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discusses the meanings of nationality in information behaviour. In this study nationality was represented by citizenship and group personality(here, dependency) Surveys were conducted for data collection, and a questionnaire were completed by 331 participants(158 Korean students and 183 Japanese students). Simple frequency tests and chi-square tes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proposed relation between citizenship and information behavior, that between dependency and information behavior. Also conducted was two-way ANOVA test to examine the relative significance of two independent variables(citizenship and dependency) in inform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chi-square tests showed that both variabl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information behavior although the relationship was partially significant. And the results of ANOVA test showed that between the two variables, citizenship was more significant than dependency.
이 연구의 목적은 정보행태에 있어 국민성이 갖는 의미에 주목하면서, 정보행태에 대한 집단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의 비중을 상대적으로 가늠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민성을 대변하는 요소로 국적과 성격(의존성)을 선정하였으며, 정보행태를 대변하는 10개의 지표를 개발하였다. 논의에 필요한 데이터는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는데, 158명의 한국인 대학생과 183명의 일본인 대학생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수집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국적과 의존성의 상대적 비중을 가늠하기 위한 ANOVA 검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분석의 결과, 상대적 비중에 있어 국적의 영향력이 의존성의 영향력보다 크며, 집단적 요인의 비중이 개인적 요인의 비중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