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Flood Inundation using Query and Mathematical Method

Query 및 Mathematical 기법을 이용한 홍수범람 해석

  • Received : 2010.04.06
  • Accepted : 2010.04.21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In this study, it has been intended to present the ways to improve some problems such as the difficulty of using the program which had got from the existing study, the computation and application of a lot of parameter and the complicated processing which need to be more simplified. Also It has been tried to bring up the ways to make a flood inundation map and a detailed inundation analysis which could reduce the risk factors. We selected an Anseong-Cheon basin, and wrote a flood inundation scenario based on extreme flood to exceed the planned frequency to consider only overflow and levee break and executed inundation simulation. Researchers conducted an analysis of overflow and levee break using function of HEC-RAS Storage with a One-Dimensional model. It applied Elevation versus Volume Curve for more correct inundation simulation than a method of Area-Time-Depth which used in popular. This study will suggest a mathematical method of SURFER with a little difference of inundation area more simplified and precise flood inundation than complicated Arcview 3.2a which used Query method of Arcview 3.2a.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도출된 프로그램 사용의 어려움이나 많은 매개변수 산정 및 적용 문제, 복잡한 전처리과정 등의 어려움이나 문제점을 좀 더 단순화하고 정밀도가 높은 범람해석 및 홍수범람도 작성 방법을 제시하여 위험요소를 줄이고 개선시킬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하천으로는 안성천 유역을 선정하였으며 월류 및 제방 붕괴만을 고려하기 위하여 계획빈도를 초과하는 이상홍수개념으로 홍수범람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범람모의를 실시하였다. 범람모의를 위한 모형 적용은 1차원 수치모형인 HEC-RAS의 Storage 기능을 이용하여 월류 및 제방 붕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Area-Time-Depth 방법보다는 좀 더 정확한 범람모의를 위해 Elevation versus Volume Curve를 적용하였다. Arcview 3.2a의 Query기법과 SURFER의 Mathematical 기법을 이용하여 작성한 침수면적의 차이가 크지 않아 전처리과정이 복잡한 Arcview 3.2a보다 비교적 작성방법이 간단하고 정밀도가 높은 홍수범람도를 작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7). 안성천수계 유역종합치수계획 수립보고서
  2. 건설교통부(2003). 한강유역권-2차 홍수지도제작 보고서
  3. 건설교통부(2002). 안성천수계 하천정비기본계획 보고서
  4. 김동구, 김원, 김상호(2001). 한강 하류부 흐름해석을 위한 UNET 모형의 적용,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II), pp. 673-678.
  5. 김정회(2004). 제방붕괴 규모에 따른 홍수범람 특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6. 서규우(2002). 낙동강유역 침수범람에 따른 홍수터 관리 방안연구, 한국습지학회눈문집, 제4권, 제2호, pp.57-66.
  7. 이종태, 허성철, 김정회, 한건연(2006). 제방붕괴조건에 따른 도시하천의 홍수범람 특성 및 홍수지도 작성,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9권, 제5호, pp. 383-394.
  8. 정하옥(2007). 파제에 의한 홍수범람 및 하도내 수위변동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남대학교
  9. U.S. Army Crops of Engineers(2003). Floodplain Modeling Using HEC-RAS
  10. U.S. Army Crops of Engineers(2002). HECRAS River Analysis System Hydraulic Reference Manu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