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uple Relationship and Related Variables of Women Immigrants

여성 결혼이민자의 부부관계와 관련 변인

  • 박지영 (고구려대학 차문화복지과, 한서대학교 노인복지학과)
  • Received : 2010.04.24
  • Accepted : 2010.06.18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ouple relationship and related variables of women immigrants. Especially, the study focused on curve term between couple relationship and related variabl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346 women immigrants living in S city, Chungnam province. First, the study indicated that there was some curve relationship between couple satisfaction and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Namely, the couple satisfaction of women immigrants was likely to decrease at the early period of residence, but the longer the period of residence was, the higher the couple satisfaction was. Second, the result reveal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ouple satisfaction and level of Korean proficiency. Third, there was some curve relationship between couple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of life. The couple satisfaction was likely to increase in a shape of curve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life satisfac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순정. (2008).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지지와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오남. (2006).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카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오남. (2006). 여성결혼이민자의 부부갈등 및 학대에 관한 연구-사회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8. 33-76.
  4. 김연수. (2010). 가족탄력성 접근을 활용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4), 59-90.
  5. 김연수. (2007). 서울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행복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1, 217-252.
  6. 김인철. (2008).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박정수 외. (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가족갈등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6). 59-71.
  8. 박재규. (2007). 농촌지역 국제결혼 이민자여성의 이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농촌사회, 17(2). 75-105.
  9. 박재규. (2006). 국제 결혼 이주여성의 농촌생활 적응 관련 요인 분석 - 전북지역사례-. 농촌경제, 29(3). 67-84.
  10. 보건복지부. (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지원 정책방안.
  11. 설동훈, 윤흥식. (2005). 국내거주 여성 결혼이민자의 사회경제적 적응과 사회복지정책. 한국사회복지학회, 10, 247-265.
  12. 서광희, 조병은. (1993). 농촌부부의 배우자 역할평가와 결혼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1), 97-120.
  13. 서산시. (2010). 서산시 통계. 서산시청 홈페이지.
  14. 서산시. (2009). 맞춤형 복지발전 5개년 계획. 내부자료.
  15. 서해정. (2007).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의 질과 결혼안정성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소광섭. (2007). 도농복합도시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 연구. 한국노인복지학, 38, 7-30.
  17. 소은덕. (2006).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 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송지연. (2009). 다문화 가정 부부의 결혼적응 요인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양순미. (2006).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적응 및 생활실태에 대한 비교분석: 중국, 일본, 필리핀 이주 여성 부부 중심. 농촌사회, 16(2), 151-179.
  20. 이정은, 이영호. (2000). 개인특성, 스트레스 및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3), 531-548.
  21. 이지혜. (2007). 여성결혼이민자의 부부관계만족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장지연. (2009). 결혼이민자 여성의 결혼만족과 양육스트레스가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정선애. (2007). 일하고 싶은 결혼이주여성, 현모양처가 좋은 이주여성 정책. 한국여성인권센터 2007 정기심포지움.
  24. 정현숙. (1996). 도시부부의 결혼만족도 변화 패턴.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2), 51-60.
  25. 충남여성정책개발원. (2008). 충남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실태조사 및 문화교육 프로그램개발. 2008-03 기본연구과제.
  26. 최규련. (1984). 부부의 성역할 태도와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2(2), 73-106.
  27. 최경숙. (2006). 여성 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지지와 결혼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최성재. (1986). 노인의 생활만족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9. 한건수. (2006). 농촌지역 결혼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 39(1), 195-243.
  30. 한건수, 설동훈. (2006). 결혼중개업체 실태조사 및 관리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31. 한주연. (2002). 한.일 국제결혼가정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선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행정안전부. (2009). 내부자료.
  33. Ang, M. A. (1995). The Filipino settlement experience in Australia, Asian Migrant, 8(2). 42-46.
  34. Ataca, B. & Berry, W. J. (2002). Psychological, sociocultural and marital adaption of Turklish immigrant couples in Canada.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37(1), 13-26. https://doi.org/10.1080/00207590143000135
  35. Brandbury, T. N., Fincham, F. D. & Beach, S. R. H. (2000). Research on the nature of determinants of marital satisfaction: A decade in review.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2, 964-890.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0.00964.x
  36. Cohen, S. & Willi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 310-357.
  37. Cummins, R. A. (1996). The domains of life satisfaction: An attempt to order chaos. Social Indicators Research, 38, 303-332. https://doi.org/10.1007/BF00292050
  38. Glenn, N. D. (1998). The course of marital success and failure in five American 10-year marriage cohorts. Journal of Contemporary China, 50, 83-95.
  39. Hawkins, J. L. (1968). Associations between companionship, hostility, and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0, 647-650. https://doi.org/10.2307/349510
  40. Lewis, T., & Spanier, G. (1979). Theorizing about the quality and stability of marriage. In W. Burr, R. Hill, F. Nye, & I. Reiss(eds.) Contemprary theories about the family. New York: Free Press.
  41. Rojas, M. (2006). Life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in domain of life: Is it a simple relationship?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7, 467-497. https://doi.org/10.1007/s10902-006-9009-2
  42. Stack, S., & Eshleman, J. R. (1998). Marital status and happiness: a 17-nation-stud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0, 527-536. https://doi.org/10.2307/353867