2002. https://doi.org/10.1109/MCOM.2002.1024422
  2. J. N. Al-Karaki and A. E. Kamal, "Routing Technique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A Survey," IEEE Communications, Vol.11, No.6, pp.6-28, 2004.
  3. 황미영, 김명기 "이동싱크에 대한 섹션 기반 라우팅 기법", 한국정보과학회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제33권 제2호, pp.360-365, 2006.
  4. F. Ordonez and B. Krishnamachari, "Optimal Information Extraction in Energy-Limited Wireless Sensor Networks," IEEE Journal on Selected Areas in Communications, Vol.22, No.6, pp.1121-1129, 2004. https://doi.org/10.1109/JSAC.2004.830930
  5. H. Lu, Y. Chang, H. Hu Jiann-Liang Chen, "Power-efficient scheduling method in sensor networks," 2004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Vol.5, pp.4705-4710, 2004.
  6. C. Intanagonwiwat, R. Govindan, and D. Estrin, "Directed Diffusion : A Scalable and Robust Communication Paradigm for Sensor Networks," MOBICOM pp.56-67, 2002.
  7. W. R. Heinzelman, A. Chandrakasn, and H. Balakrishnan, "Energy-Efficient Communication Protocol for Wireless Microsensor Networks," Proc. HICSS'00, Vol.2, pp.3005-3014, 2000.
  8. F. Ye, H. Luo, J. Cheng, Songwu Lu, and Lixia Zhang, "A Two-Tier Data Dissemination Model for Large-scale Wireless Sensor Networks," MOBICOM'02 pp.148-159, 2002.
  9. 권기석, 이승학, 윤현수,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클러스터 기반의 에너지 효율적인 라우팅 프로토콜", 정보과학회논문지 정보통신 제33권 제1호, pp.76-90, 2006.
  10. 정성영, 이동욱, 김재훈,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그리드 기반의 에너지 효율적인 라우팅 프로토콜", 정보과학회논문지, 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제14권 제2호, pp.216-220, 2008.
  11. 조지은, 최종원, "센서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싱크를 위한 에너지 효율적인 라우팅 프로토콜", 정보과학회논문지, 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제14권 제5호, pp.482-486.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