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uniqueness of 's hyper-realistic animation style

영화 <아바타>가 보여주는 극사실적 애니메이션 스타일의 특이성 연구

  • 이윤희 (동덕여자대학교 미디어디자인)
  • Received : 2010.05.31
  • Accepted : 2010.09.10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e Uncanny Valley is a hypothesis introduced by a roboticist, Masahiro Mori. The theory holds that as robots and other facsimiles of humans look and act more human-like, the emotional response from a human spectator to them will become increasingly empathic, until they approach realistic similarity to humans but not quite exactly like them, when those images stop being likable and instead become repulsive and "uncanny." Although the scientific validity of this hypothesis is still debatable, it is true that many spectators has tendency to reject hyper-realistic animation. For that reason, the great success of the recent movie Avatar is remarkable. Computer animations that try to represent humans in hyper-realistic way fall into a paradox: successful result images would look too mundane and unsuccessful ones look "wrong". On top of that, audience would expect from hyper-realistic animation to see same level of acting of live-action films, which is usually not the case. The subtle differences between digital characters and real actors irritate spectators and hinder them in absorbtion.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Avatar and other hyper-realistic animation is the referent of their representation. While Avatar pursues a similar hyper-realistic visual style, the referents of the representation shown in this movie are totally alien to us thus impossible to compare with the real counterparts. Unlike characters in other hyper-realistic animations who had to fight an uphill battle with great actors in real life, those in Avatar have criteria of their own. That is why this movie can be free from the dreadful valley and let the audience absorb into the spectacle.

언캐니 밸리는 로봇학자 모리 마사히로에 의해 도입된 가설로, 사람들은 대상이 인간과 유사성이 있을수록 호감을 느끼지만, 인간과의 유사성이 매우 높지만 똑같지는 않은 지점에서 급격한 기괴함을 경험한다는 주장이다. 그 과학적 타당성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지금까지 관객들은 극사실적 스타일을 사용한 애니메이션에 대해 어느 정도 이상의 거부감을 표현해온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은 최근 언캐니 밸리를 넘어 대대적인 성공을 거둔 영화 <아바타>의 성공요인을 분석하고, 무엇이 이 차이를 가지고 왔는지를 연구하였다. 이 영화들의 가장 큰 차이는 그들이 재현하는 것의 지시체라고 볼 수 있다. 기존의 극사실적 애니메이션들은 현실적 장면을 똑같이 재현하려고 노력하였는데, 그 결과 완전하게 성공적인 장면은 평범하게 느껴지는 반면 덜 성공적인 장면에서 나타나는 오류는 극도로 눈에 거슬린다는 단점을 낳았다. 극사실적 캐릭터들과 현실적 배우 사이에 느껴지는 미세한 차이는 관객의 몰입을 방해하기 때문에, 매우 설득력 있는 내러티브로 그것이 보상되지 않는 한 흥행에서 실패해왔던 것이다. 반면 <아바타>는 똑같이 극사실적 시각 스타일을 추구하면서도, 그것이 지시하는 대상은 관객들이 잘 알고 있는, 그래서 비교가 가능한 지시체가 아니기 때문에 언캐니 밸리로부터 자유롭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