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to the Discussion Participation Levels and Satisfaction Levels in the Online Discussion Instruction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학구적 자기효능감이 토론 참여도와 만족도에 주는 영향 분석

  • Received : 2010.02.08
  • Accepted : 2010.06.16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the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online discussion instruc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suggested academic self-efficacy should be utilized in order to enhance the discussion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quality of online discussion instru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학구적 자기효능감이 토론 참여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학구적 자기효능감이 토론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학구적 자기효능감과 토론 참여도가 토론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토론 참여도와 만족도의 질적 증진을 위해 학습자의 학구적 자기효능감을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오한.류수영(2002), 웹기반 온라인 토론에서 외향성과 내향성. 한국정보과학회 봄 학술발표논문집, 697-699.
  2. 김석우.김정섭.김명선.정혜영.조영기.박경미.정성아.백영옥.박동성(2007). 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SPSS WIN 12.0 활용의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3. 김태웅(2009) 실시간 온라인 토론에서 도덕성과 익명성이 참여자의 참여 형태에 미치는 영향 탐구, 공학교육연구, 12(3): 107-117
  4. 김태웅.박인우(2008). 실시간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참여도와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 탐색. 교육방법연구, 20(2): 1-20.
  5. 박명숙(2003). 웹 기반 토론학습에서 학습자 특성에 따른 소집단구성 방식이 학습자의 토론 참여도와 만족도 및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인우.박은실(2000). 영어회화수업에서 의사소통방식과 학습자 특성간의 상호작용 효과. 교육공학연구, 16(1): 114-136.
  7. 백현수(2005).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에서 성격유형(MBTI)에 따른 토론 참여도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성태제(2007). SPSS/AMOS를 이용한 알기 쉬운 통계분석. 서울: 학지사.
  9. 신민희(2009). PBL 수업에서 공과대학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문제해결 능력 차이, 공학교육연구, 12(4): 30-37.
  10. 오윤진(1999). 웹기반 협동학습시 학습자의 자기효능감과 보상구조가 학습참여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성환(2009). 웹기반 토론 학습에서 집단구성방식과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따른 토론 참여도 및 자기 효능감의 차이.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정란(2003). 웹 기반 토론에서 학습자 성격유형과 토론의 익명성 여부가 참여도와 토론 메시지 내용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정은숙(2009). 웹기반 과학 수업과 자기조절학습 수준이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정재삼.임규연(2000). 웹 기반 토론에서 학습자의 참여도, 성취도 및 만족도 관련 요인의 효과분석. 교육공학연구, 16(2): 107-135.
  15. 주영주.김나영.조현국(2008) 사이버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온라인과제가치와 만족도 및 성취도간의 관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4(3): 115-135.
  16. 채유정(2004). 온라인 토론 학습에서 인지양식과 교사 피드백 유형이 학습자의 참여도, 성취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천경애(2002). 웹 기반 협동학습에서 상호작용 전략과 집단 크기가 학업성취도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Bandura, A.(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 Bandura, A.(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20. Bandura, A. & Schunk, D. H.(1981). Cultivating competence, self-efficacy, and intrinsic interest through proximal self-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1(4), 586-598. https://doi.org/10.1037/0022-3514.41.3.586
  21. Bong, M.(1998). Tests of the internal/external frames of reference model with subject-specific academic self-efficacy and frame-specific academic self-concep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0(1), 102-110. https://doi.org/10.1037/0022-0663.90.1.102
  22. Bong, M.(2002). Predictive utility of subject, Task, and problem-specific self-efficacy judgements for immediate and delayed academic performances. The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70(2): 133-162. https://doi.org/10.1080/00220970209599503
  23. Dunlap(2005). Problem-based learning and self-efficacy: How a capstone course prepares students for a profession. ETR&D, 53(1): 65-85. https://doi.org/10.1007/BF02504858
  24. Ethner, P. A. Evenbeck, E., Cennamo, K. S. & Lehman, J D.(1994). Enhancing self-efficacy for computer technologies through the use of positive classroom experience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2(3): 45-62.
  25. Joo, Y. J., Bong, M., & Choi, H. J.(2000). Self- 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Academic Self-Efficacy, and Internet Self-Efficacy in Web-Based Instructio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8(2): 5-18.
  26. Pajares, F., & Miller, M. D.(1994). Role of selfefficacy and self-concept belief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 path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6(2): 193-203. https://doi.org/10.1037/0022-0663.86.2.193
  27. Pajares, F., Miller, M. D., & Johnson, M. J.(1999). Gender differences in writing self-belief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1(1): 50-61. https://doi.org/10.1037/0022-0663.91.1.50
  28. Pintrich, P. R., & De Groot, E. V.(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33-40. https://doi.org/10.1037/0022-0663.82.1.33
  29. Pintrich, P. R., & Schunk, D. H.(1996).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30. Rapaport, M.(1991).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Bulletin boards, computer conferencing. electronic mail, information retrieval.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31. Schunk, D. H.(1991). Self-efficacy and academic motiv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26: 207-231. https://doi.org/10.1080/00461520.1991.9653133
  32. Stein, J. J.(1997). Asynchronous computer conferencings a supplement to classroom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The impact of selected learner characteristics on user satisfaction and the amount of intera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ayne State University.
  33. Zimmerman, B. J., Bandura. A., & Martinez-Pons, M. (1992). Self-motivation for academic attainment: The role of self-efficacy beliefs and personal goal setting.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9(3): 663-676. https://doi.org/10.3102/00028312029003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